[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전흥수(1938년생) 보유자가 노환으로 10월 22일(일) 오전에 세상을 떴다. 빈소는 분당제생병원장례식장 5호실(지하2층)(031-708-4444)이며, 발인은 10얼 24일 아침 5시 30분이며, 장지는 용인 평온의 숲이다. 유족은 박희준(부인), 전욱진(아들), 전민승(딸), 전진기(딸), 전진선(딸)이 있다. □ 주요경력 - 1979. 문화재수리기능자(국가유산수리기능자) 자격취득 - 1998. 한국고건축박물관 설립, 자랑스런 충남인상 수상, 문화체육부장관 공로패 - 1999. 예산군민의 상 수상, 1999년 좋은 한국인 대상 수상 - 2002. 행정자치부 장관상 - 2004. 제1회 대한민국 문화유산상 보존관리부문 - 2016. 보관문화훈장 서훈 ※ 국가무형유산 대목장(2000. 8. 22. 지정) 대목장은 집 짓는 일의 과정, 곧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는 기술설계는 물론 공사의 감리까지의 과정을 책임지는 목수로서 궁궐이나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를 가리키기도 한다. 대목장은 문짝, 난간 등 소규모의 목공일을 맡아 하는 소목장과 구분한 데서 나온 이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5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Tentative List)으로 제출한 「한국의 갯벌 2단계(Getbol, Korean Tidal Flats(Extension))」와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Sites of the Busan Wartime Capital)」이 10월 17일 세계유산센터 누리집(https://whc.unesco.org)에 게시됨으로써 최종 등록이 완료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로써 모두 14건의 우리나라 유산이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오르게 되었다. 세계유산 잠정목록은 탁월한 보편적 값어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는 유산들을 충분한 연구와 자료 축적 등을 통해 앞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예비목록이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유네스코 심사절차에 새로 도입된 ‘예비평가(Preliminary Assessment)’의 신청서 제출일로부터 적어도 1년 전까지 잠정목록에 등재된 유산만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할 수 있다. * 예비평가: 등재 신청 준비 초기단계부터 자문기구와 당사국 간의 논의를 통해 고품질의 등재신청서 준비 및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역주민과 함께 10월 20일 낮 11시 하동 쌍계사 대웅전 앞마당(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의 자연유산 ‘명승’ 지정 기념행사를 연다.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은 약 60미터 높이의 거대한 불일폭포와 주변의 기암괴석, 식생, 계곡 등이 조화를 이뤄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곳이다. 또한,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쌍계석문 등 최치원의 행적이 현존하고, 스님들이 왕래하던 옛길과 불일암, 국사암, 환학대 등 역사적 자원의 학술적 값어치도 높아 지난해 11월 11일 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된 바 있다. * 진감선사탑비: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진감선사에 대한 비로, 최치원이 직접 비문을 짓고 글씨를 쓴 것으로 알려짐 * 쌍계석문(雙磎石門): 쌍계사 입구에 위치하고 최치원의 글씨가 적힌 바위 행사는 ▲ 하동군 예울림 예술단의 가야금 병창과 민요 기념공연을 시작으로 ▲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소개영상 상영, ▲ 관리단체 지정서 교부, ▲ 명승 지정경과와 보존ㆍ활용 보고(하동군) 등으로 진행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하동군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자연유산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소장 김용욱)는 10월 31일부터 11월 5일까지 동구릉(경기 구리시)에 있는 건원릉(健元陵) 능침을 특별 개방한다. * 능침(陵寢): 왕릉의 주인이 묻혀 있는 곳 * 개방시간: (1회차) 10:00∼11:00 / (2회차) 14:00∼15:00 건원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1408년)의 능으로, 조선왕릉 강ᄕᅦ 유일하게 봉분이 억새로 덮여 있다. 이는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하였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억새가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맞아 시행하는 ‘건원릉 능침 특별개방’은 아름다운 가을 정취와 함께 왕릉 해설사의 해설을 통하여 태조 이성계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이다. ‘건원릉 능침 특별개방’은 사전예약제로 진행한다. 사전예약은 24일 아침 10시부터 조선왕릉 누리집(royaltombs.cha.go.kr, 참여마당-문화행사)을 통해서 할 ㅅ 있으며, 회당 20명씩 선착순(1인당 최대 4명)으로 예매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조선왕릉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031-563-2909)로 문의하면 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미사일록》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고, 「속초 동명동 성당」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미사일록》은 19세기 말 주미공사를 지낸 이범진(1852~1911)이 1896년 6월 20일부터 1897년 1월 31일까지 주미공사로서 활동한 내용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것을 공사관 서기생 이건호가 필사한 자료다. * 이건호: 1897년 5월 19일 임명되어 1898년 7월 11일 자로 면직된 공사관 서기생 《미사일록(美槎日錄)》이라는 한자는 원본 표지에 있는 제목으로, 임지로 이동하기 위해 바다를 건너가는 여정부터 미국 측 인사 접견내용, 미국 주요기관과 문화시설, 유적지 등을 답사한 내용이 일자별로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주미공사의 외교활동, 당시 영어 사용 용례와 표기, 19세기 말 지식인으로서 서양국가에 대한 인식 수준 등 다양한 역사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며 지금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 「속초 동명동 성당」은 6·25 전쟁 기간 중 수복되어 미군정 하에 지방자치를 시행하였던 지역에 건립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지난 6월부터 진행한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해수욕장 해역의 ‘해남선(海南船)’ 수중발굴조사를 끝냈다. * 배의 이름은 발굴된 곳의 이름을 따라 ‘해남선’으로 함 이 배는 지난 5월 송호해수욕장에서 발견ㆍ신고되었으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해남선’의 훼손과 도굴 방지를 위해 신속하게 움직여 신고 다음 달인 6월부터 9월까지 수중발굴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선체 바닥 면인 저판 7열, 좌현 2단과 우현 3단의 외판이 남아있었으며, 선박의 남은 규모는 가장 긴 길이가 약 13.4m, 최대폭이 4.7m 크기였다. 저판의 규모를 보았을 때, 현재까지 조사되었던 한반도 제작 옛배 가운데서는 가장 큰 규모다. 또한, 내부에서 거둔 유물들과 선체 부재들의 방사성탄소연대분석 결과가 11세기 초반에서 12세기 중반 무렵으로 확인되어 고려시대에 제작ㆍ운항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저판: 선체의 바닥 면을 이루는 부재로, 다른 부분들에 비해 두께가 가장 두껍다. * 외판: 선체의 양 옆면을 이루는 부재로, 여러 개의 목재를 쌓아서 만든다. *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뼈, 목재, 섬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은석)는 오는 20일 아침 10시 웨스틴 조선 부산, 오키드룸에서 「가야 유리기(琉璃器) 기원, 유통 그리고 재활용 - 로만글라스 가야에 묻히다」를 주제로 국제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연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확인(2021년)된 고대 유리 용기(아래 유리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하였으며, 여러 곳에서 제작된 다양한 로만글라스* 제품이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유통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유리기는 비단과 함께 유라시아를 왕래했던 주요 교역품으로, 당시 유라시아의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 함안 말이산 고분군 : 경남 함안군에 있는 아라가야 지배계층의 무덤군으로 올해 9월 김해 대성동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가야고분군’으로 올랐었다. * 로만글라스 : 서역에서 제작한 유리의 일종으로, 소다-석회 유리 계열이며 원료에 따라 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사산왕조 페르시아) 유리로 구분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낮 11시와 2시에 하루 2회 경복궁 흥례문 앞에서 <2023년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 행사를 연다. 2011년 처음 시작된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은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재개되는 행사로, 《경국대전》을 토대로 임금의 행차와 사열을 위한 진법(陣法)*과 연무(鍊武)*를 극으로 재구성하여 선보인다. * 진법(陣法):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군대를 배치하는 방법 * 연무(鍊武): 무예 시연 ‘첩종’은 《경국대전》(병전 25편)에 나와 있는 어전사열(御前査閱)*과 비상대기에 사용되는 큰 종을 의미하는 동시에, 궁궐에 입직한 군사뿐만 아니라 문무백관과 중앙군인 오위(五衛)*의 병사들까지 모두 집합하여 점검받는 사열의식이기도 하다. 군대의 군율을 유지하고 군기를 다스려 국가의 근본을 유지하고자 하는 조선전기의 중요한 제도로, 건국 초기 문무의 조화 속에 나라의 안정을 꾀한 조선왕조의 면모를 보여준다. * 어전사열(御前査閱): 국왕 앞에서 군사의 훈련 정도나 상태를 점검 * 오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유은식)는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고대 영산강 유역의 대형옹관 제작과정 시연행사를 열며, 10월 18일에는 ‘고대 동아시아 금속공예품 제작기술과 복원’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와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보물)을 2년 만에 다시 만날 수 있는 상설전시를 개막한다. 이번 행사는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2005년 개소 이후 20년 가까이 축적해 온 호남지역의 주요 발굴조사와 출토 유물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선보이는 자리이다. 먼저, 10월 17일부터 10월 20일까지 고대 영산강 유역의 독자적 문화유산인 대형옹관을 재현하는 소성실험이 진행된다. 대형옹관 연구는 현재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에서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대형옹관 제작 고대기술 복원 사업(프로젝트)’을 추진해 영산강 유역의 대형옹관 제작기술을 밝혀낸 바 있다. 이번 실험은 대형옹관의 제작기술을 지역주민과 함께 시연하고 그 과정을 공유하는 취지로, 이번 실험으로 만든 재현 옹관은 향후 지역 문화행사 등에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소성실험 : 재현 옹관을 가마에 구워 고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은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ㆍ처용무 보유자 고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의 유족에게 기증받은 자료를 정리한 《무형유산 기증자료집》을 펴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국가무형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노력해 온 전승자들로부터 무형유산 자료를 기증받아 해마다 기증자료집을 펴내고 있다. 우리나라 무형유산 발굴과 전승에 지대한 공헌을 한 김천흥의 무악(舞樂) 인생은 1922년 이왕직아악부 아악부원양성소에 입소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곳에서 김천흥은 해금과 양금을 전공과 부전공으로 수련하였고, 궁중정재를 전수하여 조선 마지막 임금인 순종의 50살 탄신 경축 연회에 무동(舞童)으로 참여하였다. *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 일제강점기 왕립음악기관으로 국립국악원의 전신 * 궁중정재(宮中呈才) : 궁중 연향에서 공연되는 악기연주ㆍ노래ㆍ춤으로 이루어진 종합예술 * 무동(舞童): 조선 시대에 나라 잔치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던 아이 김천흥은 어린 시절 전수한 궁중정재 말고도 문헌으로만 전해지던 궁중정재를 복원ㆍ재현하여 명맥이 이어질 수 있도록 했다. 또 승무와 살풀이춤 등의 민속무용도 두루 섭렵하였을 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