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고구려 고분군(古墓群) 성 앞 무수한 피라밋 무덤들 (달) 삼십 년 전 헝클어져 있던 곳 (돌) 돌결에 스며든 고구려 숨결 (빛) 언젠가 우리 품에 안길 테지 (심) ... 2024.11.15. 불한시사 합작시 오래도록 꿈꾸어 오던 고구려 답사여행을 다녀왔다. 옛 도읍지인 집안(輯安) 일대를 중심으로, 광활한 만주벌의 바람 속에서 다시금 고구려인의 숨결을 호흡해 보고자 한 여정이었다. 그곳은 시간을 넘어선 한 민족의 혼(魂)이 대지의 융기와 더불어 피어난 성역(聖域)이었다. 우리는 공간적ㆍ시간적 제약을 훌훌 벗어던지고, 역사의 숨결과 현재의 호흡을 한 호흡으로 잇고 싶었다. 그 속에서 민족적 자각의 무한한 확장을 감동적으로 체험하려 했다. 특히 환도성(丸都城)과 국내성 사이, 압록강을 굽어보는 능선 아래 펼쳐진 수많은 피라밋형 고분군을 마주한 순간은 잊을 수 없다. 거기에는 장수왕릉(長壽王陵)을 닮은 귀족과 장군들의 장대한 무덤들이 하늘과 맞닿은 각도로 솟아 있었다. 그 기단은 석축으로 단단히 다져져 피라밋처럼 계단을 이루고, 석재의 결마다 하늘을 향한 의지와 불멸의 신념이 서려 있었다. 그 앞에 서면, 멀게만 느껴졌던 고대사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삼족오(三足烏) 세 발로 우뚝 선 고구려의 꿈 (빛) 어둠을 내쫓는 태양의 새여! (돌) 천지인 아울러 큰 날개 펴니 (초) 이 땅을 밝히며 날아오르네 (달) ... 24.11.13. 불한시사 합작시 지난해 늦가을, 불한시사(弗寒詩社)의 시벗들과 함께 고구려의 도읍지 국내성(國內城)이 있는 집안(輯安/集安)을 찾았다. 압록강 물빛은 유리같이 맑았고, 오녀산성(홀승골성)과 환도성(위나암성) 등 산등성이마다 옛 성곽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었다. 우리는 고구려 벽화고분과 박물관의 유물을 두루 살펴보다가, 태양 속에 새겨진 삼족오(三足烏) 상을 마주하고 저마다 감흥을 얻어 이 짧은 합작시를 지었다. 삼족오는 본래 태양의 새(陽鳥)로서, 세 발은 천지인(天ㆍ地ㆍ人)의 삼재를 상징하며, 세 가지 발이 균형을 이루어 움직이는 형상은 만물의 조화와 순환, 도(道)의 삼원(心ㆍ物ㆍ行)을 뜻한다. 그 깃은 검어 현묘하고 으뜸된 기운(玄元之氣)을 품고, 그 몸은 붉어 태양의 따뜻한 빛(火德之光)을 머금으며, 날개를 펼칠 때 우주의 질서가 함께 돌아간다. 고구려인에게 삼족오는 단순한 신화의 새가 아니었다. 그것은 왕도(王道)의 상징이자, 민족의 혼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압록강 가을 가을비 오네 강 건너 북녘땅 (달) 헐벗은 산하 돌아갈 길 먼데 (돌) 강 안개 강버들 기러기 날고 (빛) 찬 비 너머 북녘 더 쓸쓸하네 (심) ... 24.11.10. 불한산방합작시 지난해 가을 이맘때였다. 불한시사 시벗들과 고구려의 옛 땅을 따라 며칠을 걷던 여정이었다. 국내성과 환도성이 있는 집안(輯安) 지역을 거닐며, 이 강산에 켜켜이 스며든 역사의 숨결을 함께 되새겼다. 그때 주고받던 합작시(合作詩) 가운데 하나가 오늘의 시로 남았다. 날마다 아침 압록강가를 걸으며 북한 땅을 바라보던 그 순간, 그 심정을 한민족이라면 어찌 짐작하지 못하겠는가. 말로 다할 수 없는 괴로움, 오직 침묵으로 삼켜야 했던 아픔이었다. 몇 겹의 철조망 넘어, 푸른 강물을 건너다보이는 민둥산의 연봉들, 초라한 마을들과 그 아래로 자리 잡은 초소와 병영들, 그 모든 풍경이 침묵으로만 응답하였다. 그날의 강바람과 낙엽, 희미하게 내리던 눈발과 흩뿌리던 빗줄기 사이로 우리는 무언의 소원을 되뇌었다. 언제쯤이면 이 강과 저 산을 마음껏 건너고 가로질러 달릴 수 있을까. 언제쯤이면 고구려의 광대한 고토와 산야를 우리의 품 안에서 다시 안아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