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 마누라가 없는 이 날은 아침부터 프리미엄 『妻いない この日は朝から プレミアム』 →잔소리 하는 마누라가 집을 비우면 더없이 좋다는 뜻 * 늦어도 확실히 늦잠 잤다고 말하는 신세대 『遅れても はっきり寝坊と 言う新人』 →예전 같으면 늦는 경우 버스가 늦게 왔다던가 하는 변명을 하지만 신세대 젊은이들은 ‘늦잠 잤다.’라는 말을 직격으로 한다는 것에 대한 아쉬움 내지는 놀라움을 표현 * 체중계 올라가는 용기와 보는 용기 『体重計 上る勇気と 見る勇気』 → 일본 사람들도 다이어트에 신경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시 * 요리가 나오면 사진 찍기까지 기다려야한다 『料理出て 写真撮るまで 待てをする』 → 주문한 음식이 나오면 바로 먹는 게 아니라 일단 사진을 찍느라 바쁜 세태를 말하는 시 * 아버지의 노고를 알고 있는 구두 밑창 『父さんの 苦労知ってる 靴の底』 →아버지의 노고에 민감하지 않은 세태를 구두 밑창을 통해 간접적으로 말하는 시 이는 2018년 2월 15일, 일본 제일생명보험에서 샐러리맨들의 회사생활의 애환을 담은 제31회 “샐러리맨 센류(川柳) 콩쿨대회 100선” 가운데 일부이다. 일본 문학의 한 장르인 센류(川柳)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빨간호박, 노란호박 작품으로 유명한 나오시마(直島)는 인구 3,000명 정도의 작은 섬이지만 ‘현대 미술의 성지’ 또는 ‘예술의 섬’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일본의 쟁쟁한 도시들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관광객이 이곳에 몰려드는 까닭은 무엇일까? 평범한 작은 섬이 일약 유명한 관광명소로 자리 잡은 데는 쿠사마 야요이, 미야지마 타츠오, 안도 타다오와 같은 쟁쟁한 예술가의 작품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 예술의 섬 나오시마는 1991년부터 15년 동안 베네세 코퍼레이션에서 나오시마 프로젝트를 만들어 ‘집 프로젝트’, ‘땅속미술관’ 등의 획기적인 작품과 미술관을 기획했던 한 사람이 2006년 섬을 떠난 뒤 이곳에 대한 글을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부터라고 볼 수 있다. 섬 전체에 예술작품이 즐비한 나오시마는 섬 들머리에 설치되어 있는 조각가이자 설치미술가인 쿠사마 야요이(草間 彌生)의 작품인 물방울무늬 호박부터 시작해서 여러 설치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의 유명 건축가 안도 타다오(安藤忠雄)가 설계한 미술관이 3개나 있는 그야말로 예술의 섬이다. 안도 타다오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교토는 지금 10월 22일(월)에 열리는 지다이마츠리(時代祭) 준비로 바쁘다. 푸른 가을 하늘 아래 펼쳐지는 형형색색의 옛 시대의 옷을 입은 사람들의 행렬은 가히 일품이다. 교토의 3대 마츠리라고 하면 5월 15일의 아오이마츠리(葵祭), 7월 17일의 기온마츠리(祇園祭), 10월 22일의 지다이마츠리(時代祭)를 꼽는다. 오래된 순서를 꼽으라면 아오이마츠리 (567년), 기온마츠리(863년), 지다이마츠리(1895년) 순이다. 성격으로 따지자면 아오이마츠리는 궁정에서 시작한 마츠리(국가의 제사 형식)로 볼 수 있고 기온마츠리는 서민(전염병 퇴치의 제사)층에서 향수하던 마츠리다. 10월 22일에 열리는 지다이마츠리는 명치정부가 교토 천도(헤이안 천도, 794년) 1,100년째를 기념하여 명치28(1895)년에 새로 시작한 마츠리다. 명치정부는 교토 천도 당시의 환무왕(桓武天皇)을 모시기 위한 사당으로 헤이안신궁(平安神宮)을 만들고 그해 10월 22일부터 10월 24일에 걸쳐서 성대한 마츠리를 거행했다. 지다이마츠리에 등장하는 사람이나 도구, 행렬 시간 등을 따지자면 7월의 기온마츠리(祇園祭)가 가장 성대하지만 5월의 아오이마츠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는 한국 글자인 한글 반포 572년째 되는 날이다. 여러 곳에서 세종대왕의 ‘백성사랑’ 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있었다. 그렇다면 이웃나라 일본의 문자인 ‘가나(がな)’는 언제 생긴 것일까? 30여년 이상 일본어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해오면서 첫 수업시간에 ‘가나(がな)’의 기원을 물어보면 의외로 ‘메이지시대(明治時代, 1868-1912)’라고 답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정답은 아니다. 일본글자인 ‘가나(がな)’는 한글과 달리 만든 시기와 만든 사람을 알 수 없다. 물론 만든 목적도 알 수 없다. 그에 견주면 한글은 ‘세종임금이 1443년, 글을 모르는 백성들을 사랑해서 누구나 알기 쉽게 쓰게 하려고 만든 글자’임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일본 글자의 출발이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85) 초기라고 하는 설도 있으나 서기 1,000년 정도로 보는 것이 무난하다. 그렇다면 한글 만든 지가 올해 572년째이니 ‘가나(がな)’ 문자가 428년 정도 앞섰다고 봐야한다. 그럼 왜 한글은 일본의 가나글자보다 늦게 나온 것일까? 그 답은 아주 간단하다. 한국에서는 세종임금이 나오기 전까지는 양반이라면 ‘한글이란 글자가 없어도 불편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스웨덴 캐롤린스 연구소는 1일, 2018년 노벨의학생리학상을 교토대학 고등연구원의 혼조타스쿠(本庶佑, 76살) 교수와 미국 텍사스대학 제임스 앨리슨 교수 2명에게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노벨의학생리학상 부문은 일본에 벌써 5번째로 2년 전에도 교토대학 교수가 IPS세포 관련으로 수상한 바 있다. 이번에 노벨의학생리학상을 받게 된 교토대학 혼조 특별 교수는 인간이 원래 갖고 있는 면역력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암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혼조 교수가 발견한 분자 「PD-1」 는 T세포(면역세포)의 표면에 있으며 공격대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일종의 검문소 역항을 하는 ‘면역 첵크포인트’라고 불리는 것으로 이것은 신약화 되어 2014년부터 시판에 들어갔다. 이 약은 암 치료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많은 암환자들이 호전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암 치료는 지금까지 와과수술, 방선선 치료와 함께 항암제 투여 등의 화학요법 등 세 가지 방법이 주류를 이뤘다. 이 가운데 방사선 치료와 약물투여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데 견주어 면역요법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난해 11월 《전업주부는 2억엔을 손해보고 있다(専業主婦は2億円損をする)》라는 책을 내어 일본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다치바나 아키라(橘玲, 60살)씨는 여자가 아니라 남성이며, 본명이 아닌 필명을 쓰고 있다.이 책에 대한 댓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목이 강한 인상을 줘 사서 읽었다. 이 책은 전업주부 비판이 아니라 일본에 있는 문제점을 잘 드러낸 책이다. 일본 여성의 입장에서 결혼과 출산으로 인생이 바뀌어 버려(직장 등을 지속하지 못해) 슬프다. 결혼과 출산, 자녀양육, 미혼 등 젊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서서이라도 여성들이 지고 있는 짐을 제도적으로 개선해갔으면 한다.” “계속 신경이 쓰이던 책이다. 원래 결혼하더라도 일은 지속해야겠다고 생각했던 사람인데 이 책을 읽고 더욱 그런 생각이 강해졌다. 물론 나는 직장에서 승진을 하고 억척스럽게 돈을 모으는 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찬성하고 싶지 않다. 다만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여성의 활약, 남녀평등에 관한 것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수치로 제시하는 것을 보면서 일본이 뒤처지고 있음에 놀랐다.” “부정적인 제목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 법륭사 금당벽화는 동아시아 불교미술사상 최고의 보물로 알려져 왔다. 그런 까닭에 명치 30년(1897) ‘고사사(古社寺, 오래된 신사와 절)보존법’ 시행직후에 금당이 특별보호건조물로 지정되자 벽화 보존은 대정(1912~1924) 연간에 법륭사벽화보존방법조사위원회의 조사를 시작으로 각종 대책을 검토하기에 이른다. 소화 9년(1934) 법륭사국보보존사업이 개시되자 정확한 현장기록 작성을 목적으로 한 금당벽화의 원치수분할촬영(原寸大分割写真撮影)이 기획되었으며 교토의 편리당이 이를 맡아 관리하였다. 그렇다면 금당벽화는 얼마나 아름다운 것일까? “금당은 동쪽 입구로부터 들어가게 되어 있다. 우리는 그곳(벽화)으로 가기 위해 먼저 본존 앞에서 왼쪽으로 꺾었다. 약사삼존불 앞에 왔을 때 나는 아무 생각 없이 서쪽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깜짝 놀라 걸음을 멈추었다. 일렬로 나란히 줄지어져 있는 오래된 불상과 검은 기둥 사이의 서쪽 벽에 아미타불이 밝은 모습으로 합장한 손의 모습까지 확실히 보이는 것이었다. 동쪽 입구에서 조금 먼 거리에 있는 아미타불이 이렇게 확실히 보일 거라고는 예상치 못했다. 이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바라다본 벽화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뒷줄임)” 윤동주 시인의 ‘자화상’을 읽노라면 언제나 윤 시인의 고향집으로 가는 길목의 선바위가 떠오른다. 그 산모퉁이 언저리를 돌아 윤 시인이 태어난 북간도 명동촌과 윤 시인이 죽어 묻힌 무덤으로 여행을 떠난 사람들이 있다. 어제(10일) 도다 이쿠코(戶田郁子, 인천관동갤러리 관장) 씨는 나에게 윤동주 시인의 무덤에서 시낭송을 한 일본인들과 찍은 사진을 보내왔다. “이번 윤동주 고향을 찾아온 사람들은 평범한 일본 시민들입니다. 이들은 우에노 미야코 시인이 번역한 윤동주 시인의 시집을 들고 와서 각자 좋아하는 시를 낭송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시낭송을 새겨들으며 아주 감동적인 시간을 보냈습니다.” 도다 이쿠코 작가는 연변에서 10여년 가까이 지낸 경험이 있어 종종 윤동주를 그리는 일본인들을 안내하곤 한다. 누구보다도 윤동주 시인에 대해 잘 알뿐 아니라 중국어에도 능통한지라 일본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왜 고대사람들은 길 없는 사막을 헤쳐 인도로부터 《법화경》을 구해왔을까요? 머나먼 법화경의 여정을 따라 오아시스 도시 중국 둔황으로 떠나보실까요?” 막 상영되고 있는 동영상 화면에는 끝없이 펼쳐진 사막이 뽀얀 모래바람을 일으키고 있었다. 그리고 《법화경》 그림이 그려져 있는 중국 둔황의 막고굴 내부가 비쳐졌다. 지난 토요일(9월1일) 낮 2시 무렵, 나는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근처 한 문화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법화경》, 평화와 공생 메시지(이하 ‘법화경’) 전시장에 있었다. 아침부터 빗줄기를 뿌리던 날씨가 좀 개길 기다려 점심을 먹고 광안리 해수욕장 쪽으로 걸어 내려가다 보니 해수욕장 바로 지척에 법화경 전시가 열리고 있는 한국SGI수영욱일문화회관이 있었다.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SGI’라는 것은 국제창가학회(國際創價學會, Soka Gakkai International)를 가리키는 말로 ‘창가학회’란 《법화경》 신앙을 중시하는 일본의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신도단체에서 유래한 종교단체를 말한다. 법화경 전시장 안으로 들어서니 흰 블라우스에 까만 치마를 입은 안내원들이 동영상실로 관객들을 인도한다. 토요일 오후라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느 날 한 마리의 타조가 살해되었다 누가 살해했나 타조를? 나는 아니다 참새가 말했다 살해자의 짓이다 살해된 것을 살해한 것은 그러면 누가 보았나 타조가 살해된 것을? 나는 아니다 파리가 말했다 살해자의 짓이다 아무도 보지 못했다 살해하는 것을 - 오사다 히로시 ‘누가 타조를 살해했나’ 가운데 - 타조를 살해한 것은 누구란 말인가? 시는 이어진다. 참새, 파리, 물고기, 투구풍뎅이, 부엉이, 촉새, 종달새, 공작, 비둘기, 소리개, 굴뚝새, 개똥지빠귀, 소에 이르도록 타조를 살해한 범인을 본 자를 찾는 구절이 시어로 얽혀있다. 이 시는 오사다 히로시의 ‘첫 번째 질문’이란 시와 함께 그의 대표적인 시다. 최근에 강을 바라본 것은 언제인가? 모래 위에 앉아 본 것은, 풀밭에 앉아 본 것은? ‘아름답다’고 당신이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좋아하는 꽃 일곱 가지를 말할 수 있는가? 당신에게 있어서 우리란 누구인가? - 오사다 히로시 ‘첫 번째 질문’ 가운데 - 후쿠시마 출신인 오사다 히로시(長田弘, 1939-2015)는 시인이자,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마이니치 출판문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