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어에 ‘도둑이 제 발 저리다’라는 말이 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말이겠지만 <다음 국어사전>의 뜻을 빌리자면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해진다는 말”이라고 한다. 일본어에는 이런 말이 없지만 구태여 일본말로 옮겨보면 “悪いことをすると気がとがめて必ずばれてしまう(나쁜 짓을 하면 마음의 가책을 느껴 반드시 들통난다)”라는 정도로 바꿀 수 있겠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는가 하면 그제(2일), 교도통신(共同通信) 보도가 볼썽사나운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도쿄 올림픽 한국선수단이 선수촌에서 제공되는 후쿠시마 산 식재료를 피해 자체 급식센터를 설치했다”라면서 근거없는 피해(風評被害, 후효히가이)를 조장하는 한국선수단의 급식센터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대응해야 한다는 게 골자였다. 이러한 교도통신의 뉴스에 대해서는 이미 한국의 언론에서도 “2008년 북경 올림픽 때부터 자체 급식센터를 운영해왔는데 새삼 무슨 소리냐.”라고 반박하는 기사가 나와 있는 상황이다. 문제의 본질은 일본이 후쿠시마산 식재료에 대해 너무 과민 반응을 보인다는 점이다. 올림픽 참가 선수들은 단순한 관광객들이 아니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시조의 세청(細淸)창법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경제 평시조에는 중장과 종장 첫 부분에 고음(高音)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세청(또는 가성(假聲)이라고도 함)창법으로 부른다는 점, 이것은 곧 속소리 창법으로 일종의 변통창법이란 점, 그러나 내포제 평시조에는 고음(高音)이 출현하지 않아 이러한 창법이 쓰이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고음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가성창법을 쓸 필요가 없다는 말을 뒤집어 보면, 세청창법을 쓰지 않기 위해 고음을 기피했을지도 모른다는 말이 된다. 정가의 대표적인 장르, 남창가곡도 세청의 창법은 금지하고 있는 창법이다. 평시조에서는 고음이 청황종(潢)이지만, 가곡에서는 황(潢)보다 훨씬 높은 청중(㳞)이나 청임(淋)의 소리도 절대 가성으로 처리하지 않고, 육성으로 내야 한다. 내포제 평시조에서 세청 창법을 불허하는 점에서 보면, 창법에 있어서는 내포제시조가 오히려 가곡의 창법과 유사하다는 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발음법에 있어서는 가곡의 예와 다르다. 가령, 경제시조에서는 소치는 <아희 놈>이나 <재 넘어 사래 긴 밭>과 같은 노랫말을 옮길 때, <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전 세계가 고통을 겪고 있는 전염병, 코로나19로 지각 올림픽(2020년)이 열리고 있는 도쿄 날씨는 그야말로 불가마 속이다. 한국보다 습기가 많은 날씨이기에 그 더위의 강도는 더 세다. 가만히 있어도 숨이 탁 막히는 이때, 경기장마다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선수들 모습을 텔레비전 화면에서 보고 있자니 안쓰럽기 짝이 없다. 이렇게 무더운 여름이면 일본인들은 무더위 속의 안부 편지인 ‘쇼츄미마이(暑中見舞い)’를 보내는 풍습이 있다. 쇼츄미마이를 우리말로 옮기자면 ‘무더위 속 안부편지’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쇼츄미마이는 편지나 엽서를 이용하기도 하고 직접 안부를 묻고 싶은 사람 집에 찾아가기도 한다. 엽서의 경우에는 보기만 해도 시원한 산과 바다 풍경이나 찬 수박, 금붕어가 헤엄치는 어항 사진 등 ‘시원한 그림’이 주종을 이룬다. 일본우편주식회사(日本郵便株式会社)에서는 이때를 특별 엽서보내기 기간으로 정하여 1950년부터 “쇼츄미마이용우편엽서(暑中見舞用郵便葉書)”를 발행하고 있다. 또한 1986년부터는 엽서에 복권 번호처럼 번호를 새겨 넣어 당첨되면 선물을 주는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특히 무더위 안부를 묻는 쇼츄미마이 엽서 이름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서울, 경기지방에 전승되어오는 경제(京制) 평시조와 충청지방의 내포제(內浦制)는 말 붙임의 형태가 서로 달라 비교가 된다는 이야기를 악보를 통해 확인하였다. 지난주에 살펴본 바와 같이 양 제(制)는 부분부분, 가사 붙이는 박의 위치가 서로 다른 곳이 몇 군데 있다. 예를 들면 <소 치는> 부분, 종장의 제1각, “재넘어” 부분, 종장의 제2각 “사래 긴 밭을” 부분 등이다. 양자의 비교를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내포제 시조에서 말 붙임은 비교적 가사의 뜻이 명료하게 전달되도록 붙여 발음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양 제의 또 다른 점은 높은음을 세청(細淸)창법으로 처리한다는 점이다. 세청 창법이란 곧 가성창법, 다시 말해 속소리 창법이다. 가령, 고음(高音)을 육성으로 낼 수 없을 때 변통의 방법인 속소리로 부르는 형태를 말한다. 일종의 변화창법을 구사하는 것인데, 경제 평시조창에서는 이러한 창법이 활용되는 것이다. 곧 높은 음을 속소리로 처리한다는 말이다. 그 대표적인 부분이 중장의 제2각 ‘아희 놈은’을 노래하는 부분과 종장 제1각의 ‘재 넘어’부분이다. <보례1> 평시조 종장의 제1각 위 악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우리 겨레가 즐겼던 명절 가운데 하나인 유두(流頭 : 음력 6월 15일)입니다. 유두는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의 준말인데 신라 때부터 있었던 풍속이며, 가장 원기가 왕성한 곳인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 날입니다. 이렇게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면 액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졌는데, 유두를 신라 때 이두로 '소두'(머리 빗다), '수두'라고도 썼다고 합니다.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로 '물맞이'라는 뜻인데 요즘도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에서는 유두를 '물맞이'라고 부른다지요. 유두의 대표적인 풍속은 유두천신(流頭薦新)입니다. 이는 유두날 아침 유두면, 상화떡, 연병, 수단 등의 음식과, 피, 조, 벼, 콩 따위의 여러 가지 곡식을 참외나 오이, 수박 등과 함께 사당에 올리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하지요. 옛날에는 새 과일이 나도 자기가 먼저 먹지 않고 돌아가신 조상에게 올린 다음에 먹었습니다. 농촌에서는 밀가루로 떡을 만들고 참외나 기다란 생선 따위로 음식을 장만하여 논의 물꼬와 밭 가운데에 차려놓고 농사신에게 풍년을 비는 고사를 지내며, 자기의 논밭 하나, 하나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상엔 온통 더위 천지 광한전(달나라에 있다는 궁전) 월궁으로 달아날 재주 없으니 설악산 폭포 생각나고 풍혈 있는 빙산이 그리워라” 이는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이 시문을 모아 펴낸 《동문선(東文選)》이란 책에 나오는 시입니다. 온통 더위 천지에 설악산 폭포와 풍혈(늘 시원한 바람이 불어 나오는 바위틈)이 있는 빙산이 그립다고 노래합니다. 이제 무더위가 절정에 올라 어제는 중복(中伏)이었고, 오늘은 24절기의 열두째 대서(大暑)입니다. 이때는 무더위가 가장 심해서 "더위로 염소뿔이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지요. 그런데 조선시대 선비들은 한여름 지금보다 훨씬 더 무더위와 힘겹게 싸웠습니다. 함부로 의관을 벗어던질 수 없는 법도가 있었으니 겨우 냇가에 발을 담그는 탁족(濯足)을 할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선비들은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 적극적으로 더위를 멀리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것은 대자리 위에서 솔바람 소리를 들으며, 책을 읽는 것입니다. 심지어 남명 조식 같은 사람은 제자들을 데리고 지리산에 올랐고, 추사 김정희는 한여름 북한산에 올라 북한산수순비 탁본을 해올 정도였습니다. 어쩌면 남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7월 23일, 도쿄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코로나19로 주최국인 일본은 물론이고 전 세계에서 과연 올림픽이 제대로 열릴지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현지에서는 ‘열린다’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응원 준비가 한창이다.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 7월 21일 보도를 보면, ‘선수들을 직접 못 만나지만 우리 마음을 전하고 싶다’라는 제목 아래 종이학으로 브라질 국기를 만든 도쿄 시내 한 초등학교를 소개했다. 그 내용은 “선수와 직접 교류할 수 없는 것은 유감이지만, 조금이라도 일본인의 환영 마음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브라질 선수에게 응원 메시지를 전하고자 브라질 국기를 만들었다.”라고 하는 무라카미 타카시 교장을 소개했다. 무라카미 교장은 도쿄도 츄오구 구립 도요미소학교 (東京都 中央区 区立 豊海小学校)에 재직 중이다. 츄오구(中央区)는 2017년 브라질 올림픽위원회와 양해각서를 맺고 선수 훈련 등을 위해 선수촌 바로 앞 학교 건물 일부를 대회 기간에 제공하기로 했었다. 코로나19가 아니라면 학생들과 선수의 교류 이벤트를 열 기획이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두 중지된 상태다. 하지만 브라질 선수가 이 학교에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서울, 경기지방에 전승되어오는 경제(京制)와 충청지방의 내포제(內浦制) 평시조는 “노고지리”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 경제는 낮은음으로 떨어진 다음 곧바로 제자리로 올라가지만, 내포제는 그대로 낮게 처리하는 점, 밑에서 위로 쳐들고 올라가지 않는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또 다른 점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떨어진 음을 서울, 경기지방의 시조처럼, 곧바로 위로 쳐들고 올라가지 않는 진행은 양반의 고장, 충청지역의 특징을 그대로 들어내 보이고있는 듯하다. 빠른 속도로 굴곡을 넣어 부르는 서민들의 민요보다는 변화 선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그러면서도 속도가 느긋한 시조창을 선호해 온 충청의 특징을 그대로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선율의 다양한 변화보다는 비교적 단순하게 처리하는 진행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결정적인 차이점으로는 가사 붙이는 박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아래의 <악보 1>은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의 중장이 시작되는 <소 치는> 부분이다. 경제와 내포제 공히 “소 치는” 3글자를 5박에 붙이는데, 이 부분의 말 붙이는 형태를 비교해 보면, 현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친절하게 자신을 설명하는 법이 없었기에 그를 찾아가는 길은 잘 열리지 않는 문을 여는 것 같았다. 그리고 그 문은 끝이 없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라는 문을 열면 또 다른 문이 기다리고 있었다. 수없이 문을 열었지만, 아직도 나는 문 앞에 여전히 서 있다.” 이는 허연 시인의 ‘설국에서 만난 극한의 허무 《가와바타 야스나리》’ 책의 마지막 장에 나오는 구절이다. 속초 설악산책(雪嶽山冊) 도서관 입구에는 들어서자마자 눈에 확 띄는 곳에 책 표지를 앞으로 해서 세워둔 테이블이 있다. 이곳에 드나든 지 보름이 넘었지만, 책을 읽으러 온 것이 아니라서 그냥 무심히 지나치다가 오늘 불현듯 ‘가와바타 야스나리’ 책에 시선이 꽂혔다. 표지에 영어로 ‘KAWABATA YASUNRI’라고 쓰여 있는 바람에 활자의 의미를 새기지 않은 채 ‘웬 영어책을 진열했나?’ 싶었다. 보름 동안 이 책이 내 시야에서 ‘영어책’으로 여겨졌다니 나도 참 어지간하다. 책 장을 넘긴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보지 못한 무용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이야기나 마찬가지다. 머리를 숙여 쌀쌀맞게 대답했다. 그 목덜미에 삼나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시조시의 연원과 시조창이 불리기 시작한 시기, 여러 유파가 생겨나면서 최초의 단일 곡을 <평시조>로 부르고 있다는 이야기와 시조창은 박자가 느리고, 3음 중심의 계면조 음악이며 요성(搖聲)과 역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 전승되어오는 ‘경제(京制)시조와 각 지방의 시조, 특히 충청지방의 내포제(內浦制)시조와의 비교를 통해 서로 다르게 표출하는 음악적 특징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큰 틀에서 보면 각 지방의 시조는 형식이나 창법에서 대체로 비슷하다고 하겠으나, 자세히 들어보면 차이를 보이는 서로 다른 특징들을 발견하게 된다. 부분적이기는 하나, 첫째는 가락의 진행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고 둘째는 가사, 곧 노랫말을 붙이는 박이라든가 그 위치가 서로 다르며 셋째는 요성(搖聲), 곧 떠는소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시김새의 형태가 비교된다. 그리고 넷째는 창법이나 발음법, 끝내는 박, 등에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지방마다 말이 다르듯 생활환경이나 풍속, 성격, 기호, 등이 서로 달라서 자연스럽게 토착화되어 오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