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명절 단오입니다.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하지요. 단오의 '단(端)'자는 첫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이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합니다. 수릿날은 조선 후기에 펴낸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이날 쑥떡을 해 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리'란 이름이 붙었다고 했으며, 또 수리란 옛말에서 으뜸, 신(神)의 뜻으로 쓰여 '신의 날', '으뜸 날'이란 뜻에서 수릿날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 해에 세 번 신의 옷인 빔(비음)을 입습니다. 설빔, 단오빔, 한가위빔이 바로 그것이지요. 단오빔을 ‘술의(戌衣)’라고 해석한 유만공의 《세시풍요(歲時風謠)》 할주(割註, 본문 바로 뒤에 두 줄로 잘게 단 주)에 따르면 술의란 신의(神衣), 곧 태양신을 상징한 신성한 옷입니다. 수릿날은 태양의 기운이 가장 강한 날이지요. 단옷날 쑥을 뜯어도 오시(午時)에 뜯어야 약효가 가장 좋습니다. 다시 말해, 사람이 태양신[日神]을 가장 가까이 접하게 되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6월 8일 자 아사히신문은 “서울중앙지법이 7일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족이 일본제철, 미쓰비시중공업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을 각하했다. 이는 소송요건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보는 견해로 사실상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것이다. 이로써 이번 판결은 지난 2018년 대법원 판결을 부정한 것이다.”라면서 이번 일로 한국 사회가 양분화되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보수 성향의 조선일보 8일 사설을 들어 “전례 없는 혼란이다. 역사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해 온 문재인 정권과 초법적 판결을 내린 대법원의 책임이다. 그동안 원고 승소를 이끌어 온 사법부의 흐름을 비판하며 이번 판결을 환영했다.”라고 전했다. 한편, 진보성향 한겨레신문의 사설을 인용하여 “(이번 판결은) 일본과의 관계 악화가 한미관계 악화로 이어질 것으로 지적하는 등 정치 외교적 판단을 담고 있어 비약이 있다.”라는 점을 지적했다. 1965년 한ㆍ일 청구권 협정과 일본 징용 기업들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국민정서 사이에서 1ㆍ2심과 대법원의 엇갈린 판결은 한두 번이 아니었다. 이번에도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34부는 징용 피해자들의 개인청구권은 살아있다면서도 이를 "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소리 공부 30년에 전국대회에서 대통령상을 거머쥔 방영기 명창의 이야기를 하였다. 수상했을 때의 결심으로 해마다 개인발표회를 열어 오고 있는데, 지난해는 국악입문 50돌이었으나 감염병 확산으로 무관중 영상 공연을 하였다는 이야기, 2009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선소리 산타령의 전수교육조교로 선정되어 그 보급과 확산에 전력하고 있다는 이야기, 성남이라는 지역사회에서 전통놀이를 발굴하였고, 공연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 주에는 <판교 널다리 쌍용 거 줄다리기>의 발굴과 재현에 관한 이야기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 종목은 현재 성남의 대표적인 공연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많은 시민의 관심을 받는 작품이 되었다. 우선, <판교 널다리 쌍용 거 줄다리기>라는 긴 이름의 놀이는 정월 대보름날, 널다리 마을(판교동)에서 행해졌던 민속놀이의 하나다. 이름이 긴 놀이, 그 뜻부터 풀어보도록 한다. 지금 판교(板橋)신도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 일대에 조성된 계획도시로 대도시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기능을 분담하고 있지만, 첨단과학이나, 또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인 “망종(芒種)”이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다. 이 때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바쁜 때로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도 있는데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는 뜻이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이라는 말도 있다. 또 이때쯤은 가뭄이 들기도 한다. 논과 밭 모두 바싹바싹 타들어가고 옹달샘 물마저 끊겨 먼 데까지 먹을 물을 길러 다니기도 했다. 농사가 나라의 근본이었던 조선시대엔 비가 오지 않으면 임금까지 나서서 기우제를 지내야 했는데 《조선왕조실록》에 “기우제”가 무려 3,122건이나 나올 정도다.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먼저 산 위에 장작을 쌓아놓고 불을 놓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산에서 불을 놓으면 타는 소리가 천둥 치는 소리같이 난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며, 연기를 통해 하늘에 간절함을 전한다는 얘기도 있다. 또 하늘님을 모독하거나 화나게 하여 강압적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기증한 나도 기쁘지만 수십 수년 동안 떠돌다가 고국으로 돌아가게 된 이 문화재들은 얼마나 감격이 크겠는가라고 남긴 말씀에서 두암 선생의 고국과 우리 문화재에 대한 사랑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는 국립진주박물관 두암실(斗庵室)에 전시된 두암(斗庵) 김용두(金龍斗, 1922~2003) 선생에 대한 설명이다. 김용두 선생은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건너간 뒤 제2차 세계대전 중 징용되어 동남아시아 등 전장(戰場)을 떠돌았으며 전쟁이 끝난 뒤 사업가로 자수성가하게 된다. 두암 선생은 일본의 한 골동품 가게에 전시된 백자항아리 앞에서 큰 감동받은 이래 일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게 된다. 이렇게 수집한 문화재는 ‘사천자(泗川子) 콜렉션’이라는 이름으로 수집한 문화재가 국내 학계와 문화계 인사들과 교류하면서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혼란한 시기에 일본으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고국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생각에서 고향인 사천과 가까운 국립진주박물관에 1977ㆍ2000ㆍ2001년, 세 차례에 걸쳐 귀중한 문화재를 기증하였다. 김용두 선생이 기증한 문화재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토기ㆍ도자기ㆍ회화ㆍ글씨ㆍ공예품 등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서 방영기는 춤과 소리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춤은 한영숙, 소리는 이창배 명인을 비롯하여 당대 내로라하는 명창들에게 배웠다는 이야기, 1991년 경기국악제에서 문화체육부장관상을 받은 이후, 1999년 제6회 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앞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방영기는 본격적으로 소리 공부를 시작한 지 꼭 30년 만에 그것도 산타령을 불러 전국대회에서 대통령상을 거머쥔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박춘재는 고종 앞에서 산타령을 불러 총애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지만, 방영기는 산타령으로 대통령상을 받았다. 일반인들은 소리 공부 30년 만에 대통령상을 받은 것이 뭐 그리 대단하냐며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나, 속을 아는 사람들은 그 상이 얼마나 힘든 노력의 대가요, 결정인가를 알고 있다. 왜냐하면 대통령상을 걸고 열리는 경서도 소리 대회가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여기서 경서도 민요란 말은 경기소리와 서도소리를 함께 가리키는 말이다. 중부지방, 곧 서울ㆍ경기ㆍ인천ㆍ충북ㆍ충남의 북부지방, 강원도의 서남부 지방을 포함하는 중부지역의 소리를 흔히 경기소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느 사회나 ‘지금 것’이 아니라 ‘옛것’에 대해서 향수를 갖게 되나 보다. 한국도 6~70년대 거리를 재현해 놓는다거나 이 무렵의 물건들을 모아놓은 사설 박물관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보면 옛것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웃 나라 일본도 옛것에 대한 향수에 관심이 많은 데 최근에는 조형 작가(造形作家) 이소무라 유리(磯村友里, 46살) 씨의 ‘옛것’에 대한 미니어처 전시가 열리고 있어 시선을 끌고 있다. 이소무라 유리 씨의 작품 배경은 1975년대로, 이번 전시는 예전에 교토 상점가에서 팔던 막과자 가게(駄菓子屋), 소바(메밀국수) 가게, 문구점에서 팔던 어린이용 과자 등을 재현한 미니어처 작품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막과자 가게의 미니어처 모습을 보면 다다미방에 소쿠리를 놓고 거기에 경단이나 양갱 등을 담아 팔고 있다. 아울러 노련(일본 가게에서 영업 중임을 알리는 출입구에 늘어뜨린 헝겊), 차단스, 코타츠(일본 난로), 이불, 족자 등의 물건도 있다. 또한 현관 진열장에는 화지와 찰흙, 장식용 구슬을 이용해 정교하게 만든 차림표도 전시된다. 이소무라 유리 씨는 이번에 전시 중인 작품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방영기 명창의 국악입문 50돌을 기념하여 영상으로 제작된 공연 내용을 소개하였다. <산타령>의 <놀량>을 독창으로 불러 선소리꾼으로의 공력을 여지없이 보여주었다는 이야기, 성남의 명창들과 함께 경, 서도민요를 흐드러지게 불러 주었다는 이야기, 지경다지기 소리는 방영기 명창이 발굴한 작품으로 경기 중부지역의 음악적 토리와 특색있는 선율로 짜여져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방영기의 고향은 경기도 성남, 분당구 이매동이다. 5대째 200여 년을 한자리에서 살아온 뿌리 깊은 집안의 2남 8녀 가운데 장남이다. 10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부모님의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며 자랐는데, 어린 시절을 그는 이렇게 회상한다. “지금과는 달리 이때만 해도 아들로 태어난 것은 집안의 경사로 여겼던 시절이었습니다. 부모님의 사랑은 말할 것도 없었고, 성장과정에서 조부, 조모님의 사랑도 하늘만큼 높았고 바다처럼 깊었지요. 그런데 저는 어려서부터 춤추고 노래 부르는 것이 너무도 좋았습니다. 그래서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서 춤과 소리를 배우겠다고 하자, 가문의 종손이 춤꾼이 되려고 하고, 소리꾼이 무슨 말이냐라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오는 7월 23일(금) 열기로 한 도쿄올림픽에 대한 ‘중지’ 의견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에 관련한 <데일리 투표 순위>를 보면, 5월 10일부터 5월 20일까지 일반 시민 대상 투표 중 5월 18일 현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은 “도쿄올림픽에 대해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였고 응답자는 65만 명이었다. 1) 중지해야한다 (79.4%, 51만 6627표) 2) 연기해야한다 ( 8.3%, 5만 4090표) 3) 관객수를 제한해서 열어야 한다 (7.4%, 4만 8395표) 4) 기타 (4.9%, 3만 1932표) 65만 명의 응답자 가운데 무려 80%에 가까운 사람들이 ‘중지해야 한다’라고 대답했다. 실제로 필자의 일본 지인들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중지’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보내왔다. 특히 사이타마현 오노 모토히로(大野元裕) 지사는 5월 18일 자 산케이신문(産経新聞)과의 기자 회견에서 “코로나19가 수습되지 않는 한 도쿄올림픽ㆍ패럴림픽의 개최 중지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나라(奈良) 및 도쿄도의 대응에 관해 ‘감염 상황을 보고 냉정하게 판단해 주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개최 직전에 감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12가사의 연행 형태와 장단 및 반주형태 이야기, 12가사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는 하나 그 전승이 활발치 못하다는 이야기, 선율구조는 아름다우나, 그 노랫말의 뜻을 이해하기 어렵고, 박자가 느리고 반복이 심해 확산의 제한을 받는다는 이야기, 활발한 전승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표기회나 경연대회, 대학의 전공 확대 방안 등을 위해 관련 기관과 단체, 그리고 문화재청은 특별한 대책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방영기 명창의 국악입문 50돌을 기리는 발표공연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방영기의 공연은 지난해 몹시도 춥고 바람이 세차게 불던 겨울에 ‘성남아트쎈터 콘써트 홀’에서 열렸다. 정확하게는 12월 15일이었다. 국가무형문화재 19호 선소리 산타령 전수조교로 활동하고 있는 방영기 명창이 국악 입문 50돌을 기리는 큰 공연, <2020, 우리소리를 찾아서>라는 공연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불청객 코로나19가 극성을 부려 객석은 거의 비어 있었고, 영상을 통해 공연을 관람한 숫자가 상상을 초월했다고 한다. 비대면 공연이어서 객석으로부터의 추임새는 기대할 수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