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김지연)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토성(사적) 내 삼표산업 풍납공장 일부 반환 터(6,076㎡)에 대한 시굴조사에서 풍납토성 서성벽의 흔적을 확인하였다. * (주)삼표산업 풍납공장 일부 반환부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305-14번지 일원 ㈜삼표산업 풍납공장 일부 반환 터는 공장 전체 면적의 약 30%에 해당하는 6,076㎡ 면적으로, 송파구․서울시와 ㈜삼표산업 간 인도소송 과정 중 2021년에 우선 반환된 것이다. 문화재청은 이 부지 내 성벽의 잔존여부 확인을 위해 지난해 12월 8일부터 5일간 시굴조사를 한 바 있다. 이번에 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문화재청 「풍납토성 보존ㆍ관리 및 활용에 관한 기본계획」에 따라 서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다. 이번 조사에서 성벽의 구조, 진행 방향, 축조방법, 잔존양상 등이 기존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발굴조사 결과와 일치한다는 것과 특히 서성벽의 진행방향이 ‘남성벽—서성벽 복원지구 발굴조사 현장(구 삼표사옥부지)—삼표산업 풍납공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해 의미가 크다. 축조방법 또한, 중심골조에 해당하는 중심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2022년 호랑이해를 맞아 ‘인검(寅劒)’을 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고궁박물관 상설전시장 ’과학문화실‘에서 소개하고, 1월 3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또한 소장품 속 호랑이를 경쾌하게 해석한 그림을 담은 달력을 제작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제공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인검은 호랑이를 뜻하는 ’인(寅)‘자가 들어가는 때에 제작한 의례용 칼이다. 인은 양기를 뜻함과 동시에 의(義)를 상징하여 나쁜 기운을 막고, 임금과 신하의 도리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인검은 왕실에서만 만들었던 칼로 사인검과 삼인검, 두 종류가 있다. 사인검은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 인시(寅時), 네 시기에 맞춰 제작하고 삼인검은 세 시기를 맞춰 만든 칼이다. 이렇게 인검은 특정한 시기에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래된 쇠를 사용했고, 특별히 뽑힌 장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국민과 함께 가꾸고 즐기는 문화유산’을 만들어 가기 위한 「2022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지난 5년 동안 문화재청은 ▲문화유산의 온전한 보존과 전승(보호대상 문화재 확대, 주민 지원 및 문화재 규제 개선, 지속가능한 무형유산 전승 활성화) ▲국민의 문화유산 향유기회 확대(활용 콘텐츠 다양화, 수요자 중심의 안전한 향유서비스 제공, 코로나 시대 국민 심신 치유) ▲세계 속 우리 유산 가치 증진(유네스코 유산 지속 등재, 국외문화재 환수·홍보 확대, K-무형유산 바로 알리기) ▲문화유산의 미래값어치 창출(포괄적 문화재 보호체계 도입, 디지털 대전환 기반 마련, 첨단기술 활용 문화재 보존·관리 강화) 등 문화유산을 통해 국민의 삶이 풍요로워지고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올 한해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가꾸고 즐기는 문화유산’이라는 목표 아래, 4대 전략과 16개 과제를 중심으로 한 ‘2022년 주요업무계획’을 마련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국민의 일상 가까이에서 함께 하는 문화재 정책을 펼쳐 나갈 방침이다. [ 2022년 새 추진사업 ] 문화재청에서 2022년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강원도기념물인 「봉양리 뽕나무(’71.12.16.지정)」를 「정선 봉양리 뽕나무」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강원도 정선군청 앞에는 유서 깊은 살림집인 정선 상유재 고택(시도유형문화재 제89호)과 뽕나무가 있다. 정선군 문화유적 안내(1997. 우리문화 유적)에 따르면 약 500년 전 제주 고씨가 중앙 관직을 사직하고 정선으로 낙향할 당시 고택을 짓고 함께 심은 뽕나무라 전해지며 후손들이 정성스럽게 가꾸어 오고 있다. 봉양리 뽕나무는 비교적 크고 2그루가 나란히 자라 기존에 단목으로 지정된 뽕나무와는 차이가 있고, 북쪽 나무는 높이 14.6m 가슴높이 둘레 3.5m 수관폭은 동-서 15m 남-북 15.2m이며, 남쪽의 나무는 높이 13.2m 가슴높이 둘레 3.3m 수관폭은 동-서 18m 남-북 15.8m로, 규모에서도 사례가 드물고 생육상태가 좋아 수형이 아름답다. 정선군 근대행정문서에는 1909년 이 지역의 양잠 호수와 면적에 대한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이번에 지정한 봉양리의 뽕나무는 정선 지역에서 양잠(養蠶, 누에를 사육하여 고치를 생산)이 번성했음을 알려주는 살아있는 자료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조선 시대 천문학 기구인 해시계 ‘앙부일구’ 3점을 비롯해 조선 시대 전적 및 불교조각 등 모두 5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오목해시계 곧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모두 3점으로 각각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이 소장 중이며, 특히 이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은 2020년 미국에서 돌아온 환수문화재다.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앙부일영(仰釜日影)’으로도 쓰며,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의미이다. 1434년(세종 16) 장영실(蔣英實), 이천(李蕆), 이순지(李純之)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으며, 그해 10월 종묘 앞과 혜정교(惠政橋, 현 서울 종로에 설치되었던 다리)에 각 1대씩 설치하였고, 조선 말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궁궐과 관공서에 널리 보급되었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앙부일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사례가 없으며, 지금 남아있는 앙부일구의 경우, 겉면에 ‘북극고 37도 39분 15초(北極高 三十七度 三十九分 一十五秒)’라고 새겨진 명문의 위도 값이 1713년(숙종 39) 이후 처음 사용된 사실이 《국조역상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종희)은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무형문화재 디지털 홍보 안내서인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함께하는 무형문화재》(아래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를 펴냈다.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는 종목별 개요와 간략한 소개, 내용과 특징 등을 한 장으로 정리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전 종목을 온라인에서 손쉽게 만나볼 수 있도록 만든 전자책이다. 2020년에는 전통 공연ㆍ예술 분야를 수록하였고, 이어서 올해는 의례ㆍ의식, 전통 놀이ㆍ무예, 전통 지식ㆍ생활관습 분야를 다뤘다. 2022년에는 전통 기술 분야를 펴낼 계획이다. 이번에 두 번째로 제작한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는 ‘함께하는 무형문화재’를 부제로 의식(종묘제례 등 20종목), 전통 놀이ㆍ무예(씨름 등 12종목), 전통 지식ㆍ생활 관습(해녀 등 12종목) 관련 국가무형문화재 44종목을 수록하고 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전자책 펴냄을 통해 무형유산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를 높이는 한편, 학교와 공공기관 등 교육 현장에서 우리 전통문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 장으로 읽는 무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과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은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재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2021년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를 시범 운영하여 접수된 모두 51건 가운데 10개의 프로그램을 인증했다.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는 문화재교육의 확산과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문화재보호법의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우수한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국가가 인증하는 제도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인증제를 올해 시범운영하였고, 관련 전문가 10인으로 인증심의위원회(인증전문위원, 인증심의위원 10인)를 구성해 요건, 현장, 서류 심사와 최종 심의를 거쳐 “광산, 문화유산 꽃이 피다” 등 10개의 프로그램을 최종 인증했다. 이번에 인증된 10개의 프로그램은 문화재청장 명의의 인증서를 받게 되며, 앞으로 3년 동안 인증표시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과 함께 언론보도와 홍보책자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올해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 신청을 하였으나 인증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가로 자문(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2022년부터는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를 본격적으로 운영하여, 우수한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문화재 수리 과정에서 수반되는 해체부재의 처리 기준과 절차 등을 마련하여「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업무지침」에 반영하고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그동안 문화재를 수리하는 가운데 해체되는 부재에 대해 별도의 처리기준 없이 수리 관계자(관계전문가, 시공사, 소유자, 발주자 등) 등을 중심으로 결정(재사용 또는 폐기 등)하면서 문화재 현장별로 부재의 재사용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문화재 보존관리(안정성·경제성 또는 진정성 유지)에 있어 수리관계자 간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번에 새로 마련한 해체부재 처리기준에 따르면, 앞으로 설계 단계부터 해체부재 분류 기준에 따라 부재 하나하나의 상태를 조사ㆍ진단ㆍ분류ㆍ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 단계에서는 실제 해체 결과를 확인ㆍ반영한 조치 계획을 수립한 뒤 반드시 ‘해체부재 처리 기술회의’(이하 기술회의)를 통해서 처리 방법을 결정한 뒤 결과를 기록해야 한다. 또한, 기술회의에는 관계전문가와 함께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이 참석하여 훼손(부식, 파손 등)된 부재도 최대한 보수ㆍ보강을 거쳐 재사용하거나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이관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종희)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의 삶을 구술로 기록한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자서전》 5권을 펴냈다.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자서전》 발간 사업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의 이야기를 통해 국민이 무형문화재 전승 과정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공감하는 기회가 되도록 기획되었다. 지난 2017년부터 펴낸 자서전은 올해 발간된 5권을 포함하여 모두 45권이다. 자서전은 2011년부터 진행한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채록 사업’에서 확보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시간의 흐름과 주제별로 본래의 뜻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재편집의 과정을 거친다. 또한, 구술 내용에 등장하는 시대 상황과 관련 인물·사건 등에 대한 소개를 추가하여 독자들이 더욱 쉽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올해 발간된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자서전》 5권은 강강술래 박용순 보유자,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영희 보유자, 예천통명농요 이상휴 보유자, 윤도장 김종대 보유자, 황해도평산소놀음굿 고 이선비 보유자의 생애와 활동이 각각 담겨 있다. ▲혼인 뒤 6명의 시동생과 8남매 자녀를 돌보며 살림을 일구면서도 강강술래 가락을 잊지 않고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宣化堂)」 등 8건의 관아(官衙)건축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이번에 지정되는 관아 문화재는 서울 1건, 대구 1건, 경기도 3건, 강원도 2건, 경남도 1건이며, 행정체제상으로는 중앙 관아가 1건, 지방 관아로 감영과 동헌 3건, 객사 2건이며, 남한산성의 병영 관아 2건이다. 참고로, 현재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관아건축은 총 5건으로, 모두 객사 건물이다. * 감영(監營): 조선시대 중앙에서 지방 8도에 파견된 관찰사가 정무를 보는 관청 공간 * 동헌(東軒): 각각의 읍치(邑治)에서 지역행정을 총괄하는 지방관의 집무 공간을 통칭 * 국보․보물 관아건축: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통영 세병관(국보), 여수 진남관(국보), 전주 풍패지관(보물), 나주 금성관(보물) 등 * 객사(客舍): 조선시대에는 임금의 상징인 전패(殿牌)를 안치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왕궁을 향해 절을 올리는 곳. 아울러 양쪽 익헌 건물은 사신의 숙소로도 사용. 관아건축이란 왕조시대 관원들이 모여 나랏일을 다스리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