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환절기를 맞아 약초지만, 나물이나 김치를 만들어 먹어도 좋은 왕고들빼기 효능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식물과의 구분 방법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왕고들빼기는 ‘쓴 뿌리 나물’이라는 뜻의 고돌채(苦葖菜)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쌉쌀하면서 고소한 맛이 나 3~4월에는 어린잎, 10~11월에는 뿌리를 나물이나 무침, 김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한다. 왕고들빼기에는 몸에 유익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 왕고들빼기 뿌리보다 잎에 총 폴리페놀이 2배 이상, 총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이상 더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성분은 활성 산소를 없애고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연구에는 왕고들빼기에 함유된 락투신 등 항염 성분이 체내 염증을 완화해 신경 안정,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한의학에서도 왕고들빼기가 몸의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을 튼튼히 해 소화력을 높인다고 전한다. 한편, 왕고들빼기 속(Lactuca)에 속하는 왕고들빼기는 선씀바귀 속(Ixeris)에 속하는 노랑선씀바귀와 맛과 먹는 부위, 생김새가 비슷해 헷갈리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절음식」을 새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 예고한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절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절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의 일상적인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포괄한다. 절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불교 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와 생선, 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절음식」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한 이후 오랫동안 한국의 식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다.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목은시고(牧隱詩藁)》와 같은 문헌에서 채식만두와 산갓김치 등 절의 음식과 관련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묵재일기(默齋日記)》, 《산중일기(山中日記)》의 기록을 통해 절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의 주요 공급처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 음식을 통해 민간과 교류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절음식」은 ▲ 불교 전래 이후 발전해 오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 ▲ ‘살아있는 것을 죽이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은 <완창판소리 – 임현빈의 수궁가>를 4월 12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한다.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 임현빈 명창이 2013년(수궁가), 2017년(춘향가)에 이어 세 번째로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무대에 올라 강도근제 ‘수궁가’를 완창한다. 임현빈 명창은 전라남도 해남에서 태어나 임방울 명창과 한집안에서 국악을 가까이 접하며 성장했다. 중학교 2학년 때까지 북을 배우다 고등학생이 되면서 판소리 공부를 시작한 그는 타고난 박자감으로 소리뿐 아니라 고법 실력 또한 뛰어나 1999년 해남 전국고수대회 명고부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소리꾼으로서의 수상 경력 또한 화려하다. 1993년 제1회 남원 흥부제 판소리경연대회 대상(장관상)을 시작으로 2011년 제38회 춘향국악대전 판소리 명창 부문 대통령상, 2017년 KBS 국악대상 판소리상을 받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중견 명창으로 인정받았다. 국립창극단 재직 시절에는 <산불>, <춘향>, <로미오와 줄리엣> 등 수많은 작품에서 활약하며 안정된 소리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소장 이승재)는 4월 4일부터 19일까지 매주 금ㆍ토요일에 하루 2회(아침 10시, 낮 3시 30분)씩 덕수궁 주요 전각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특별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덕수궁은 고종이 대한제국(1897년~1910년)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른 뒤 황궁으로 사용되었으며, 궁궐 내 전통 건축물과 서양식 건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이다. 이번 덕수궁 전각 내부 특별관람은 덕수궁 내 3개의 주요 전통 건축물 내부를 전문 해설사의 깊이 있는 해설을 들으며 관람하는 프로그램으로,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보물), 덕수궁 내 유일한 2층 목조건물인 석어당, 고종이 승하하신 함녕전(보물)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 정전: 존엄한 왕권을 상징하는 궁궐 내 으뜸 전각으로서, 임금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중요하고 공식적인 의식을 치르던 전각 대한제국 선포 뒤 지어진 중화전은 황제를 상징하는 용 무늬가 새겨진 보개천장과 황금색 창호를 통해 황제국의 위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1593년 선조가 임시로 머물렀던 유서 깊은 건물인 석어당은 궁궐에서 보기 드문 2층 목조건물로, 참여자들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 주일한국문화원(원장 공형식)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돌’을 맞이해 3월 18일(화)부터 4월 2일(수)까지 일본 도쿄의 주일한국문화원에서 한일 전통문화 교류 행사 ‘전통의 손길, 오늘의 만남’을 연다. 한일 두 나라의 전통문화를 아우르며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한 이번 행사는 네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양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韓紙)’와 ‘와시(和紙)’를 활용한 공예 및 대표작품 교류 전시와 전통 종이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국제교류 세미나 ‘종이, 문화를 잇다’ △‘다른 듯 닮은, 한국과 일본의 식문화’를 주제로 양국의 상차림, 절기음식, 전통 과자를 비교 전시한다. 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오른 한국의 장문화 전시, 잔치 음식 시식 체험행사를 운영하는 ‘한식, 온기를 잇다’ △한복 전시와 한복 입어보기 체험, 사진 찍기(사진마당) 등 다양한 참여 행사를 진행하는 ‘한복, 시간을 잇다’ △제기차기, 공기놀이, 팽이치기 등 전통 놀이와 연날리기 가상현실(VR) 체험 등 세대를 아우르는 ‘놀이, 세대를 잇다’를 마련했다.3월 19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전문예술법인 빛소리친구들(대표 최영묵)은 2025년 3월 19일(수) 공덕교육원에서 아이무용단의 4기 입단식과 2025년 개강식을 성황리에 열었다. 이번 행사에는 새롭게 선발된 단원 8명과 기존 단원 9명이 참석해 모두 17명의 단원들이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예술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2021년 창단된 아이무용단은 장애 아동ㆍ청소년들이 예술인으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성장을 견인해 가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최영묵 대표, 이범균 단장, 그리고 60여 명의 단원과 학부모들이 참석해 입단증과 강사 임명장이 수여되었고, 참석자들은 아이무용단의 새로운 출발을 함께 축하하며 응원의 메시지를 나눴다. 최영묵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아이무용단의 모든 단원들이 무용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장애 예술인으로서 자긍심을 느끼기를 바란다"라고 전하며,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지지의 메세지를 전했다. 이범균 단장은 "아이무용단이 내딛는 첫걸음은 우리 사회에 울림과 감동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라며 장애 아동ㆍ청소년 무용단이 미칠 사회적 값어치와 영향력을 강조했다. 보호자 대표 박찬태는 "아이들이 무용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삼월 스무하루 봄이라고는 하지만 바람이 차다 저 땅밑 어딘가에서 새싹들의 꿈틀대는 몸부림이 꽃샘추위에 멈칫 거린다 광화문 돌담 밑 어디선가 날라온 민들레 씨앗의 움트는 용트림 삼월이 가기 전 그 모습을 보고싶다. - 이 윤 옥 -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이국적인 국토 한자락인 제주도는 언제 가 보아도 아름다운 한국의 보물 땅이다. 제주도는 비록 섬이지만 남한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 우뚝 서있고, 산 꼭대기는 전체적으로는 솟아오른 듯 보이지만 가운데가 화산의 분화구로 움푹 패여있어 물이 고여있다. 이 분화구는 사슴이 찾는다고 하여 이름을 '백록담'이라 붙였다. 한라산 주변에는 크고 작은 분화구들이 펼쳐져 있는데, 제주도를 남북으로 횡단하기 위하여 낸 도로를 오르다 보면 한라산 1,100고지를 통과한다. 그 주변에 가면 한라산 정상을 못오르더라도 한라산을 올려다보고, 또 바닷가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어승생악이 있다. 어승생악은 한라산관리소와 박물관이 있어 한라산 생태를 공부할 수도 있어 많은 탐방객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어승생악에 오르려면 이곳 주차장에서 30분~40분 정도만 오르면 되는 곳이라, 한라산 정상을 못오르는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어승생악에 오르면 근세 일제강점기 나라잃은 한국의 아픈 상처도 함께 볼 수 있다. 어승악생 정상에서 제주 북쪽해안가를 살필 수 있는 일제강점기 군사용 동굴진지가 설치되어있는 것이다. 지금은 군사용 진지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언제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 7 1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 5 5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 4 100원까지 1개월이자 원금의 백분의 2.5(아래 줄임) 1원 이내의 것이면 한 달 이자가 원금의 백분의 7이라고 하엿스니까 7전(錢)임니다그려. 한달에 7전이니까 기한까지 넉달이면 28전이요 연리로 계산한다 하면 1년에 84전. 즉 연리 8할4푼의 이자임니다. 연리 8할4품의 이자! 아! 얼마나 무서운 폭리냐!“ 이는 일제강점기 잡지 《별건곤》 제33호(1930년10월01일)에 나온 “지상공개(誌上公開) 폭리대취체(暴利大取締-단속, 제2회), 젼당포ㆍ셋집ㆍ양복점(洋服店)”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지금이야 거의 사라진 풍속이지만 예전엔 기한 내에 돈을 갚지 못하면 맡긴 물건 따위를 마음대로 처분하여도 좋다는 조건에 돈을 빌려주는 일종의 사금융업 ‘전당포(典當舖)’가 있었습니다. 가난한 이들이 급하게 돈이 쓸 데가 생기면 집안에 있던 온갖 물건을 전당포에 가서 전당을 잡히면서 한 푼이라고 더 받으려고 전당포 주인에게 사정을 하는 풍속이 있었지요. 《별건곤》은 연리 84%나 되는 이자에 폭리라며 고발합니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은 2025년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연다. 이번 특별전은 거울에 담긴 고대인의 삶을 들여다보고, 동북아시아 거울 교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시대를 관통하는 거울 문화와 지역별 차이를 폭넓게 소개한다. <1부: ‘빛을 담다’>에서는 청동 거울의 제작 과정과 기술의 발전, 그리고 거울이 고대 사회에서 지닌 의미를 살펴본다. 도성, 집터, 제사 터 등에서 출토된 의례용 거울과 흙, 돌, 납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거울의 의미를 찾아본다. 이어, 파경(破鏡)이라 불리는 깨진 거울, 이를 다듬어 재가공한 가공품, 천에 담아 보관한 거울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당시 거울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귀한 물건이었음을 보여준다. <2부: ‘권력이 되다’>에서는 거울을 소유한 사람들은 누구였으며, 그들이 어떤 사회적ㆍ정치적 배경 속에서 거울을 가질 수 있었는지 주목한다. 지배층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다양한 계통의 거울을 통해, 거울이 지배층의 부와 권력을 상징하는 위세품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