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남쪽 지방에서 시작된 노란 산수유꽃이 서울 곳곳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봄 처녀의 화려한 나들이가 시작된 것이다. 1942년 봄 남쪽에서 서울 청년에게 이런 편지가 왔다. “경주박물관에는 지금 노오란 산수유 꽃이 한창입니다. 늘 외롭게 가서 보곤 했는데, 마음속의 님과 함께 볼 수 있는 감격을 지금부터 기다리겠습니다.” 이 편지를 받고 서울의 청년은 설레는 마음으로 경주 쪽으로 가는 기차에 몸을 실었다. 경주 근처 건천역에서 열차를 내리자 어떤 청년이 한지에 자기 이름을 써 들고 서울에서 온 청년을 맞았다. 둘은 곧 서로를 얼싸안았고 몇날몇일을 함께 지내며 삶과 문학을 논했다. 석굴암 본존불 앞에서 기념사진도 찍었다. 서울에서 내려간 22살의 조지훈이 26살의 박목월을 만난 순간이었다. 3년 전인 1939년 2월 서울에서는 《문장》이란 잡지가 창간되었다. 소설가 이태준이 편집인이었다. 표지의 문장(文章)이란 글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모은 것이었다. 1939년 《문장》 창간호에 박목월이란 시인이 시 「길처럼」으로 등장했다. 그 해 《문장》 3월호에는 조지훈이 「고풍의상(古風衣裳」, 12월호에는 「승무(僧舞)」가 추천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4월의 노래 - 박목월 시ㆍ김순애 곡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구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부노라 아 멀리 떠나와 이름 없는 항구에서 배를 타노라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 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산천초목이 기지개를 켜고 세상이 활짝 깨어난다. 이때 꽃들은 대부분 잎을 먼저 내지만, 더러는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먼저 피기도 한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꽃이 진달래, 개나리, 목련이다. 목련꽃의 봉오리는 터지기 전에는 많은 털이 감싸고 있어 차가운 봄, 꽃샘추위를 견디다 꽃망울을 피우는데, 그때의 봉오리 진 모습은 마치 물에서 피어나는 연꽃의 봉오리와 비슷하고 또 꽃으로 피어난 모습도 언뜻 연꽃과 비슷한 모습이다. 그런 때문에 사람들은 이 꽃을 나무에서 피어난 연꽃이라 하여 목련(木蓮)이라 부른다.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지난 4월 1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슈샨보오이’를 비롯한 박목월의 미발표 시 166편을 공개했다. 이 작품들은 박목월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국문학과 명예교수가 소장한 공책 62권, 경북 경주시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 중인 공책 18권에 담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