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남쪽 지방에서 시작된 노란 산수유꽃이 서울 곳곳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봄 처녀의 화려한 나들이가 시작된 것이다. 1942년 봄 남쪽에서 서울 청년에게 이런 편지가 왔다.
“경주박물관에는 지금 노오란 산수유 꽃이 한창입니다. 늘 외롭게 가서 보곤 했는데, 마음속의 님과 함께 볼 수 있는 감격을 지금부터 기다리겠습니다.”
이 편지를 받고 서울의 청년은 설레는 마음으로 경주 쪽으로 가는 기차에 몸을 실었다. 경주 근처 건천역에서 열차를 내리자 어떤 청년이 한지에 자기 이름을 써 들고 서울에서 온 청년을 맞았다. 둘은 곧 서로를 얼싸안았고 몇날몇일을 함께 지내며 삶과 문학을 논했다. 석굴암 본존불 앞에서 기념사진도 찍었다. 서울에서 내려간 22살의 조지훈이 26살의 박목월을 만난 순간이었다.

3년 전인 1939년 2월 서울에서는 《문장》이란 잡지가 창간되었다. 소설가 이태준이 편집인이었다. 표지의 문장(文章)이란 글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모은 것이었다.

1939년 《문장》 창간호에 박목월이란 시인이 시 「길처럼」으로 등장했다. 그 해 《문장》 3월호에는 조지훈이 「고풍의상(古風衣裳」, 12월호에는 「승무(僧舞)」가 추천을 받아 선보였다. 그러나 이 잡지는 1941년 한국어 사용을 못 하게 하려는 일본당국에 의해 강제 폐간당했다. 박목월은 고향 경주에 머물면서 금융조합 서기 일을 했고 조지훈은 오대산 월정사를 거쳐 그해 겨울에 서울로 돌아와 있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봄에 조지훈이 옛날 잡지에 실린 주소를 확인해서 목월에게 편지를 썼다. “근황이 궁금하오, 얼굴 한번 보고 싶소”라고 썼다.
별 기대를 하지 않고 보낸편지에 곧 답장이 온 것이다. 산수유 꽃을 함께 보자는 앞의 편지였다. 그렇게 해서 박목월(朴木月, 1916~1978)과 조지훈(趙芝薰, 1920~1968)이라는 1940년대를 장식하는 두 시인의 만남이 이뤄졌다. 두주불사(斗酒不辭), 곧 말술을 사양하지 않는 주호(酒豪)로 천하에 인정받게 된 조지훈이 박목월과 경주를 다니고 안강의 옥산서원에서 밤을 같이 지내는 동안 얼마나 많은 술잔을 기울였을 것인가는 상상이 안 된다.
경주 여행을 마치고 경북 영양군(英陽郡) 주실 마을로 돌아간 지훈은 『완화삼(玩花衫)』이란 시를 써 “목월에게”라는 부제(副題)를 달아 경주로 보낸다. ‘완화삼’은 “玩: 희롱할 완/ 花: 꽃 화/ 衫: 적삼 삼”으로서 “꽃을 희롱하는 선비의 적삼”이란 뜻이고 이는 다시 말하면 “꽃을 즐겨 구경하는 선비”, 곧 자신이 소매자락의 꽃잎을 통해 맞는 봄을 묘사한 것이다
완화삼
“차운산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백 리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목월에게 |
이 시를 받은 목월은 곧바로 『나그네』란 시를 쓰고 여기에 ‘지훈에게’라는 부제를 달아 지훈이 머무는 영양의 주실 마을로 보낸다.
나그네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지훈에게
|
이렇게 우리나라 서정시를 대표할 『완화삼』과 『나그네』란 두 시가 탄생한 것이다. 봄을 맞은 문인 선비들의 마음이 절묘하게 표현된 이 두 편의 시는 옛사람들이 시를 먼저 읊으면 그 운(韻)을 따서 답시를 짓는 차운시(次韻詩) 혹은 화운시(和韻詩) 그대로이다. 재미있는 것은 지훈이 낙동강 칠백 리를 먼저 거론하니 목월은 남도 길 삼백 리를 맞대응했고 낙동강의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 남도 삼백리 길의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로 대비되고 있다.
두 시의 댓구가 그리는 풍경이 눈에 선하다. ‘구름 흘러가는’을 ‘구름에 달 가듯이’로 받아냈다.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은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로,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는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로 되살렸다. 젊은 두 시인이 감성의 주고받음과 대비하는 것이 더없이 멋지고 기가 막히다. 그동안 우리들은 이 두 시를 따로따로 보아왔지만 두 시를 같이 놓고 보아야 봄을 맞는 진정한 소회를 알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굳이 낙동강 칠백 리나 남도 삼백 리 길을 걷지 못하더라도 서울에서 이러한 감성을 느낄 수는 있다.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 이 자신의 술친구인 황정숙에게 서울 부근의 경치 중에 한강에 있는 밤섬의 저녁을 묘사하면서
담담하게 흘러가는 한 줄기 긴 강물 澹澹長湖一枺橫
그 물빛이 온통 풀빛처럼 푸르르다 水光渾似草光平
외딴섬 봄바람의 마음 알려 한다면 欲知孤嶼春風意
백구 옆 붉게 타는 저녁놀 바라보라 看取鷗邊夕照明
...... .성호전집 제3권 / 시(詩) 〈아곡 팔경〉 시에 차운하다〔次鵝谷八景韻〕
라고 한 것에서 봄날 저녁놀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가 있다.
일찌기 당(唐)나라 왕발(王勃)은 〈등왕각서(滕王閣序)〉라는 글에 “지는 노을은 짝 잃은 따오기와 나란히 떠 있고, 가을 강물은 끝없는 하늘과 한 색이로다.[落霞與孤鶩齊飛 秋水共長天一色]”라는 절창을 남겼는데 가을이 아니라 봄이라도 노을을 보는 마음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해 지는 서쪽을 바라보며 술잔에 노을과 백구나 따오기를 함께 담아 마시는 풍취야말로 일품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목월과 지훈은 술 이야기가 아니라 봄 날 마음을 같이 할 친구 이야기를 하는 것이고 우리 마음도 그렇다.

누군가는 말한다. 세상에는 세 종류의 친구가 있단다.
‘꽃[花]’과 같은 친구, ‘저울[衡]’과 같은 친구, ‘산(山)’과 같은 친구가 그것이다.
꽃과 같은 친구는 꽃이 지고 나면 돌아보지 않고, 저울과 같은 친구는 이익을 먼저 따져 무거운 쪽으로 기운다고 한다. 그런데 산과 같은 친구는 생각만 해도 마음이 든든하고 한결같은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봄, 산수유만이 아니라 진달래, 개나리, 복숭아, 살구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가 흩어지는 이 봄에 나도 산과 같은 친구를 만나 타는 저녁놀을 바라보며 술잔을 나누고 싶다. 아니 이미 만나고 있지만 우리가 모르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산과 같은 친구를 만나는 것을 기대하는 것보다도 내가 산과 같은 친구가 되어주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그런 친구가 되어주는 것이 이 아름답고 화려하지만, 너무 짧아 늘 아쉬움 속에 눈물을 떨구고 싶은 이 봄을 의미있게 사는 것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