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극한 호우'라는 새로운 용어를 탄생시킨 큰비가 지나간 다음 날 아침 산책길울 오르다 보니 길 곳곳이 파이고 깎여서 성한 곳이 없을 정도다. 길가의 큰 나무들이 강한 비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져 산책을 더디게 만들기도 하고..... 자연의 위력을 다시 실감할 수밖에 없는, 대단한 큰비였다. 아직 하늘도 완전히 개지 않고 잠시 비가 그쳤는데 귀가 시끄럽다. 폭우 속에 잠시 조용하던 매미들이 다시 목소리를 높여 합창을 시작한 것이다. 아, 그렇구나. 8월도 벌써 절반 이상이 지나갔기에 너희들 매미들이 곧 활동을 끝내야 하는구나. 그래, 너희들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구나. 그런 생각을 하며 집으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를 탔더니 그 속에서 주민들에게 공지하는 안내장을 붙여놓은 것이 눈에 들어온다. 주민들과 함께하는 독서실에서 소설 '남아있는 나날'을 함께 읽자는 권유다. 그 소설을 영화화한 같은 제목의 영화도 함께 보자고 한다. 아파트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와 이런 제목의 교양강좌가 며칠 전부터 붙여져 있었는데 그날 매미를 통해 '남아있는 날'에 대해 생각이 미치게 되었다. 소설 '남아있는 나날'은 필자와는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18년 전인 2007년 10월 4일, 부산이 자랑하는 부산국제영화제의 12회째 행사가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의 특설무대에서 개막되었다. 갑자기 비가 많이 쏟아지는 악천후 속에서도 개막식 무대에 펼쳐지는 나라 안팎 톱스타들의 화려한 입장 행렬, 각국에서 온 영화인들을 보기 위해 5천 명 이상의 시민들이 모였고, 이어 개막작인 중국 영화 1편이 드넓은 모래사장을 상생한 영상과 귀를 찢을 음향으로 가득 채웠다. 보름 전 KBS 부산방송총국장으로 부임한 필자는 공식 초대를 받아 이 영화를 감상할 수 있었다. 영화제목은 '집결호'였다. 중국 영화여서 한자로 ‘集結號’라고 병기되어 나왔는데 그 뜻을 알 수 없어서 무슨 배 이름인지 뭔지 궁금해하면서 두 시간 넘는 영화를 다 보았다. 그러고는 비로소 알게 되었다. 집결호란 배 이름이 아니라 집결하라는 신호라는 것이고 이 영화에서는 군에서 작전상 후퇴를 알리는 나팔소리였다. 그러니 우리말 번역으로는 집결호가 아니라 ‘집결나팔’ 혹은 ‘집결신호’라고 했어야 옳았다. 아무튼 우리나라 제작진들이 제작에 참여했다고는 하지만 중국 영화, 더구나 우리의 625 남북전쟁에 중국군으로 참전해 미군을 죽이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가지마다 새잎이 나온다고 신록의 봄을 좋아한 것이 엊그제인 것 같은데 어느새 나뭇잎들이 녹색보다 더욱 진하게 변해 마치 검은 느낌을 주는 계절이 되었군요. 7월이 지나고 8월입니다. 참으로 계절의 버뀜은 무섭다고나 할까요. 한여름 40도 가까운 뜨거운 열기가 날마다 힘들게 하는 나날이지만 저는 요즘 기다려지는 게 있어서 이 더위를 참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집의 어린 곤충학자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입니다. 멀리 떨어져 사는 그 어린 학자가 여름 방학이거든요. 지난 5월 어린이날은 부처님 오신 날까지 합해져 휴식기간이 길었는데 그때 어린 학자가 우리 집을 방문했습니다. 요즘 애들은 산에 가자고 하면 잘 안 따라오는데 손말틀(휴대전화)을 들고 성큼 따라오더라고요. 산책로를 조금 들어가는데 이 학자가 길옆에 주저앉으면서 땅 가까이에 있는 벌레를 보며 소리 지르는 것이었습니다. "와 자벌레다." 우리 어른들이야 벌레를 신경이나 쓰겠습니까? 그런데 그 어린 학자는 자벌레를 보고는 환성을 지르며 사진을 찍습니다. 자벌레가 자처럼 몸을 써서 움직인다고 설명합니다. 이 자벌레가 커서는 이렇게 된다며 대뜸 휴대전화로 곤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