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만물의 씨앗에서 분화된 개체 안에 음과 양이 존재하며 그들의 함량비가 제각각 다양하다. 이들 만상의 에너지를 음양만으로 분별하기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그들의 구성비도 고려하여 다섯 종의 에너지(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로 “생기고 머물다 변하며 사라지는” 세상의 뭇 존재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니 이 같은 이론적 체계를 오행론이라 하였다. 목, 화, 토, 금, 수, 다섯 힘이 원운동 순환으로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 다섯 에너지가 만들어 진다. 오기라 하지 않고 오행이라 한 이유는 행(行)이라는 말에 돌아다닌다는 뜻이 있어 순환을 표현하기 적합했기 때문이다 자연계의 오행 인간계의 오행 간지의 오행 음기 양기라는 표현과 별개로 영역이라는 표현을 쓸 때 목행 화행에 속하는 간지는 양의 영역에 있다고 해석한다. 토행은 중의 영역, 금행과 수행은 음의 영역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같은 행에 속하는 천간과 지지를 좀 더 양적인 양간/양지와 음적인 음간/음지로 구별할 수 있다. 천간 지지가 상징하는 바는 고정 불변이 아니다. 시대에 따라 일부 간지들의 명리적 의미가 사주 간명의 적중률을 높이는 쪽으로 변하게 된다. 아예 간지의 정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동방의 조상들은 세상의 뭇 존재들이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나고 죽음을 깨닫고 이로부터 태극 천간 지지 음양오행의 관념(어떤 문제나 주제(主題)에 대하여 합리나 논리에 입각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견해)을 갖게 되었다. 이들이 어우러진 명리학의 우주관은 다음과 같다. 태초의 세상은 시간도 공간도 없었다. 찰라의 순간에 없음(無)의 균형이 깨지고 그 틈으로 우주의 기운을 품은 만물의 씨앗이 태어난다. 곧 이어 씨앗이 터지며 이 세상은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품은 다섯 무리의 존재들로 가득 채워졌다. 이들을 나무를 닮은 무리, 불을 닮은 무리, 흙을 닮은 무리, 쇠붙이를 닮은 무리 그리고 물을 닮은 무리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에너지를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라고 이름 하였다. 이들 에너지의 원운동 순환이 뭇 존재를 생기게, 머물게, 변하게, 사라지게(生住異滅)하는 동력임을 깨달았다. 이들의 순환을 중히 여겨 행(行)이라 불렀다. 이로써 오행론(五行論)은 명리학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오행의 개념은 전국시대 말 형성되기 시작하여 후일 역경에 언급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오행의 뭇 존재들을 하늘의 존재인 10종의 천간(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