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4일 낮 3시 서울 인사동 남인사마당에서는 (사)전통문화예술진흥원(이사장 유창)이 주최하고, 종로구가 후원하는 <2023 종로음악이야기>가 열렸다. 동국대학교 김세종 교수가 사회를 본 공연은 문굿으로 시작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이어지며 세상을 노래했다. 우선 문 여는 공연에서 눈에 띈 것은 한채호 등 11명의 초등학생이 나와 송서 <천자문>과 <소년이노학난성>을 소리한 것이었다. 그 어린 학생들이 낭랑한 목소리로 천자문을 외움에 관객들은 크게 손뼉을 쳤다. 선비의 낭랑한 글 읽는 소리’는 갓난아이의 울음소리, 다듬이소리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의 하나”라고 했지만, 여기 아이들이 힘찬 목소리로 <천자문>을 외우는 소리는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소리가 아니던가? 이후 산타령과 양승미류 진쇠춤 군무로 봄을 표현하고 여름을 묘사하는 공연으로 서울시무형문화재 장대장타령 예능 보유자 최영숙과 김혜영 명인이 나서 장대장타령을 불렀으며, 윤선아 외 7인의 쟁강춤과 남성 소리꾼 김형근ㆍ김태수ㆍ김재휘의 장기타령이 이어졌다. 특히 “한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사랑을 받아야만 한다. 그런데 아이돌 음악에만 온통 정신이 팔린 청소년들을 어찌할까? 하지만 그렇다고 포기할 일이던가? 지난 7월 9일과 10일 이틀 동안 상명대 서울캠퍼스 상명아트센터 대신홀에서는 서울 종로구(구청장 김영종) 주최, 서울전통문화예술진흥원(이사장 유창) 주관, 교육부・서울시교육청 후원으로 제16회 종로 전국 청소년 국악경연대회가 열려 성황을 이루었다. 앙증맞은 소리로 판소리 한 대목을 부르고, 조그만 손으로 해금을 연주하며, 어른 못지않게 열두발상모를 휘날리는 아이들. 감탄에 감탄을 할 수 밖에 없도록 했다. 대회는 시작 전부터 로비에 돗자리를 깔고 연습하는 청소년들로 북적였다. 경연대회는 모두 201팀이 참가하여 열띤 경연을 벌이는 가운데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1호 경기소리 보유자이며 (사)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 이사장인 임정란 명창을 비롯하여 쟁쟁한 명사들이 심사위원으로 참가하였다. 경연이 끝나면 채점표를 바로 정리하여 알림판에 붙이고, 직접 스승과 8촌 이내 친인척 심사회피 제도를 두는 등 공정한 심사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입상자는 종합대상 초등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