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산양의 겨울철 폐사를 줄이기 위해 추진했던 산양보호대책의 결과, 지난 동절기 산양 폐사 개체수를 예년 평균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두 기관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폭설 등 자연재해 발생 대비 산양보호 강화 대책」(‘24.10.28)에 따라 산양의 주요 서식지를 3개 권역(양구ㆍ화천 / 인제ㆍ고성ㆍ속초 / 울진ㆍ삼척)으로 구분하고, 권역별 민ㆍ관ㆍ군 협력체를 구성하여 다양한 보호 대책을 추진해 왔다. * 양구ㆍ화천 권역(국가유산청), 인제ㆍ고성ㆍ속초/울진ㆍ삼척 권역(환경부)으로 담당구역을 나눠 산양 먹이 급이, 순찰 강화 등 폐사 저감을 위한 사전 예방조치 시행 우선 겨울철 먹이 부족으로 인한 산양의 탈진 등을 예방하고 자생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먹이급이대 모두 80곳과 폭설 때 쉬어갈 수 있는 쉼터 22개소를 운영하여, 뽕잎, 건초, 미네랄 블록 등을 약 2만 2천 톤을 공급하였다. * 국가유산청 : 양구ㆍ화천 권역 57곳(쉼터 22개소 포함) 16,610kg 공급 환경부 : 인제ㆍ고성ㆍ속초 권역 15곳 1,832kg 공급, 울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봄의 전령 매화가 피어났다. 겨울내 나라가 온통 대통령의 계엄선포와 탄핵사건으로 움츠려들어서인지 해마다 3월 중순이면 피던 매화가 올해는 4월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꽃망울을 터트렸다. 순천 선암사의 '선암매'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을 정도로 그 자태가 아름답기로 소문나 있다. 온나라 절에는 많은 매화나무가 있고, 특히 한 두그루 유명세를 타는 유서깊은 매화나무가 있는데 특히 순천 선암매는 한국의 유명한 매화꽃 가운데서도 으뜸으로 손꼽힐 정도로 매혹적이다. 선암사에는 무우전과 팔상전 주변에 피어난 20여 그루의 매화나무 있는데, 그 가운데 300년 이상 자라나 고목이 된 백매와 홍매 각 1주가 한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를 '선암매'로 부른다. 이 선암매는 고려시대 중건한 전각의 상량문에 선암사의 와룡송과 함께 매화 관련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오랜 세월 선암사의 흥망을 지켜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의 선암매는 고려 천년의 후손 나무라고 봐도 좋을 듯하다. 현재 선암매 주변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받은 매화나무 말고도 선암매의 후손에 해당하는 20여 그루의 매화가 자라나고 있어 이 계절이 되면 선암사를 온통 매화향으로 감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내장산국립공원백암사무소(소장 최대성)는 우리나라 4대 매화로 꼽히는 백양사 ‘고불매(古佛梅)’가 꽃 피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장성 백양사 고불매는 국가유산청이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우리나라 ‘4대 매화’ 가운데 하나로, 강릉 오죽헌 율곡매(제484호), 구례 화엄사 화엄매(제485호), 순천 선암사 선암매(제488호)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486호로 지정되어 있다. 올해 개화 시기는 예년보다 1주일 정도 늦어져, 4월 첫째 주까지 그 은은한 향기와 화려한 자태를 뽐낼 것으로 예상된다. 나경태 행정과장은 “이번 주말 고불매 축제와 더불어 많은 탐방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백양사 고불매와 함께 탐매(探梅)의 즐거움을 느껴보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규모가 크고, 모양과 자람 상태도 뛰어나며, 지역의 역사를 같이한 늙은 나무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와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한다.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는 생장추로 수령을 측정한 팽나무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은 537(±50)살(2020년 기준)이며, 나무높이가 건물 5층 높이인 20m, 가슴높이둘레 7.5m로 규모도 크다. 나무 밑둥 3m 높이에서 남북으로 넓고 균형 있게 가지가 퍼져 나무 모양이 아름다우며 자람 상태도 우수하다. * 생장추: 나무의 나이, 즉 나이테를 측정하는 기기로, 목편(나무를 잘게 쪼갠 조각)을 빼낸 뒤 목편에 나타난 나이테 수를 세어 수령을 측정할 수 있음 팽나무가 있는 군산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하며 급격히 변화한 곳이다. 마을에 항구가 생기고 기차가 들어서며 번성하던 모습부터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며 사라져간 지금까지 지난 500여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마을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지켜보며 하제마을을 굳건히 지켜온 소중한 자연유산이다.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는 과거 부여 석성현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9월 26일 낮 3시 충남 금산군 금강일대에서 증식을 통해 인공 부화한 천연기념물 어름치 2,000마리를 방류한다. * 방류 위치: 충남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 436 이번 방류는 지난 2022년 6월 국가유산청과 금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대청호보전운동본부가, 천연기념물 어름치의 증식과 보존을 통해 대국민 자연유산 보호의식을 기르고 금강수계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맺은 업무협약의 하나로 추진된다. 앞서 네 기관은 지난해 7월에도 어름치 1,000여 마리를 금강일대에 방류한 바 있다. 어름치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한국 고유종으로, 물이 맑고 바닥에 자갈이 깔린 큰 강의 중ㆍ상류에 살며, 육식성으로 주로 수생곤충을 잡아먹는다. 산란기는 4~5월이며, 바닥에 자갈이 깔려 진 곳을 골라 알을 낳고 자갈을 모아 산란 탑을 쌓는 특징이 있다.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분포지역이 국한되어 있어 절종의 위험에 놓여 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7월 2일 세종시 미호강 일대와 충청남도 부여ㆍ청양 지천에서 증식을 통해 인공부화한 자연유산 미호종개를 각 1,500마리씩 모두 3,000마리를 방류했습니다. 이번 방류는 지난 2022년 6월 국가유산청과 금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대청호보전운동본부가 천연기념물 미호종개의 증식과 보존을 통해 대국민 자연유산 보호의식을 함양하고 금강수계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맺은 업무협약에 따른 것입니다. 금강에 사는 참 예쁜 물고기 ‘미호종개’는 몸길이가 약 10㎝ 정도며 몸은 가늘고 깁니다. 주둥이는 끝이 뾰족하고 몸통은 굵지만 꼬리는 가늡니다. 입가에는 3쌍의 수염이 있고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3줄의 갈색 띠가 있습니다. 미호종개는 물 흐름이 느리고 물 깊이가 얕은 물의 모래 속에 몸을 파묻고 살지요. 5~6월에 알을 낳고, 모래 속에 있는 플랑크톤을 먹는 미호종개는 한국 고유종으로 금강 수역에만 드물게 삽니다. 그런데 물이 더러워지고 모래를 파가 미호종개가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었지요. 따라서 살아남은 미호종개 수가 크게 줄어 없어질 위기에 놓이게 되므로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펄펄끓는 용암이 끓어오르며 땅으로 내리꽂혔다 솟아오르던 불기둥이 누천년 세월에 식어 주상절리의 빼어난 경관이 생겨났다 아름다운 절경의 본시 모습이 불타오르던 용암에서 비롯되었다니 대자연의 신비도 거저 생긴 것은 없어라. - 이고야 '주상절리'- 화산이 분출할때 지표로 뿜어나온 용암이 식으면서 수축작용에 의해 수직의 돌기둥 모양으로 갈라진 절리(節理) 곧 암석에 비교적 규칙적으로 생긴 금이 ‘주상절리(柱狀節理)’다. 우리나라는 학술적 값어치와 희소성 등이 인정되는 주상절리 자체를 각종 기념물로 지정해 놓았는데 대표적인 곳으로는 제주 중문ㆍ대포해안의 주상절리대(천연기념물, 2005년 지정), 광주 무등산 주상절리대(천연기념물, 2005년 지정), 경상북도 포항의 달전리 주상절리(천연기념물, 2000년 지정),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2012년 지정), 경상북도 포항의 오도리 주상절리(2023년 지정) 등이 있다. 위 사진은 제주 중문ㆍ대포해안의 주상절리대 모습이다. 제주중문ㆍ대포해안주상절리대는 서귀포시 중문동ㆍ대포동 해안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데 거리는 약 3.5km에 이른다. 주상절리의 크기는 키가 큰 것은 20m 안팎으로 발달하며 상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누에는 본래 뽕나무 잎을 먹고 자라는 애벌레로, 가을이면 뽕나무 가지에 누에고치를 틀고 번데기가 되어 겨울잠을 자다가, 봄이면 고치를 깨고 나와 나비가 되어 그 뽕나무 잎에 알을 까게 되는데, 그렇게 깨어난 애벌레는 다시 뽕나무잎을 먹고 자라나 가을이면 또 누에고치를 만드는 생을 반복하는 것이 곤충인 누에의 일생이다. 이런 누에삶의 원리를 알게된 사람들은 가을이면 뽕나무 가지에 매달린 누에고치가 아주 가늘고 부드러운 실로 되어있음을 알게 된 뒤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다가, 비단실을 뽑기 위하여 누에를 집안에서 키우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렇게 누에는 야생의 뽕나무에서 삶을 살지 못하고, 사람이 사는 집의 방안으로 들어와 살게 되었는데, 사람들은 누에가 먹는 뽕잎을 부지런히 가져다 먹였다. 누에는 자라는 동안 몇 차례 잠을 자고, 그 잠에서 깰 때마도 허물을 벋고 무럭무럭 자라나고, 다 자란 뒤에는 하얀 애벌레가 노란 번데기가 되어 스스로 누에고치를 틀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된채 깊은 겨울 잠에 들었다. 그러면 사람들은 누에들이 만들어놓은 누에고치들을 모아서 뜨거운 물속에 풀어 실마리를 찾아내어 여러겹으로 꼬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