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더불어 살기

이창호 대표의 어려운 이웃 손을 잡아주기 10년

무이자ㆍ무보증ㆍ무담보 대출의 ‘더불어사는 사람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저는 신협(이하, 신용협동조합)을 사랑합니다. 왜냐구요? 우선은 신협의 주인은 타인이 아닌 바로 나이기 때문입니다. 은행의 주인은 예금주가 아니라 주주이지만 신협의 주인은 조합원입니다. 이것이 신협을 영원히 발전시킬 수 있는 원동력인 것입니다. 은행에 예금을 많이 하면 의료혜택을 줍니까? 그러나 신협은 조합원(가족포함)이면 누구나 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창호 ‘나의 신협’ 글 가운데, 중앙신협회보 1978.2.15. -

 

은행의 주인은 주주이며, 신협의 주인은 조합원(나)이라는 말이 꽤 설득력이 있게 느껴진다. 1978년이면 이창호(더불어사는 사람들) 대표의 나이 22살 때다.

 

이창호 대표라고 하면 따라붙는 수식어가 한두 개가 아니다. 한마디로 요약해서 "벼랑 끝에 놓인 어려운 사람들에게 무이자, 무담보, 무보증으로 대출을 해주는 사람”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3무(3無: 무이자, 무담보, 무보증) 대출? 헉 그런 곳이 있나 싶지만, 확실히 ‘있다’.

 

단, 조건이 있다. 아파트를 사거나 큰 차를 사기 위한 대출이 아니라 당장 아파서 병원 갈 돈을 구하지 못한 사람, 쌀 살 돈이 없어 굶고 있는 사람, 적은 월세마저 못 내서 거리로 나앉아야 하는 사람 등등이 궁여지책으로 빌릴 수 있는 금액이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적게는 5만 원부터 크게는 200만 원 정도의 돈을 빌릴 수 있다.

 

 

이창호 대표는 20대 시절부터 신협에 깊은 관심과 애정이 있었다. 그런 그가 2011년,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사단법인)더불어사는 사람들’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취약계층 사람들에게 소액대출을 시작했다. 이 소액대출에 대한 정식 이름은 없지만 기자는 이를 편의상 ‘착한대출’로 부르겠다. 착한대출의 조건은 무엇일까? 신뢰할 것이라고는 ‘열심히 일해서 갚겠다는 의지’ 하나만을 보고 빌려주는 그야말로 ‘사람신용’ 그 자체다.

 

2011년, 자본금 3천만으로 시작하여 준비기간을 거쳐 첫 대출은 2012년에 이뤄졌는데 첫해에 36건으로 모두 3천만 원을 대출해줬다. 이후 5년이 되던 2016년에는 326건의 대출에 대출금은 1억을 넘어섰다. 대출액의 증가는 ‘착한대출’의 선행에 동참한 사람들의 후원금으로 충당되었다.

 

이렇게 성장을 거듭한 이래 ‘착한대출’은 2021년 7월 현재, 총 누적 대출액 14억5천만 원, 상환금은 11억 8천만 원에 이르고 있으며 4,232건의 대출 실적을 보였다. 1인 평균대출은 약 34만 원, 상환율은 약 88%다. 바로 오늘, 8월 30일이 ‘(사단법인)더불어사는 사람들’을 설립한 지 10년을 맞이하는 날이다.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담보 능력을 갖춰야 한다. 신용 역시 어지간한 직장이 아니면 빌려주지 않는다. 이러한 계층에 속하지 못한 이른바 ‘취약계층’ 사람들에게 소액의 돈 몇십만 원은 어쩌면 ‘제도권 사람들’의 수천만 원보다 크게 느껴질지 모른다. 그만큼 절실한 금액이다. 이들의 아픈 마음을 헤아려 올해 10년째 ‘착한대출’을 부여잡고 봉사정신을 발휘하고 있는 이창호 대표를 이틀 전 시내 카페에서 만났다. 다음은 이창호 대표와의 대담 내용이다.

 

 

 

1만 원을 다급하게 빌리는 것은 생의 최후 보루

설립 10년을 맞는 ‘더불어사는 사람들’ 이창호 대표

 

 

- 벼랑 끝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줘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20대 때 GM코리아자동차 부평공장에 다니면서 신협(신용협동조합)의 조합원이 되어 그 장점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신협은 조합원이 주인일뿐더러 저축 외에 급전이 필요하면 빌려주고 가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혜택이 있었다. 은행이 돈의 창고라면 신협은 ‘인간 냄새나는 이웃’ 같은 존재라고 생각했다. 돌아보면 그 시절 신협 조합원이 된 것이 큰 자양분이었다. 지금 하는 일은 40여 년 전부터 꿈꾸던 일이었다고 봐도 무난하다.”

 

- 소액대출을 구체적으로 실천에 옮긴 것은 언제부터인가?

 

“사단법인 ‘더불어사는 사람들’을 만든 것은 2011년으로 올해 꼭 10년을 맞는다. 지금 하고 있는 소액대출은 제도권 금융회사와 거래하기 힘든 저소득층에게 담보 없이 대출해주는 제도로 다른 나라에서는 ‘마이크로크레딧(Microcredit)이란 이름으로 운영 중이다.

 

 

 

마이크로크레딧은 2006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방글라데시 사회운동가 무함마드 유누스 씨로부터 시작한 운동인데 유뉴스 씨는 1973년, 단돈 20여 달러 때문에 고리대금업자의 횡포에 시달리던 빈민의 생활을 보고 자신의 돈을 빌려주기 시작했다. 당시 유누스 씨는 자신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더 많은 빈민에게 담보 없이 소액신용대출을 해주었는데 그 이름이 '그라민은행 프로젝트(Grameen Bank project)'다. 여기서 그라민은 방글라데시말로 '마을'을 뜻한다. 나도 유누스 씨를 직접 만나 여러 이야기를 나눈 바 있다.”

 

- 주로 어떤 사람들이 소액대출을 이용하나?

 

“아주 절박한 사람들이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들에게 10만 원, 20만 원은 큰돈이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1만 원을 다급하게 빌리는 사람도 있다. 그날의 끼니를 마련하기 위한 사람들일 것이다. 라면이라도 사서 끓여 먹고 하루 일자리를 알아보려고 하는지도 모른다. 생각보다 소액대출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생활고에 시달리는 분들이 많다. 일가친척이나 지인들에게조차 손을 벌릴 수 없어 소액대출을 신청하는 것이라고 본다. 말하자면 그들에게 소액대출은 생의 최후 보루인 셈이다.”

 

- 대출 조건은 까다롭지 않나?

 

“사실 조건이 까다롭다면 '소액대출'로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조건도 없고  복잡하지도 않다. 처음에는 직접 만나서 사연을 들어보고 갚을 의지가 있는지 정도를 파악했지만, 그 이후에는 비대면인 전화 통화로 확인한 뒤 빌려준다. 초기에는 상환율이 92%에 육박했다. 현재는 88% 선이다. 이 일이 널리 알려져서 돈을 빌리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빌려줄 수 있는 돈이 한계가 있어서 소액이나마 빌려주지 못할 때가 가장 안타깝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다 보니 일자리를 못 구한 청년들이 몇십만 원이라도 도움을 받고 싶다는 전화를 받을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 자본금 3천만 원에서 시작하여 올해는 약 2억 원으로 늘었다. 재원은 어떻게 마련하나?

 

”더불어사는 사람들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전국에서 관심을 두고 후원해 주는 분들이 늘어났다. 무이자인데다가 상환율이 100%가 아니라서 후원금이 없으면 운영이 어렵다. 이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끊임없는 관심과 기꺼이 주머니를 열고 후원해 주는 후원자들의 덕분이다. 또한 무이자지만 긴요하게 돈을 쓰고 감사의 뜻으로 이자를 내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이 자리를 빌려 어려운 이들을 돕는 일에 후원의 손길을 내밀어 주는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 돈 말고도 병원 치료나 쌀 등의 생필품으로도 돕는다고 들었다. 상황은?

 

”한번은 어떤 분이 전화를 걸어와 상담해보니, 어머니가 중환이라 병원에 가서 MRI를 찍어야 할 상황인데 돈이 없다는 것이다. 빌려주면 꼭 갚겠다고 간절한 목소리로 부탁하는 모습을 보고 돈을 빌려주는 방법 말고 혹시 후원 병원을 찾아보면 어떨까 해서 시작한 것이 재능기부다. 병원에서는 무료로 치료를 맡아주고, 편의점에서는 쌀을, 의류업체에서는 옷 등을 후원하고 있다. 심지어 돈이 없어 과자는 엄두도 못 내는 가정에 간식용 과자를 후원하는 분들도 있다.

 

돈을 빌리면 갚아야 하지만 병원 치료라든지 쌀 같은 후원은 돈을 빌려 부담을 갖는 것보다 삶이 절박한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후원자들과 취약계층을 연결하는 작업도 보람 있는 일이다.“

 

- 앞으로 ’착한대출‘이 어떻게 성장하길 바라는가?

 

”’손발이 부르트도록’ 이란 말이 실감이 나는 지난 10년이었다. 빌려달라는 사람들은 많은데 자본금이 열악하다 보니 후원을 받아내는 일이 절대 쉽지 않았다. 또한 대출을 원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보살피고, 약속한 1년 동안의 상환 상황도 점검하는 등 하루 24시간이 모자랄 정도로 뛰어왔다. 3천만 원에서 약 2억 원에 이르는 자금을 마련했지만, 돈을 빌리고자 하는 사람에 비하면 턱없이 모자란 금액이다. 아주 적은 무상사무실에서 직원도 없이 혼자 봉사의 정신 하나만으로 버텨온 지난 10년은 힘들었지만 보람된 시간이었다. 앞으로 이 일에 관심 있는 분들과 함께 제2의 도약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