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K-방역, K-푸드 한국 민속의 재탐구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제49호 펴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민속학 관련 학술논문집인 《민속학연구》 제49호를 펴냈다. 『《민속학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로, 국립민속박물관의 대표적인 학술지이다. 1994년 1호 발간을 시작으로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학 관련 학술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한해에 2회 펴내고 있다. 《민속학연구》 제49호에는 모두 15편의 논문이 투고되었으며, 논문심사를 거쳐 모두 9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수록 논문들은 의료민속 관련 1편, 의식주 관련 3편, 세시풍속 관련 2편, 신앙 관련 1편, 연희 관련 2편이다.

 

 

 

K-방역 뿌리는 환난상휼과 호혜의 정신에서

 

2021년 국립민속박물관 기획학술대회의 발표논문 중 하나인 「정조(正祖)대의 방역(防疫): 안전과 호혜의 모색」은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재위:1776~1800)의 역병 대책에서 방역의 실천적 지혜를 얻으려는 의도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 역병 환자에 대한 복지 강화, 혜민서*와 전의감**을 동원한 선제적 대응, 그리고 지방 사족들의 환난상휼과 공동체적 연대, 호혜의 실천 등 오늘날 귀감이 될 사례들은 전 세계적인 위기인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정부, 시민, 의료진의 적극적인 참여가 눈부신 K-방역과 맞닿아있다.

 

*혜민서는 조선 태조 초기에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를 위해 설치된 관청으로 혜민국으로 불리다가 1466년(세조 12) 혜민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전의감은 궁중에서 쓰는 의약과 의료행정 및 의학교육의 중추기관으로 왕실과 관료의 치료를 담당한 기구이다.

 

19세기 요리책을 통해 ‘K-푸드’를 생각해본다.

 

식생활 관련 논문으로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연관성 및 조리법 비교」는 조선 후기 요리 백과사전으로, 다양한 음식의 조리법과 재료의 효능에 관한 기록인 서유구(1764~1845)의 《정조지(鼎俎志)》(1827년)와 이를 계승하면서 조선의 둘도 없는 신식 요리법이라는 자부심이 가득한 이용기(1890~1933년경)의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1924년)에 수록된 음식을 대상으로 식재료와 조리법 그리고 두 문헌의 집필원칙과 서술방식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식문화의 특징과 효용성을 재조명하였다. 오늘날 K-푸드가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배경에는 식재료 선택부터 조립법까지 건강을 고려한 식문화의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기 때문이다.

 

 

 

불교 연희의 현대적 해석과 전승의 노력

 

연희 관련 「안정사 땅설법 《안락국태자경》***의 연행 성격-문자기록, 회화와의 비교를 통해서」 논문은 인형극ㆍ창(唱) 등의 연희를 통해 알기 쉽게 불교 교리를 설명하는 ‘땅설법’과 관련하여 안정사에서 연행하는 <안락국태자경> 땅설법과 문헌 기록인 《안락국태자경》과 회화인 <안락국태자변상도>와의 직접적인 연관성 유무를 분석하였다. 올해 땅설법이 문화재청의 ‘2022년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되어 앞으로 더 많은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락국은 사라수왕궁의 사라수대왕과 원앙부인의 태자로 모진 고난을 겪지만 지극한 신심을 유지하여 궁극에는 그 부모와 함께 보살이 되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역사 속 기록을 통해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살피고 우리 민속을 재음미하여 미래가치를 발견하는 의미 있는 주제의 논문들이 실려있다. 발간 학술지는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www.nfm.go.kr) <발간자료원문검색> 서비스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사이트>, <학술자료검색사이트 http:// www.dbpia.co.kr>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