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건강과 풍요,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한국민속상징사전》 ‘토끼 편’ 펴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2021년 《한국민속상징사전》(호랑이 편)에 이어 2022년 ‘토끼 편’을 펴냈다. 이 사전은 《한국민속대백과사전》사업의 하나로 2023년 계묘년 토끼해를 맞이해 ‘토끼띠 학술강연회’, ‘토끼띠 전시’와 연계하여 토끼의 문화적 상징성과 더불어 학술 값어치를 총망라한 민속상징 백과사전이다. 토끼의 생태부터 세시풍속ㆍ설화ㆍ노래ㆍ속담ㆍ유물에 관한 해설까지 풍성하게 수록하여 토끼의 상징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토끼

 

인류의 번창으로 숲을 벌채하면서 토끼의 서식처로 초원이 형성되었고, 그에 따라 개체 수가 늘었다. 그래서 토끼는 5만 년 전부터 인류의 사냥감으로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으며, 토끼털은 토시, 모자, 배자 등 방한용 의복 재료와 함께 고급 붓을 제작하는 데도 활용되었다. 1,600년 전 고구려 고분 벽화(덕화리 2호분), 통일신라시대 수막새, 고려시대 동경(銅鏡)에서도 토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창덕궁 대조전 굴뚝과 경복궁 교태전 뒤뜰의 석련지 등 건축물에도 토끼 형상이 새겨져 있다. 현대에서도 여러 대중매체에서 깜찍하고 꾀 많은 캐릭터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토끼 같은 자식, 놀란 토끼 눈을 하다, 놀란 토끼의 눈이다. 토끼 꼬리만 하다.’ 등의 토끼의 생김새와 관련한 우리 말에서도 토끼와 인간의 친숙한 이미지가 그려진다.

 

 

 

□ 풍요와 불로장생을 꿈꾸는 토끼

 

토끼는 십이지(十二支) 동물 가운데 네 번째며, 방향은 정동(正東), 시간으로는 아침 5시에서 7시, 달로는 음력 2월을 지키는 방위신(方位神)이자 시간신(時間神)이다. 그래서 양기가 충만한 곳에서 본격적으로 하루가 시작되는 것을 뜻하며, 계절적으로 봄에 해당한다.

 

더욱이 농경사회에서 2월은 농사일이 시작되는 때로, 풍년을 기원하는 달이다. 또한 강한 번식력으로 다산과 번성을 상징하고 달과 여성, 불로장생을 의미한다.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달 속의 ‘옥토끼’는 절구로 선약(仙藥)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스스로 천년을 사는 영물로 알려져 있다. 토끼에게 부여된 ‘불사약’의 상징적 의미는 <수궁가>, <토끼전>에서 별주부가 찾아다닌 토끼의 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경북 상주의 <토끼바위> 전설에서 아버지의 질병을 고칠 수 있는 영약(靈藥)으로도 등장한다.

 

 

 

 

□ 민중의 대변인, 꾀보 토끼

 

현실에서 토끼는 귀엽고 작은 체구를 가진 초식동물로, 호랑이 등 육식동물을 피해 다니는 나약한 존재다. 그러나 설화에서 토끼는 주로 선하고 약한 동물이자 민첩하고 영민한 동물로 표현된다. 특히 호랑이가 힘센 동물의 상징이라면 토끼는 약한 동물로 상징되지만,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지혜와 꾀를 부려 위기를 극복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설화 속의 토끼는 힘없는 민중을 대변해 권력자를 재치로 호기롭게 골탕 먹이는 민중의 승리자로 해석하기도 한다. 토끼 같은 약자가 강자에게 꾀와 기지를 발휘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길 수 있다는 바람을 대변하고 있다.

 

□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민화에서는 한 쌍으로 된 두 마리의 토끼가 자주 등장한다. 이 두 마리의 토끼는 금실 좋은 부부처럼 다정하고 화목한 관계를 상징한다. 실제 토끼는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는 동물로, 귀여운 외모와 달리 혼자 있으면 불안감을 느껴 수명이 단축되고 예민해져 폭력성을 띤다.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였을 때, 흔히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표현한다. 원래 속담은 ‘토끼 두 마리를 쫓다가는 다 놓친다’라는 의미로 부정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잡다’와 같이 한 번에 두 가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다. 새로운 시대적 사고 발상으로 ‘두 마리 토끼’가 위기를 기회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다산과 풍요, 지혜와 민첩함을 지닌 토끼처럼 2023년은 위기를 현명하게 돌파해 건강과 풍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기를 기원해 본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대국민 서비스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국 민속문화의 지식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발간된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지식보급 확대를 위해 온라인 사전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국민 누구나 쉽게 열람하고, 학술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누리집(folkency.nfm.go.k)과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www.nfm.go.kr)에 공개하고 있으며 원문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다. 《한국민속상징사전》(토끼 편) 웹 서비스는 2023년 1월 30일부터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