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16.7℃
  • 맑음강릉 21.9℃
  • 맑음서울 20.0℃
  • 구름많음대전 19.2℃
  • 맑음대구 21.7℃
  • 박무울산 20.2℃
  • 맑음광주 21.7℃
  • 박무부산 21.4℃
  • 맑음고창 19.9℃
  • 구름조금제주 23.1℃
  • 맑음강화 19.0℃
  • 맑음보은 18.0℃
  • 맑음금산 19.2℃
  • 맑음강진군 22.9℃
  • 구름많음경주시 20.2℃
  • 맑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삼대에 걸친 우리춤 원류 찾기의 여정

이애주한국전통춤회 <법열곡>, 서울남산국악당 5월 25일(토) 저녁 5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5월 25일 저녁 5시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이애주 한국전통춤회와 서울남산국악당 공동기획으로 한국춤 역사의 맥을 잇는 뜻깊은 공연 <법열곡(法悅曲)이 펼쳐진다. 벽사 한영숙 선생이 1971년 국립극장에서 ‘승무접속무’라는 이름으로 올려 동시대 예술인들에게 강렬한 영감을 주었던 첫 번째 법열곡. 그리고 20여 년이 지난 1994년 문예회관대극장에서 스승의 예술혼을 이어 그의 제자 이애주 선생이 펼친 두 번째 법열곡, 그 법열곡이다.

 

당시 인문학자 이두현은 한영숙춤 법열곡을 보고 “불교의식무의 법통이 조선말의 한성준옹으로부터 그 손녀인 한영숙에게 이어져 오늘 그 제자들과 더불어 무대화되었다는 것은 감개무량한 바가 없지 않다”라고 하였다. 민속학자 임동권은 이애주춤 법열곡에 대해 “좋은 춤이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춤이 아니라 스스로 내면의 감춰진 세계를 밖으로 내뿜는 춤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이애주의 춤이 그러했다고 평했다.

 

 

고 이애주 선생의 <법열곡>이 세상에 선보인 지 30년이 지난 2024년, 그의 제자들이 마음을 모아 스승이 남기고 간 춤의 원리를 탐색하는 자리를 만든다. 이애주 한국전통춤회는 영산재 전승교육사이자 이애주 선생 생전 법열곡에 함께 출연한 특별한 인연이 있는 일운스님에게 오랜 기간 작법무를 학습했다.

 

“스님, 우리춤의 본질이 여기에 있었네요” 일운스님이 기억하는 당시 작법무를 학습한 이애주 선생의 말씀을 되새기며 제자들은 쓸데없는 힘을 빼고 춤에 대한 진실한 마음을 담아냈다. 이번 세 번째 <법열곡>의 부제가 ‘마음 하나에 펼쳐진 우주’인 까닭이다.

 

이번 이애주 한국전통춤회의 <법열곡>은 일운스님과 지허스님, 해사스님, 회정스님, 기원스님이 특별출연하여 불교의식무를 함께 하고 이애주 선생의 제자들이 40분 완판 승무에서 궁극의 평화, 법열의 의미를 새기려 한다. 이애주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3주기가 된 올해 그가 남긴 이애주문화재단(이사장 유홍준)이 후원하고 이애주 한국전통춤회(회장 윤영옥, 예술감독 김연정)가 주관하는 이번 공연은 3대에 걸쳐 천착하고 있는 ‘우리춤 원류 찾기’의 여정이다.

 

 

서울남산국악당 누리집(hanokmaeul.or.kr)을 통해 입장권을 예매할 수 있으며 단체, 예술인, 학생은 할인이 된다. 공연에 관한 문의는 전화(02-6358-5500)로 하면 된다.

 

이애주한국전통춤회는 고 이애주 승무 예능보유자의 제자들로 구성되었으며 한성준-한영숙-이애주로 이어지는 춤을 중심으로 전통춤의 수련과 올바른 전수, 그리고 동시대와 소통할 수 있는 우리춤을 목적으로 결성된 우리춤 중심단체다. 1991년 7월 승무 강습회와 ‘이애주춤 이야기 한판’(호암아트홀)을 시작으로 한국전통춤회 정기 및 비정기 공연을 500여 회 넘게 열었으며 해마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및 다양한 기획행사를 해왔다.

 

2021년 이애주 선생이 세상을 뜬 이후 선생님의 춤과 정신을 올곧게 이어가고자 오랜 시간 함께 활동했던 제자들이 모여 앞으로의 발전적 방향을 고민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춤의 본질 파악과 전통춤의 올바른 전승, 춤을 통한 몸과 마음 수련을 목표로 하면서 한국적 미의식에 대한 고찰과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동시대인과 함께하는 전통춤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최근 한국전통춤회는 승무ㆍ태평춤ㆍ살풀이춤ㆍ학무 등 전통춤 원형 그대로 보여주거나, 재구성하여 전통춤의 뿌리이자 원류 한성준 선생과 손녀 한영숙으로 이어지던 전통춤의 맥이 이애주 선생을 거쳐 제자들에게까지 이어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짧은 호흡의 무대 공연 환경에서 ‘완판 승무’ 등 긴 호흡의 전통춤 맥을 잇고 있다.

 

고 이애주 선생은 1954년 국립국악원 전신인 ‘이왕직아악부’의 수장 김보남과의 인연으로 춤을 익히기 시작했다. 서울대학교에 진학한 뒤 승무 초대 예능보유자였던 벽사 한영숙의 맏제자로 입문해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우리 전통춤(승무ㆍ살풀이ㆍ태평춤ㆍ태평무)의 맥을 계승하고 그것의 법통을 수호하는 노력을 평생 다하였으며 한국무용사에서는 한성준 바탕 한영숙 류 이애주 맥이라는 굵직한 계보를 만든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그는 민주화 열기로 가득 찬 1980년대에 <바람맞이춤>, <썽풀이춤> 등의 시대춤을 선보이며 예술로써 현실사회에 참여하는 실천적 전범이었으며 그의 몸짓 하나하나가 모여 ‘시대의 춤꾼’이 되었다.

 

1991년 한국전통춤회를 창립해 전통춤 정립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후진의 교육과 양성을 위해 왕성하게 활동했다. 서울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 등을 지냈고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뒤 같은 해 5월 10일 세상을 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