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0.3℃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5.9℃
  • 맑음제주 12.4℃
  • 맑음강화 8.6℃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7.3℃
  • 맑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4.0℃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유물 전시 개막

기탁문중예우 특별전 ‘금성산의 붉은 마음, 구름골에 피어나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2024 기탁문중예우홍보특별전 ‘영천이씨 운곡문중_금성산의 붉은 마음, 구름골에 피어나다’ 전시를 10월 15일(화) 개막한다. 한국국학진흥원은 해마다 기탁 유물을 중심으로 한 특별전을 열고 있는데, 올해로 스무 번째를 맞이하였다.

 

 

상서로움이 깃든 금성산 아래 자리 잡은 영천이씨

 

영천이씨 영동정공파는 고려시대 영동정을 지낸 이박을 시조로 한다. 군위 지역에서 세거하던 영천이씨는 14살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이 의성 산운마을로 입향하면서 영천이씨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의성의 산운마을은 자연경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전설을 간직한 곳이다.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화산인 금성산과 비봉산에 둘러싸여 있는 옥녀산발형의 지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명당으로 알려진 옥녀산발형은 뭇사람의 선망을 받는 재자가인과 뛰어난 인물이 많이 배출되는 곳이라고 인식돼왔다.

 

붉은 마음을 지켜 400년을 내려온 산운이씨들

 

산운마을에서는 학동 이광준을 시작으로 그의 아들 경정 이민성, 자암 이민환을 비롯해 손자 순호 이정상, 만옹 이정기가 문과 대과에 급제하였고, 또 다른 손자인 이정지와 이정오가 무과에 급제하였다. 할아버지, 아버지, 손자 3대가 연이어 문과 대과에 급제하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3대에 걸쳐 5명의 문과 대과 급제자와 4명의 무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는 것은 당시 상황으로서는 웬만한 가문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에 가까웠다. 따라서 산운마을에 사는 영천이씨들은 자신들을 ‘산운이가’로 특별히 칭할 정도로 대단한 자존심을 지녔으며, 정조대 운곡 이희발이 활약하면서 영남의 명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희발은 1795년(정조 19)에 식년 문과에 급제한 뒤 규장각의 초계문신으로 발탁되었고, 승지ㆍ병조참판ㆍ형조판서와 영해 부사, 영월 부사 등의 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백성들은 임기가 끝나고 돌아가는 이희발의 공덕비를 세우고 칭송하였다. 조정에서는 이희발을 정조ㆍ순조ㆍ헌종을 섬긴 명신으로 인정하여 기로소에 들게 하고, 사후에는 ‘희정’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의성 선비들의 정신이 담긴 유물, 유교문화박물관으로 나들이하다

 

이번 전시에는 영천이씨 운곡문중 관련 자료 60여 종을 선보인다. 의성에 뿌리내린 영천이씨의 역사를 보여주는 족보, 호패 등의 유물과 영천이씨 문중에서 만들어 낸 문집 책판 등을 관람할 수 있다. 조선을 대표하는 문장, 글씨, 그림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해동삼절첩》도 전시한다. 《해동삼절첩》은 이광준과 그의 아들 민성, 민환이 석봉 한호, 간이 최립과 동행하여 금강산을 유람하며 남긴 것이다. 뒤에 탄은 이정의 묵죽화를 추가하고, 3부를 만들어 삼부자가 나누어 간직했다고 전해진다. 이뿐만 아니라 운곡문중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희발의 일대기를 살펴볼 수 있는 초계봉사, 기사월봉첩, 초상 등도 함께 전시하여 볼거리를 선사한다.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2024 기탁문중예우홍보특별전 ‘영천이씨 운곡문중_금성산의 붉은 마음, 구름골에 피어나다’ 전시는 2024년 10월 15일부터 2025년 2월 2일까지 유교문화박물관 4층 기획전시실Ⅰ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