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6.2℃
  • 구름조금대구 15.3℃
  • 구름많음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6.4℃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4.5℃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14.2℃
  • 맑음보은 14.3℃
  • 맑음금산 14.6℃
  • 흐림강진군 14.6℃
  • 구름조금경주시 16.1℃
  • 구름많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영암 시종 고분군」 국가지정유산 사적 지정 예고

마한 전통과 백제ㆍ가야ㆍ중국 등의 요소가 복합적인 고분 유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남도 영암군에 있는 「영암 시종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5세기 중후 무렵에 6세기 초 조성된 「영암 시종 고분군」은 영산강 본류와 삼포강, 남측의 지류를 모두 조망할 수 있는 영암 시종면에 있으며,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암 시종면 일대는 지리적으로 서해와 내륙의 길목에 해당하는 요충지에 있어 서해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는 해양 교통로의 거점이자 내륙으로 확산시키는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이러한 지정학적 이점 덕분에 마한 소국의 하나였던 이 지역 토착세력이 독창적인 문화를 창출하고 백제 중앙 세력과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영산강 유역 마한의 특징과 함께 백제, 가야, 중국 등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은 복합적인 특징을 갖게 된 배경이 되었다.

 

영암군에 있는 모두 49곳의 고대 고분 가운데 시종면에만 28곳이 집중하여 분포해 있는데, 그 가운데 일부인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은 영산강 유역 마한 전통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고분의 축조기술 등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5세기 중엽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을 시작으로 영산강유역에 등장한 고총고분*은 ‘내동리 쌍무덤’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통해 마한 고유의 전통적 옹관묘에서 벗어나 거대한 방대형* 분구의 석곽ㆍ석실묘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유적에는 점토덩이를 이용하여 방사형이나 동심원 형태로 구획(토지 따위를 경계를 갈라 정함)하고 구획된 영역을 흙을 쌓는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이들 유적이 계획적으로 설계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당대 토목기술의 수준을 보여준다.

* 고총고분(高塚古墳) : 흙과 돌을 사용하여 일정한 묘역을 설정하고, 분구를 높게 쌓아 올린 고분

* 방대형(方臺形) : 규모가 큰 네모 형태(방형)

 

출토 유물로는 당시 영산강 유역에서 성행했던 양식의 토기와 이 지역이 백제와 정치ㆍ사회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금동관 세움 장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봉분 외곽 장식으로 쓰인 원통형 토기와 동물형상 토제품도 출토되었는데 이들 유물은 외래 유물을 현지화한 것으로 보여 이 지역이 여러 주변국과의 교류 과정에서도 독립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그 밖에도 중국 청자잔과 동남아시아산 유리구슬도 출토되었다.

 

 

 

 

이처럼 「영암 시종 고분군」은 마한의 전통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백제ㆍ가야ㆍ중국ㆍ왜 등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여 현지화한 고분으로 역사적·학술적 값어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30일 동안의 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영암 시종 고분군」의 사적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