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압록에 서면 더욱 실감나는 분단이 서럽다 일제의 국토 침탈도 서러운데 그 일로 남북이 갈라지고 고착화되고 있는 현실은 더욱 서럽다 그 슬픈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압록의 물은 말없이 흐르고 있다 물은 결코 둘로 갈라진 적이 없다 예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한줄기로 흐를뿐이다 다시 하나의 물줄기로 온전한 압록이길 나는 거기 강변에서 오래도록 빌고 빌었다. - 2024. 7. 8.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백두산 천지를 보고 셔틀 버스로 한 30분 내려 온 곳에서 들린 백두산대협곡(중국명 장백산 금강대협곡)은 일설에 1989년 8월, 폭풍이 몰아친 뒤 백두산의 산림을 관리하던 인부가 발견하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탐방객들을 위한 데크길이 놓여 있어 그 길을 걸으면서 왼쪽으로 나 있는 낭떠러지 길을 바라다보는 것이 탐방의 전부인데 데크 양옆에 웃자란 풀들로 협곡 조망이 시원치 않다. 협곡 중간중간에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기암괴석의 모양에 따라 중국에서 ‘쌍봉낙타’니 ‘서우망월’이니라는 표지판을 붙여 놓았지만 그 역시 시야를 가리는 나무들로 선명한 모습을 보기는 어렵다. 협곡은 70km가 넘는다고 하지만 탐방객들은 1킬로 남짓의 데크길을 걷는 것으로 만족해야한다. 동양의 그랜드캐년이라면서 100년이 넘은 나무들로 자연경관이 빼어나다는 말과는 달리 백두산의 표고가 높은 탓에 아름드리 나무는 거의 목격되지 않았다. 일방통행으로 만들어 놓은 숲속 데크길 왼쪽에 펼쳐진 낭떠러지 같은 협곡이 아니라면 이런 숲길 정도야 우리나라 산에서도 볼 수 있는 그런 정경이 아닌가 싶다. 협곡 조망이 보다 잘 되도록 웃자란 나무들의 손질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궁은 어렸을 때부터 동경하던 스포츠였습니다만 1970년대만 해도 국궁장에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주로 활터를 차지하고 있어 중고등학생들이 찾아가면 ‘학생들은 가라’고 할 만큼 젊은이들에게 국궁을 배울 기회를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시대가 바뀌어 이제 국궁은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전통 스포츠로 국궁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는 서울 강서구 공항정(空港亭)의 윤서현 사두(射頭: 활터를 관리하는 우두머리)의 말이다. 활터에서는 사두라 불리지만 윤서현 사두의 공식 직함은 ‘서울강서구궁도협회장’이다. “전통활터인 공항정은 전통 방식으로 제작된 ‘각궁(角弓)’ 문화가 발달한 활터로도 유명합니다. 각궁이란 참나무, 산뽕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와 소힘줄, 물소뿔 등 전혀 다른 성질을 지닌 재료들을 결합하여 만든 우리 겨레 고유의 전통 활을 말합니다.” 어제 11일(목) 오전, 공항정을 찾은 기자를 보자마자 윤서현 사두는 ‘각궁’ 자랑부터 꺼냈다. 이번 공항정을 찾은 것은 지난 6월 중순에 활터를 찾은 지 한 달이 채 안 되어 다시 방문한 것으로 활터에 들어서니 무더위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줄줄 흘러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그곳에 서면 누구나 시인이 된다 그곳에 서면 누구나 근심걱정을 잊게 된다 그곳에 서면 아득히 먼 역사 저편에서 중국대륙을 호령하던 고구려인의 기상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 서면 앞으로 내가 어떤 사람으로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역사를 지켜나가야 할지 코끝이 찡하게 깨닫게 된다. 5박 6일, 길지 않은 기간(7월4일-9일) 동안 '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백두산 답사단'과 함께 백두산, 집안 고구려 유적지 등을 돌아보는 답사를 하고 돌아왔다. 여성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찾아 기록하고 있는 기자에게 6일 동안의 답사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60이 넘어서인지 이번 답사는 조금 힘에 부쳤다. 더구나 계속되는 빗속의 강행군이다 보니 더더욱 힘이 들었던 듯하다. '다리가 떨릴 때 떠나지 말고 가슴이 떨릴 때 떠나라'라는 말처럼 이번 답사에서는 유독 이 말의 의미가 구구절절 느껴진다. 그저 전세버스에서 내려 답사지를 둘러보고 끼니때마다 잘 차려진 밥을 먹는 여행이라면 다리가 조금 떨려도 다닐 만하겠지만, 이른바 '답사'란 평균 2만 걸음은 각오해야 하는 여행이다. 그런 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돌아와 책상 앞에 앉아 찍어온 사진을 정리하다 눈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백두산 답사단‘ 답사 넷째 날, 우리는 아침 일찍 압록강변에 있는 중국명 호산장성(虎山長城, 후산창청)에 도착했다. 호산장성은 원래 고구려의 박작성(泊灼城)이었던 것을 중국이 동북공정의 한 작업으로 ‘만리장성의 기점을 날조’한 대표적인 역사 현장의 한 곳이다. 중국은 2009년, 진장성(진시황 때 축조한 부분)과 명장성(명나라 때 축조한 부분)으로 대표되는 만리장성의 전체 길이와 위치를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이때 단둥시에 있는 호산장성을 집어넣음으로써 만리장성의 길이는 1,000킬로나 늘어났다. 버스가 호산장성을 따라 달리다가 주차장에 서기 전까지 가이드는 우리에게 오른쪽 차창을 보라고 안내했다. “여러분 오른쪽에 보이는 저 산이 호랑이 모양입니까? 중국에서는 저 산의 모습이 호랑이 모습의 산이라고 해서 호산(虎山)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이 산성이 호산장성이랍니다.”라고 했다. 가이드가 가리키는 산을 올려다보니 호랑이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형태로 전북 진안의 마이산 모양을 하고 있었다. 호산장성의 입구에 도착하여 검표를 마치고 산성 입구에 들어서니 성인 키 몇 배 크기의 육중한 조형물이 관람객을 압도한
[우리문화신문= 중국 집안 이윤옥 기자] <장수왕릉은 일명 장군총이라고 불린다. 기원 5세기에 세워진 장수왕릉은 기존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석구조 능묘로 고구려 제20대 왕인 장수왕의 능묘이기도 하다. 외각은 뾰족한 방추형으로 되어 있어 <동방의 피라미드>라는 미명을 누리고 있다. 능묘는 계단식 돌방무덤이고 평면은 정방형으로 되어있다. 길이는 31.58m이고 높이는 13.1m이다. 묘실은 4단과 5단 사이인 중심 위치에 있고 묘지 위에는 50여 톤에 달하는 거대한 바위가 있으며 바위 위에는 사당 같은 건축물이 있다. 무덤의 주변에는 10여 톤이나 되는 큰 바위가 11개나 된다. 여러 개의 동반 무덤이 동북 방향으로 되어 있다. 서남 방향으로 200m 떨어진 곳에 제사 유적지가 있는데 부지가 5 헥타르에 달한다. 장수왕릉 능원은 디자인이 완벽하고 석조 공예가 정교하여 고구려 석구조 능묘의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절세의 작품이기도 하다.> 이는 중국 길림성(지린성, 吉林省) 집안시(지안시, 集安市)에 있는 장수왕릉 앞, 안내판에 중국이 써놓은 한글 설명이다. "동방의 피라미드라는 미명을 누리고 있다,"라는 설명 가운데 '미명‘이라는 말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하늘못(천지 - 天池)은 온통 희뿌연 물안개에 휩싸여 있었다. 비가 더 세차게 내렸다면 하늘과 물의 경계가 사라져 버려 카메라에 담는 일은 아예 불가능했을 것이다. 답사단이 천지에 도착했을 때만 해도 희미하게나마 천지는 그 모습을 드러내 주고 있었다. 한반도의 조종산(祖宗山), 곧 모든 산맥의 시작점이자 겨레의 영산(靈山)으로 자리매김한 백두산 천지, 답사단은 빗속에서도 어제 그 산을 올랐다. 실은 그제 퉁화(通化)에 도착하여 이튿날 백두산 천지를 오르기로 한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 다렌에서 퉁화까지 장장 8시간 이상의 버스 이동으로 답사단원이 지쳐있어 천지에 오르기로 한 어제는 약간 느긋하게 숙소를 출발하기로 했었다. 그러던 일정이 그만 ‘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 때문에 변경되어 새벽 4시 30분에 숙소 출발이 결정되었다. 퉁화에서 백두산 입구까지는 전세버스로 약 3시간 정도 걸린다. 그러나 모든 버스는 백두산 입구 주차장에 세워두고 중국 정부에서 운영하는 천지 등정용 셔틀버스를 두 번이나 갈아타야 한다. 그것뿐이 아니다. 셔틀버스에서 내려 1,442개의 계단을 올라가야 비로소 천지를 만날 수 있다. 그러고 보니 백두산 천지에
[우리문화신문= 중국 다렌 이윤옥 기자] 7월 4일(목) 저녁 5시, 인천항국제터미널을 떠난 대인훼리는 서해바다를 밤새 달려 아침 9시30분(현지시각) 다렌항에 우리 일행을 내려놓았다. 우리 일행이란 (사)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회장 김겸)에서 장학금을 받은 대학생들과 김겸 회장을 비롯한 이사 등 '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백두산 답사단(이하, 답사단)'을 말한다.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는 1919년 3월 31일 화성군(현 화성시) 향남면 발안 장날을 기해 제자들과 지역민들을 포함한 1천여 명을 이끌고 만세 시위에 앞장서다 일경의 총검에 복부를 난자당하자 흐르는 피를 손에 움켜쥐어 일경의 얼굴에 뿌리며 숨이 끊어질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외치다 장렬히 순국의 길을 걸은 독립투사다. 답사단은 다렌(大連)에서 전세버스에 올라 백두산 등정이 가까운 도시인 퉁화(通化)까지 장장 8시간의 긴 여정에 올랐다. 사실 다렌이라면 안중근, 신채호, 이회영 등 독립투사들이 갇혀 있었던 뤼순감옥을 들리는 것이 마땅한 일이겠으나 부득이 일정상 다음을 기약하고 답사단을 실은 버스는 가도 가도 끝없이 펼쳐진 남만주벌판의 옥수수밭을 지나 북으로 북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배고픔이라는 것을 몰랐다. 아니, 그것은 자신이 의식주에 곤란을 겪지 않는 집에서 자랐다는 의미로 말하는 게 아니라 ‘배고픔’ 이라고 하는 감각이란 무엇인가하는 궁금증에서 하는 말이다. 조금 이상한 말투지만 나는 배가 고파도 스스로 그것을 깨닫지 못했다. 초, 중학교 다닐 때 내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집안 식구들이 달라붙어서 카스테라도 있고 빵도 있어.. 하고 떠들어댔기 때문에 나는 학습된 정신을 발휘해서 ‘배가 고프다’라고 중얼거리며 말했다. 내가 어렸을 때 가장 고통스러운 시간은 식사 시간이었다. 내 시골집에서는 열 명 정도의 식구가 각자 밥상을 받아 들고 두 줄로 마주보며 밥을 먹었다. 나는 막내라 가장 아랫자리에 앉아서 먹었지만 밥 먹는 방은 어둑어둑했고 그저 식구들이 아무 말도 없이 묵묵히 밥을 먹는 모습에 나는 항상 썰렁한 생각을 하곤 했다.” 이는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 문학의 결정판이라는 《인간실격(人間失格)》에 나오는 글이다. 지금도 시골로 여길 만큼 도쿄에서 멀리 떨어진 아오모리, 그곳 부잣집의 아들로 태어난 다자이 오사무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술, 담배, 매춘, 좌익사상 등에 빠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인간이 태어나 갖게 되는 역사의식의 형성에는, 여러 요소가 작용하겠지만 특히 중고등학교의 역사교육이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교육은 교과서라는 도구가 크게 작용한다. 어떠한 의도로 역사적 사실을 서술할 것인가? 이에 대해 많은 교사들은 고민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교과서 속에 비친 조선의 모습은 어떠한가? 아니 다른 말로 일본 교과서에 쓰인 조선의 이미지는 어떠한가? 이러한 의구심에서 출발한 책이 《교과서에 쓰인 조선(教科書に書かれた朝鮮)》이라는 책이다. 이 책은 제목이 《교과서에 쓰인 조선》이지만 ‘일본 교과서에 쓰인 조선’ 이라는 제목이었으면 더욱 좋았을 법하다. 책을 쓴 사람들은 김달수(金達壽,1919-1997), 강재언(姜在彦, 1926-2017), 이진희(李進熙, 1929-2012), 강덕상(姜德相, 1932-2021) 교수 등 4명의 역사학자들이다. “《교과서에 쓰인 조선》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일본) 교과서 서술에 대해서, 계통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책이다. 원래대로라면 이러한 작업은 일본 역사가의 손으로 쓰여져야 할 성질의 것이지만, 우리가 굳이 이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