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21일(토) 낮 2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이태원(李兌遠) 애국지사가 향년 93살로 세상을 떴다고 밝혔다. 이태원 지사는 1943년 4월경 대구상업학교 재학 시 항일 학생결사인 태극단에 가입하여 활약하던 중, 같은 해 5월 일 무렵 들켜 체포된 뒤 모진 고문을 당했고 동년 10월 무렵 기소유예로 출옥했다. 정부는 지사의 공훈을 기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이태원 지사는 서울센트럴요양병원에서 지병으로 임종을 맞았으며, 중앙보훈병원 장례식장 6호실에 빈소가 마련됐다. 이어 24일(화) 아침 7시 발인 뒤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6묘역에 안장될 예정이다. 이태원 지사가 세상을 뜸에 따라 생존 애국지사는 18명(국내 15명, 국외 3명)만 남게 됐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앞으로도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에게 합당한 예우를 통해 국민의 애국정신과 민족정기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ㅇ 이태원(1928.04.14~2021.08.21.) 공적사항 - 1928년 경북 의성 출생 -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 1943년 4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카지 와타루(鹿地亘, 1903~1982)란 일본인이 있다. 동경제국대학 국문과 출신의 카지 와타루를 일본 위키사전에서는 소설가로 소개하고 있는데 뜻밖에 그가 쓴 소설 《태평의 눈》(1931)은 조선의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단편소설이라는 데 시선을 끈다. 카지 와타루는 일본인이면서 이 책에서 일제에 저항한 조선 민중의 치열한 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는 왜 일제에 저항하는 조선 민중에 관한 소설을 쓴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강연이 지난 7월 24일, 일본 도쿄에 있는 고려박물관에서 있었다. 강사는 한국독립기념관 연구위원 윤소영 박사로 이날 강연 주제는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일본인들 – 서로 비난하는 근대 한일의 역사의 틈바구니에서 발견한 희망(韓国の独立運動を支援した日本人たち-罵り合う近代日韓の歴史のはざまで見つけた希望)”이었다. 카지 와타루는 청년기에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뜻을 두고 고바야시 다키지, 나카노 시게하루 등과 함께 활동했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문인들과도 어울리며 유랑하는 환경 속에서 젊은 시절을 보냈다. 그 뒤 중국으로 건너가 반전항일운동을 이어 나갔으며 조선의용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오랜만입니다. 최근 한달 동안 (일본 도쿄) 고려박물관에서 기획한 <어린이들의 그림편지 교류전 평화를 나누는 그림편지 ~ 서울·도쿄 (子どもたちの絵手紙交流展~平和を交わす絵手紙 ソウル・東京)>의 책임을 맡아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눈코 뜰 새 없이 바빴습니다. 덕택에 오늘 드디어 개막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홍보전단과 전시자료를 보내드립니다.” 한 달 전 쯤 지인 마츠자키 에미코(松崎恵美子) 씨는 고려박물관에서 한·일 어린이 그림편지전 준비로 바쁘다고 했는데 얼마 전 개막식을 마치고 지금 순조롭게 전시가 진행 중이라며 다시 소식을 전해왔다. 마츠자키 씨는 ‘조선침략을 반성하는 모임’인 일본 도쿄 고려박물관 회원이다. 물론 일본도 코로나19로 비대면 개막식을 했고 관람객들도 방역 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적은 인원만 수용 중이라고 했다. “이번 기획전시는 3개의 주제를 설정해서 꾸몄습니다. 하나는 한국의 천안독립기념관에서 보내준 ‘그림편지’ 전시 공간이고 두 번째는 전시된 그림을 관람객인 일본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번역해 놓은 것입니다. 또한 컬러플한 그림 하나 하나를 액자에 끼워 시각적으로 확 흡인할 수 있도록 꾸민 점입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관장 정진영)은 만주망명 110주년을 맞이하여 모두 12회에 걸친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제11편은 조국 독립을 위해 만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방안을 찾는 내용이다. 1910년 나라가 무너지자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해 만주로 망명한 1세대 독립운동가들을 드러내고 추모하는 사업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러는 가운데 최근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인 안동 ‘임청각’이 언론에 비치면서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상룡은 경술국치 이후 만주로 망명해 경학사와 부민단ㆍ신흥무관학교ㆍ서로군정서 등을 건설하면서 만주 동포사회의 형성과 독립군 기지 건설에 투신했다. 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에 취임하게 되고 1926년에는 국무령을 사임하고 만주로 돌아가서 1929년 길림성 서란현에 정착했다. 하지만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고 만주사변 이후 독립군과 한중 합작 항일연군 등이 점차 무너지던 중에 1931년 10월 김동삼의 체포 소식을 듣고 나서 병세가 위중해져 1932년 5월 12일 순국했다. 그는 순국하기 전 “나라를 회복하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오늘은 광복 76돌을 맞는 날이다. 광복절 하면 태극기와 무궁화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요즘은 무궁화꽃을 좀처럼 볼 수 없다. 동네 공원에서조차 무궁화는 벚꽃이나 장미 같은 꽃들에 밀려 거의 심지 않는다. ‘무궁화 화려강산’ 이란 애국가 노랫말이 무색할 정도로 무궁화를 찾아 보기 어렵다. 정확한 정보인지는 몰라도 “무궁화는 진드기가 많이 생겨 안심는다”는 말을 들은 것같다. 그게 사실이라면 임업시험장에서 무궁화의 진드기쯤은 잡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일제강점기에는 어땠을까? 동아일보 5월 6일치부터 1936년 8월 20일치 까지 무궁화 기사는 53건(한국사데이터베이스)이 나온다. 흑백사진이긴 해도 무궁화 사진만 나오는 경우도 11번이나 된다. 화보로 나온 무궁화꽃 기사 제목을 곰곰이 들여다보니 ‘은근슬쩍 한민족의 기상(?) 또는 광복(?)을 암시하는 제목 같아 소개한다. 가는 비에 젖은 무궁화 1921.7.22. 고운 꽃 이야기 무궁화 1924.2.4. 무궁화는 잘도 핀다 1926.8.20. 꽃철은 무궁화 1927.7.31. 무궁화 제철 만나 1928.8.12. 날마다 새꽃을 피우는 무궁화 1931.8.26. 초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봉오동ㆍ청산리 대첩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조국으로 정중히 모시기 위해 대통령 특별사절단(아래 ’특사단‘)이 14일(토)부터 카자흐스탄으로 향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통령 특사단의 특사로 황기철 국가보훈처장이 임명되었고, 우원식 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과 조진웅 영화배우가 대표단 자격으로 동행한다. 특사단은 14일(토) 오전에 서울공항에서 공군 특별수송기로 출발하며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에 도착한 이후에 홍범도 장군 묘역에서 진행되는 추모식에 참석하게 된다. 앞으로 홍범도 장군 유해는 현지에서 운구, 임시안치 그리고 인수를 거쳐 특사단과 함께 특별수송기를 통해 정중히 조국으로 모셔오게 된다. 한편, 홍범도 장군 유해는 국민 추모기간을 거쳐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번 김란사 특별전 <네가 선택한 삶이 아름답기를>을 마련한 취지는 예술 작품을 통해 독립운동가의 삶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관람객들이 회화, 조소, 그라피티(길거리그림), 사진, 모형, 보석, 모바일 작품으로 김란사 지사의 삶과 만난다는 것은 책에서는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감동으로 다가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서울교육박물관 황동진 학예실장은 ‘김란사 탄생 150주년 특별전 <네가 선택한 삶이 아름답기를>’ 전시장을 찾은 기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어제 13일(금)부터 서울교육박물관 특별전시장에서는 광복 76주년을 맞아 아주 특별한 전시회 개막이 있었다. 코로나19로 정식 개막식은 없었지만 여성독립운동가 김란사 탄생 150주년 특별전 <네가 선택한 삶이 아름답기를>을 보러온 사람들이 전시 작품을 진지한 모습으로 관람하고 있는 모습이 제법 눈에 띄었다. 김란사 지사는 150년 전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당시 여성들이 걸어가던 그 길을 마다하고 신교육에 눈떠 자신의 운명을 개척한 여성이다. 김란사 지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미국 문학사를 취득하고 모교인 이화학당에서 유관순 등 학생들에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제76주년 광복절을 맞아 1919년 충남 천안에서 광부들의 만세시위를 이끈 박창신 선생과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으로 미국에서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앞장선 안필립 선생 등 24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65명(애국장 12, 애족장 53), 건국포장 30명, 대통령표창 152명으로, 포상자 가운데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14명이다.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제76주년 광복절 계기로 유족에게 수여된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분은 1949년 최초 포상 이래 건국훈장 11,465명, 건국포장 1,422명, 대통령표창 4,045명 등 모두 16,932명(여성 540명)에 이른다. 앞으로도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지방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독립운동 사료수집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고, 나라 안팎 소장 자료를 지속해서 수집하여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포상될 주요 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도쿄 올림픽이 8일 막을 내렸다. 일본올림픽조직위는 총괄 브리핑에서 "대회가 성공적이냐, 실패였냐?"라는 기자단의 질문에 “패럴림픽(장애인 올림픽)이 끝나봐야 안다”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각 언론에서는 “올림픽의 성패, 당신은 어떻게 생각합니까?”라는 여론조사 경쟁을 하고 있다. 먼저, 야후제팬의 <모두의 의견> 여론조사에서는 10일 현재 267,528명이 투표하였는데 이 가운데 56.8%가 실패했다, 37.3%가 성공했다. 기타 6%는 모른다고 답하고 있다. 이 조사는 8월 9일부터 8월 19일까지 실시하는 설문이다. 반면에, 요미우리신문은 7일~9일 동안 전국여론조사에서 올림픽 개최를 잘했다는 응답자가 64%, 올림픽 개최를 잘했다고 보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28%로 나왔다. 다시 말하면 64%는 ‘성공’ 나머지 28%는 ‘실패’의 의견으로 봐도 좋다. 물론 야후제팬 여론조사의 질문 내용과 요미우리신문의 질문 내용이 서로 같지 않아서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지만, 대강의 뜻으로 보면 요미우리가 점수를 후하게 준 것 같다. 야후제팬의 56.8%의 실패 견해와 요미우리의 64% 성공 견해는 완전히 상반된 견해가 아닌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하늘하늘 연꽃 잎이 바람에 춤춘다. 입추가 지나서일까? 한낮의 열기는 그대로이지만 왠지 피부에 스치는 한줄기 바람이 조금은 시원한 느낌이다. 양평 세미원의 연꽃잔치도 어느새 막바지에 이르렀다. 연꽃잔치가 6월 21일부터 8월 15일까지인만큼 연꽃의 절정은 6~7월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가도 고운 꽃들이 반긴다. 꽃잔치에서 며칠부터 며칠까지라는 것은 가장 절정기의 모습을 말하는 것일뿐, 정작 꽃들은 그저 자신의 생명력을 마지막까지 불태울뿐이다. 어쩌면 절정의 시기를 지나 피는 연꽃들이 더 아름다울 수 있다. 인생처럼 말이다. 세미원에는 연꽃 말고도 꽃백일홍도 활짝 피었다. 꽃도 있고 나무숲도 있고, 장독대분수도 정자도 곳곳에 있어 산책하기 좋은 곳, 그래서 세미원의 여름은 아직 활기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