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는 4월 20일, 5년 동안의 대규모 수리를 마친 종묘 정전을 공개하고, 창덕궁에 임시로 모셨던 조선 임금과 왕비의 신주들을 본래의 자리로 다시 모시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식’을 연다. 5년에 걸친 대규모 수리 마치고 돌아오는 종묘 정전 종묘 정전은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한 이래 600년이 넘도록 왕실 제례가 이어져 온 한국 전통 건축의 정수로 1985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균열, 기와 탈락, 목재의 노후화 문제가 지속 확인되면서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수리를 진행했다. 이번 수리는 1991년 이후 약 30년 만에 이뤄진 대대적인 수리로, 품격 있는 정전의 모습을 회복하기 위하여 정전 앞 시멘트 모르타르를 없애고 수제 전돌을 깔았으며, 공장제 기와를 모두 걷어낸 뒤 수제 기와로 교체하는 등 전통 건축의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하되, 현대 과학 기술을 접목하여 역사적, 기술적, 미학적 값어치를 더욱 강화했다. 특히, 수리 과정에서 연륜연대조사를 통해 광해군 대의 목재를 확인하는 등 종묘 정전의 건축사적 값어치를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계기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오는 4월 25일 저녁 7시 30분과 26일 저녁 4시에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이라는 주제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상설공연 「WITH 무형유산」을 연다. 2011년 설립된 장애인문화예술공동체 ‘사람사랑’을 주축으로 기획된 이번 공연에서는 시각ㆍ지체ㆍ지적ㆍ청각장애를 가진 예술가들이 각자의 역량을 펼치며 전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과 문화적 포용의 값어치를 조명한다. ‘사람사랑’은 “장애를 예술로, 예술을 나눔으로”라는 구호 아래 장애인 예술교육, 복지시설 방문공연, 장애인과 함께하는 국악무대 등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문화예술 전문단체다. 이번 공연은 사물놀이를 바탕으로 한 ‘사물시나위’, 타악과 선율이 결합된 ‘음악난타’, 궁중무용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춘앵전과 모란춤’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며, 각 프로그램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협업하여 전통예술의 확장성과 감동을 동시에 전달한다. 특히 시각장애를 가진 「보성소리」 최예나 명창이 부르는 판소리 ‘수궁가’ 무대에는 국가무형유산 판소리(고법) 김청만 보유자가 함께하여 더욱 깊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오는 4월 26일부터 5월 4일까지 9일 동안 서울의 5대 고궁(경복궁ㆍ창덕궁ㆍ덕수궁ㆍ창경궁ㆍ경희궁)과 종묘에서 ‘2025 봄 궁중문화축전’을 연다. 올해로 11회를 맞이하는 ‘궁중문화축전’은 고궁을 배경으로 전통문화 활용 콘텐츠를 선보여 온 국내 가장 큰 국가유산 축제다. 지난해 봄과 가을을 합쳐 모두 96만 명 이상의 나라 안팎 관람객이 방문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2025 봄 궁중문화축전’은 ▲ 전통공예와 한복생활 등 국가무형유산 연계 콘텐츠 고도화 ▲ 세종대왕 나신 날(5.15.) 제정 연계 특화 프로그램 운영 ▲ 관람객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강화 ▲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 확대라는 중점 방향을 설정하여, 전년과 차별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 경복궁에서는 궁중문화축전 개막제(4.25.)를 시작으로, 공연·체험·전시 등 조선 궁궐 문화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준비된다. ‘시간여행, 세종(4.26.~4.30.)’은 경복궁 일대에서 펼쳐지는 대규모 체험형 복합 프로그램이다. 관람객은 궁궐 수습생이 되어 궁중병과 만들기와 궁중무용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4월 15일 낮 11시에 곡성 태안사(전남 곡성군)에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이 국보로 승격 지정(‘25.3.11.)된 것을 기려 태안사 신도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연다.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은 남북국시대(통일신라)의 동리산문(桐裏山門)*을 세운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의 승탑*이다. * 동리산문: 신라 헌덕왕(809~826) 이후 당나라에서 선법(禪法)을 받은 유학승들이 귀국하여 형성한 선종(禪宗)의 9개 파(派)인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태안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파(門派) * 혜철: 814년 당나라에 유학하여 선법을 전해 받고, 동리산 태안사에 머물면서 동리산문을 형성하였고, 입적 후 신라 경문왕으로부터 시호(諡號)는 적인(寂忍), 탑호(塔號)는 조륜청정(照輪淸淨)을 받음. * 승탑: 고승(高僧)이 죽은 뒤에 유골을 안치하여 세운 석조물 여러 개의 석재를 짜맞추어 조립한 가구식 기단을 별도로 조성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승탑(부도탑)의 전형이다. 탑 맨 아래의 하대석에는 각기 다른 형상의 사자상이 돋을새김 되어 있고, 석탑의 몸을 이루는 탑신석 양 옆면에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오는 4월 30일과 9월 24일 낮 2시부터 4시까지 경복궁 흥복전(서울 종로구)에서 2025년 「도란도란 궁궐 가회(嘉會)」를 연다. 지난해 첫선을 보인 「도란도란 궁궐 가회」는 조선시대 궁궐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시민강좌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조선시대 궁궐의 지붕’을 주제로 상ㆍ하반기 2회에 걸쳐 진행된다. * 가회(嘉會) : 기쁘고 즐거운 모임 혹은 좋은 만남 오는 4월 30일 열리는 상반기 강좌에서는 참가자들이 ‘궁(宮)의 지붕’을 주제로 한 조상순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장의 강의를 듣고 경복궁 발굴현장을 방문해 출토된 유물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경복궁 혼전(魂殿)* 영역 가운데 하나인 문경전 권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2023년부터 진행하고 있으며, 지붕 부재로 사용된 다양한 기와가 출토된 바 있다. * 혼전(魂殿): 발인 뒤 부묘(祔廟, 종묘에 신주를 옮기기) 전까지 신주(神主)를 모셔둔 곳 * 문경전(文慶殿): 임금과 왕비의 사후 신주(神主)를 모시는 혼전(魂殿)으로, 고종 연간 경복궁 중건 때 새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4월 26일부터 5월 2일까지 7일 동안 종묘 일원(서울 종로구)에서 「2025년 종묘 묘현례」 행사를 한다. ‘묘현례(廟見禮)’는 조선시대에 혼례를 마친 왕비나 세자빈이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진 종묘에 인사를 드리는 의식으로, 조선시대 국가의례 가운데 유일하게 여성이 종묘에서 참여한 의례로서 특별한 역사적 값어치를 지닌다. 「2025년 종묘 묘현례」는 묘현례를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 ‘묘현, 왕후의 기록’과 체험 행사 ‘조선 왕실의 향, 부용향 만들기’, ‘세자·세자빈이 되어 사진 찍기’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묘현, 왕후의 기록’은 4월 26일부터 30일까지 5일 동안 낮 1시와 저녁 4시, 하루 두 차례 영녕전에서 진행된다. 1703년(숙종 29년) 숙종의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의 묘현례를 바탕으로 재현한 창작 뮤지컬로, 당시 의례의 모습과 함께 인원왕후와 그녀의 아버지인 김주신 사이 애틋한 부녀의 정을 엿볼 수 있는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청각 장애인과 외국인 등 다양한 관람객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국어와 영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 한성백제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과 함께 4월 18일 오전 10시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백제홀(서울 송파구)에서 「2025 튀르키예–히타이트 국제학술회의」를 함께 연다. 이번 학술회의는 2025 한성백제박물관 국제교류전 <히타이트:오리엔트 최강의 제국>(‘25.3.8.~6.8.)과 연계하여, 기원전 17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배했던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샤 유적 등을 조명하고, 한반도 고대 문화를 꽃피운 백제 도성 유적의 발굴 성과를 함께 살펴보는 자리다. 히타이트는 서아시아 지역을 지배했던 강력한 고대 제국으로, 특히 수도 하투샤와 제2의 수도 오르타쾨이/샤피누와(Ortaköy/Šapinuwa)는 히타이트의 정교한 도시계획과 방대한 문자기록, 독창적인 건축과 예술 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히타이트와 백제 도성 유적을 직접 발굴한 연구자들이 발표자로 나서,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학술회의는 모두 3부로 구성되며, 3개 나라 11명의 고고학 전문가가 참여해 6개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을 진행할 예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4월 26일 대전 지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5곳에서 근대건축유산에 대한 건축기술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현장 답사 프로그램 「헤리티지 오픈하우스」를 진행한다. * 근대건축유산 : 개항기 전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동안 형성된 문화유산 중 역사적ㆍ예술적ㆍ사회적 또는 학술적인 값어치가 인정되어 특별히 보존할 필요가 있는 건축물 지난해 서울(‘24.7.20.)과 군산(‘24.10.5.)에 이어, 대전에서 3회째를 맞이하는 「헤리티지 오픈하우스」는,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 2024년부터 진행 중인 ‘근대건축유산(벽돌조 분야) 수리기술 연구’의 하나로, 근대건축유산의 보수ㆍ정비 과정에서 축적된 수리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건축 전공자와 일반 시민들에게 실제 보수ㆍ정비 사례를 직접 만나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참가자들은 안창모 경기대학교 교수와 이상희 목원대학교 교수의 해설과 함께 「구 동양척식회사 대전지점」 등 5곳의 건축유산을 직접 둘러보며, 건축유산이 지닌 역사적 이야기부터 평소 접하기 어려운 수리 과정과 보존 기술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 답사 대상(국가등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1971년 우연한 계기로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습니다. 구운 벽돌을 켜켜이 쌓아 만든 이 벽돌무덤[塼築墳]은 백제 제25대 임금이었던 무령왕(재위 501~523) 부부의 안식처였습니다. 무덤 주인을 알려준 것은 바로 무덤 내부에 있던 묘지석(墓誌石)이었습니다. 여기에 적힌 내용 덕분에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고분 가운데 유일하게 무덤 주인과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는 무덤이 되었습니다. 왕비의 관에 넣은 은잔 무령왕릉에서는 관꾸미개, 귀걸이, 목걸이, 팔찌, 허리띠, 신발, 청동거울, 다리미 등 다양한 금속공예품이 출토되었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나 발견되었기 때문에 매장 당시의 모습 그대로는 아니었습니다. 그렇지만 발견 위치와 용도 등을 통해 처음에 묻혔던 위치를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출토품은 크게 임금과 왕비의 목관 안에 있던 것과 관 밖에 있던 것으로 나뉩니다. 관 안에 있던 유물은 다시 임금과 왕비가 몸에 착장하고 있던 착장품과 부장품으로 구분됩니다. 그 가운데 왕비의 관에 넣었던 받침 있는 은잔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526년 11월에 죽은 왕비는 529년 2월 무령왕 곁에 묻혔습니다. 왕비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사장 정용석)과 함께 국립중앙박물관 공연예술축제‘2025년 박물관문화향연’을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용산의 중앙박물관과 지역 국립박물관에서 연다. 박물관문화향연은 국립중앙박물관이 2014년부터 해마다 열어 온 관람객 대상 무료 공연으로 올해는 4월 19일 장애인의 날(4.20.) 기념 음악회를 비롯하여 지역 국립박물관까지 모두 26회 공연을 연다. 박물관문화향연은 계기ㆍ계절별로 국립 문화예술기관과 연계하는 <국립의 품격>과 박물관 유물의 역사와 전통이 우리 문화로 이어진다는 의미를 담은 <역사에서 문화로>, 장애인 예술가 초청 공연인 <함께해요 박물관> 등 3가지 주제로 마련하였다. 올해 주요 일정은 광복 80돌과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개관 20돌을 기념하는 특별 공연이 오는 8월 15일 열린마당에서 열리며, 국립합창단, 국립무용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KBS국악관현악단 등 수준 높은 예술단체 공연이 5월, 6월, 9월에 열릴 예정이다. 또한 장애예술가들의 뛰어난 연주를 뽐내는 관현맹인전통예술단과 시각 장애예술인들의 요들송 공연이 4월과 9월에 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