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 관장] 황해도 굿으로 치러지는 최영장군당굿은 굿이 드는 날, 묵는 날 그리 나는 날 등 모두 삼일굿으로 치룬다. 그리고 당굿은 소굿과 육굿으로 이원화된다. 드는 날부터 묵는 날 오전까지를 소찬(素饌)을 받는 신령을 모시고 소(素)굿을 치루며, 묵는 날 오후부터 나는 날까지 육찬(肉饌)을 받는 신령을 모시고 육(肉)굿을 한다. 그 절차는 신청울림 - 당맞이 - 일월맞이 - 상산맞이 - 초부정거리 - 감흥거리 - 소대감거리 - 성주거리 - 칠성, 제석거리 - 별상거리 - 영정거리 - 말명거리 - 군웅거리(사냥거리 포함) - 타살거리 - 대감거리 - 먼산장군거리 - 토일성수거리 - 신장거리 - 최영장군거리(작두거리 포함) - 대신거리 - 창부거리 - 조상거리 - 목신서낭거리 - 마당거리 등 모두 스믈네거리이다. 1. 신청울림 신청(神廳)은 신이 머무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또한 굿을 거행하는 의례공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곳을 굿청이라고도 부른다. 신들을 신청으로 모시기 위해 쇳소리와 북소리를 내는데 이는 울림(소리)을 내어 천지의 신령 세계의 문을 여는 역할을 한다. 이때, 쇳소리 가죽소리를 내어 신청에 떠도는 해롭고 좋지 못한
[우리문화신문=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 관장] 서경욱은 1957년 6월 7일 경기도 이천군 모가면에서 아버지 서기득과 어머니 안임영 사이의 4남 2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위로 오빠가 셋, 언니 하나, 아래로 남동생이 있다. 키 153cm, 체중 48kg 정도의 체구가 단아하고 피부는 흰 편이며 미인형으로써 눈이 크고 귀염성 있는 형이다. 그녀의 할머니가 신기(神氣)가 있었다고 하지만 신을 모시지는 않았다고 한다. 서경욱은 태어나자마자 몸이 몹시 약한 탓에 부모가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다 어느 날, 부모는 아기가 죽은 줄 알고 이불로 싸놓았는데 시간이 한참 지난 후, 시름에 잠긴 어머니 귓가에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렸고 이불을 펼쳐보니 아기 눈에서 이상한 광채가 나면서 살아 있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태어난 지 1년 뒤인 1958년 6월 30일에야 비로소 출생신고를 하였다. 7살 되던 해 우연히 지나가던 스님이 아이에게 관심을 보이며 절로 데려가려 했으나 어머니의 만류로 가지 않았다. 어려서부터 몹시 아파 학교를 거의 앓으면서 다녔다. 17살 되던 해 원인 모를 병으로 3달 동안 심하게 앓았는데, 거동을 못 할 정도로 쇠약해졌다. 밥은 물론 물
[우리문화신문=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 관장] 한편, 장군신앙이란 살아생전 영웅시되었던 장군의 영혼이 사후에 신격화되어 숭배되는 것을 말한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충절을 다하다가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거나 국가에 큰 업적을 남긴 장군이 죽은 뒤 특정인이나 또는 마을 신당에 봉안되어 마을과 마을 사람들을 수호하는 장군신으로 봉안되는 것이 장군신앙의 한 면이다. 이와 같은 장군신앙 원리를 바탕으로 최영장군신은 말한 바와 같이 무속신앙에서는 물론이고 마을신앙에서나 민중들의 설화을 통해서도 한민족 역사의 위대한 영웅으로 그리고 영험한 신격으로 되살아 있다. 그러한 것은 민중들에 의해 전승되어온 최영장군신앙 관련의 설화를 보면 그러한 측면을 엿볼 수가 있다. 설화에서는 최영장군 출생에 관한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최영 장군은 민중들에게 그 자체가 신이한 신격으로 인식되어 있는 것이다. 곧, 민중들로부터 묘사되고 있는 최영 장군은 초월적인 존재로서 자신의 목을 마음대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으로 나타나 보인 것이다. 이러한 신비적인 능력은 다른 장군설화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이처럼 최영 장군이 민중들에게 신격화된 배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