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이해 ’조금 특별한 관람’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을 개최한다. 10월 22일(수)부터 12월 28일(일)까지 상설전시관에서 이루어지는 이 행사는 ‘20점의 유물, 20년의 기억’을 찾아가는 관람 프로그램이다. 용산 개관 이후 20년 동안 박물관의 학술 연구와 전시 기획 등 다양한 활동으로 새로운 값어치를 축적하며 관람객들과 함께 성장해 온 여러 소장품들 가운데 20점을 뽑았다(붙임 1). 상설전시관 곳곳에 전시 중인 이들을 따라가는 여정에는 지난 20여 년 동안 각 유물과 남다른 인연을 맺어 온 박물관 사람 20여 명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여정의 시작은 역사의 길이다. 이곳에는 지난 20년의 여정과 시간의 축적을 형상화한 상징 조형물이 설치되어(붙임 2) 출발을 돕는다. ‘시간의 단위가 켜켜이 쌓이며 특정 시점에서 20이라는 상징이 선명해지는’ 구조의 조형물은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한다‘라는 의미를 시각화하면서 20점의 유물과 이야기의 표제, 전시 위치, 관람 방법 등을 안내한다. 함께 제시한 정보 무늬(QR)로 모바일 누리집(nmk20.com)에 접속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오는 10월 29일(수)과 30일(목)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민속악단 기획공연 ‘신(新)산조’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전통 산조의 본류를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담은 새로운 형태의 창작 산조를 무대화한 작품이다. 민속악단 단원들이 직접 구성과 연주에 참여하여, 각 악기의 개성과 시대의 감성을 결합한 ‘오늘의 산조’를 만들어냈다. ‘산조(散調)’란 민속음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을 일컫는 말로 연주자의 기량과 악기의 표현을 돋보이게 하는 음악이다. 산조는 명인의 음악 세계와 연주의 깊이를 온전히 담고 있기에 전통 기악곡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힌다. 산조는 19세기 후반 그 틀을 갖춘 이래, 몇 세대를 거치며 더욱 완성도 높은 음악으로 발전하였다. 오늘날 연주되는 산조는 과거에 만들어진 것이지만, 이번 공연은 민속악단이 새롭게 만든 산조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음악사적으로도 의미가 남다르다. 공연 프로그램은 ▲백낙준 거문고 산조(이선화 복원 연주), ▲정준호의 장구산조, ▲원완철의 대금산조, ▲배런의 아쟁산조, ▲이재하의 거문고ㆍ대금 산조 이중주 ‘금적(今積’), ▲이재혁의 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사람들의 일상과 공동체의 기억을 담아내는 ‘민속’은 지금 어디쯤 있을까? 그 해답을 찾기 위해, 국립민속박물관이 학계와 손을 맞잡는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오는 10월 31일(금) 민속학계와 연합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박물관과 학회의 연대’를 중심 주제로, 학문과 현장, 공공과 실천이 만나는 새로운 지점을 찾고자 마련되었다. ■ 민속학, 다시 사회와 호흡하다 이번 학술대회는 “민속학은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학회 쪽에서는 허용호 한국민속학회장이 〈민속학, 오늘도 위기인가〉를 통해 한국 민속학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와 학문적 정체성의 현주소를 짚을 예정이며, 정연학 비교민속학회장은 〈민속 관련 학회의 지속 가능성과 필요성〉을 발표해 학문 공동체의 재구성과 연대의 방향을 모색한다. 이어 강정원 한국문화인류학회장은 〈한국민속학자대회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대안〉을 통해 민속학 내부의 역사적 성찰과 제도적 과제를 조명할 예정이다. 박물관에서는 우승하 학예연구관이 〈박물관과 학회의 교차점에서: 민속학 협력사업의 실천과 과제〉를 통해 학문 연구와 공공기관의 실천이 만나는 접점을 제시하며, 신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오는 10월 29일(수) 낮 11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차와 이야기, 그리고 우리 음악이 어우러지는 브런치 콘서트 ‘다담(茶談)’을 선보인다. 절약만으로는 부족한 시대, 현명한 돈 관리가 필요한 지금, 이번 국립국악원 ‘다담(茶談)’에서 ‘진짜 부자'로 가는 길을 안내한다. 이번 이야기손님으로는 경제 콘텐츠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재테크 전문 강사이자 경제분야 베스트셀러 작가인 김경필이 함께한다. 10월 ‘다담(茶談)’에서는 “외식 줄이고, 커피 줄이고, 지하철 타고 다녀야만 돈을 모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주거비, 자동차, 취미, 여행, 노후까지 아우르는 구체적이고 실천할 수 있는 가능한 전략을 관객들과 나눌 예정이다. 단순한 절약을 넘어, 인생을 즐기면서 부자가 되는 법을 제안하는 흥미롭고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실적인 조언과 재치 있는 입담으로 유명한 김경필은,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서 연간 100회 이상의 강연을 소화하며 ‘섭외 1순위’ 강사로 주목받고 있다. <딱 1억만 모읍시다>, <오늘은 짠테크 내일은 플렉스>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예술감독 겸 단장 김종덕)은 <2025 안무가 프로젝트>를 11월 6일(목)부터 9일(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2025 안무가 프로젝트>는 전통 공연예술 분야 창작자ㆍ예술가를 육성하는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사업의 하나로 2025년 2월 공개모집을 통해 뽑힌 3명의 안무가(정소연ㆍ이지현ㆍ박수윤)의 작품을 트리플빌(Triple Bill: 세 작품을 같은 무대에 선보이는 형식)로 무대에 올린다. 국립무용단은 <넥스트 스텝>, <홀춤> 등 신진 안무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기획 무대를 꾸준히 마련해 왔다. 2023년 시작한 <안무가 프로젝트>는 창작자에게는 실험의 장을, 관객에게는 다채로운 작품을 만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참여한 최호종ㆍ정보경ㆍ이재화 등의 안무가들이 <안무가 프로젝트>를 거친 뒤 한국 무용계를 이끌 차세대 창작자로 주목받고 있다. <2025 안무가 프로젝트>는 오는 11월, 새로운 발상과 뜨거운 에너지를 담은 세 편의 신작을 선보인다. 국립무용단원으로서 전통의 어법을 오늘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어둠을 밝히는 등대처럼, 마음에 따스한 불을 밝혀 줄 특별한 전시가 부산 영도에서 열린다. 한국항로표지기술원(K-AtoN, 원장 박광열)은 해양수산부와 함께, 등대주간을 맞아 열린 '제1회 대한민국 등대 그림 공모전'의 수상작 특별전시회 '바다 끝, 빛을 그리다'를 10월 24일(금)부터 2026년 2월 28일(토)까지 4달 동안 부산 영도 등대에서 연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영도등대 등대해양문화공간 내 See&Sea 갤러리에서 열리며, 전국 각지의 등대와 바다를 주제로 초ㆍ중ㆍ고등부 학생들의 다양한 시선과 해석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우수 작품들을 선보인다. 대상 1점과 최우수상 4점, 우수상 12점, 장려상 24점 등 모두 41점의 수상작이 전시돼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만나볼 수 있다. 아쉽게 수상하지 못한 48점의 입선작은 '등대와 바다' 누리집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은 이번 전시를 통해 등대를 문화적 자산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등대가 갖는 역사적, 문화적 값어치를 공유해, 등대해양문화공간에 대한 미래세대의 관심을 확산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가 열리는 'See&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무리 현자라도 사심이 들어가면 바보가 됩니다."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지라도 개인적인 욕심이 개입되는 순간, 올바른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어리석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빛나는 보석이 흠집에 의하여 흐려지듯, 완벽해 보였던 현자의 판단은 사심이라는 불순물에 의해 흐려집니다. 역사 속 수많은 인물이 이러한 오류를 범하며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했습니다. 권력욕에 눈이 멀어 백성을 멀리하거나, 개인적인 원한으로 인해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때가 많습니다. 사심이 들어가면 짙은 안갯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합니다. 우리는 종종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 불리한 사실은 외면합니다. 이러한 편향된 시각은 객관적인 판단을 어렵게 만들고, 결국 잘못된 결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정치인은 표를 얻기 위해 진실을 왜곡하기도 하고. 기업은 이익을 위해 환경을 파괴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심은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그러니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볕이 뜨겁다 못해 따가운 한낮, 문득 바람의 결이 바뀌는가 싶더니 저만치 하늘 한쪽이 거무스름하게 바뀌어 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쨍쨍하던 해가 가려지고 둘레가 어둑해지면서 흙냄새를 실은 바람이 불어올 때, 우리는 곧 굵은 빗방울이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럴 때 딱 어울리는 '매지구름'입니다. '매지구름'은 곧 비를 쏟아낼 듯한 낌새를 지닌 구름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지만, '매지구름'에는 조금 더 생생한 모습과 쓰임새가 담겨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거무스름한 빛깔의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두 풀이를 모아보면, '매지구름'은 비를 잔뜩 품고 있어 빛깔이 검거나 거무스름하며, 때로는 조각조각 뭉쳐 있는 구름의 모습을 그립니다. 무엇보다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를 몰고 오는 구름과 아주 가까운 구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매지구름'은 왜 '매지구름'일까요? '구름'은 '구름'인데, '매지'는 무슨 뜻일까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한밤중에 된서리가 팔방에 두루 내리니, 숙연히 천지가 한번 깨끗해지네. 바라보는 가운데 점점 산 모양이 파리해 보이고, 구름 끝에 처음 놀란 기러기가 나란히 가로질러 가네. 시냇가의 쇠잔한 버들은 잎에 병이 들어 시드는데, 울타리 아래에 이슬이 내려 찬 꽃부리가 빛나네. 도리어 근심이 되는 것은 노포(老圃)가 가을이 다 가면, 때로 서풍을 향해 깨진 술잔을 씻는 것이라네” 위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 권문해(權文海, 1534~1591)의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에 나오는 글인데 상강에 대한 묘사가 잘 되어있습니다. 내일은 24절기의 18째 “상강(霜降)”인데 상강은 말 그대로 서리가 내리는 날이란 뜻으로 날씨가 추워져 첫얼음이 얼기도 하지요. 이때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입니다. 옛사람들은 상강 초후에는 승냥이(갯과의 짐승)가 짐승을 잡으러 다니고, 중후에는 풀과 나무가 누렇게 떨어지는 낙엽의 때라고 보았으며, 입동이 되기 5일 전(말후)에 벌레들이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벌써 하루해 길이는 노루꼬리처럼 뭉텅 짧아졌고, 아침에 일어나 보면 하룻밤 새 들판 풍경은 완연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