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전수희 기자] 대한제국 육군부위로 복무하다가 군대가 해산되자 중국 유하현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기자건설 및 독립군양성에 힘썼으며, 1911년 군정부의 참모장으로 활약하였다. 1920년 이후 북로군정서, 대한통의부, 신민부 등 만주지역 무장독립운동단체의 핵심 간부로서 조국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항일투쟁에 일신을 돌보지 않았던 선생은 1932년 일제의 사주를 받은 토비에게 피살 순국하시니 향년 51세였다. 이장녕 선생은1881년 5월 20일 충남 천안군 목단면 서리에서 태어났다. 어릴때부터 결단력이 유달리 강했던 선생은 대한제국의 육군무관학교 3기생으로 졸업하여 1903년 육군부위로 승진하였다. 1907년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황실 친위대에 입대하라는 특명을 받았으나 사양하고 가재(家財)를 정리하여 가족과 함께 1907년 11월 20일 중국 유하현 삼원보로 망명하여 을사조약 이후 최초의 국외망명자가 되었다. 그 뒤 뒤따라 온 이상룡(李相龍), 김동삼(金東三), 이회영(李會榮) 형제 등과 독립운동기지건설에 힘스고 신흥강습소를 창설하여 선생은 교관으로서 애국청년들의 군사훈련과 독립정신 고취에 진력하였다. 선생은 1919년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춘천의병장 습재 이소응(李昭應, 1852~1930) 선생을 2017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1852년 강원도 춘천 출신으로 자는 경기(敬器), 호는 습재(習齋) 또는 사정거사(思靖居士)이며, 후에 의신(宜愼), 직신(直愼)으로 개명하였다. 본관은 전주로,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별자(別子)인 경창군(慶昌君) 주의 후손이다. 선생은 1872년 22세 때 화서 이항로의 제자인 유중교의 문하에 들어가 일생을 화서학파 선배인 의암 유인석과 항일투쟁에 매진하였다. 조선이 1876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개항되자 면암 최익현 등 화서학파 유생들과 반대 상소를 올려 일제의 침략성을 규탄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을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자, 선생은 유인석의 권유로 의병 대열에 동참하여 1896년 춘천의병장에 추대되었다. 춘천의병진에는 전직 관료와 재야 유생을 비롯하여 군인, 보부상,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다. 선생은 의병진의 전열을 재정비하고 군량과 무기를 확보하는 한편, 효고팔도열읍(曉告八道列邑)이란 격문을 지어 의병을 일으킨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몸이 불편해도 촛불집회에는 꼬박 참석했지요." 12월 10일 토요일, 제 7차 광화문 촛불집회가 열리던 날, 낮 1시 서울역의 한 음식점에서 만난 최사묵 선생은 84살의 노구에도 기자와 대담을 마치고 촛불현장으로 가기 좋게 약속장소를 서울역으로 잡았다. 100년만의 무더위를 기록했던 지난 여름, 욕실에서 나오다 삐끗하여 척추를 다친 이래 여러 달째 척추보호대를 차고 있으면서도 촛불집회에 꼬박 참가해왔다는 선생의 눈빛을 보며 구한말 충남 당진의 당당했던 최구현 의병장(1866 ~ 1906.12.23) 후손임을 대번에 알아차리게 했다. “의병장 할아버지에 대해서는 제 나이 70이 다되도록 그 행적을 알지 못했습니다. 구한말에 무과에 급제하여 군부참서관(軍部參書官)을 하던 할아버지께서 을사늑약 이후 벼슬을 사임하고 낙향한 것 까지는 알지만 이후 종적을 알 수 없었습니다.” 무과에 급제한 교지(敎旨)까지 있지만 집안 어른 그 누구도 할아버지의 행적에 대해 말해주는 사람이 없었기에 어린 손자 최사묵은 더욱 할아버지의 삶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살았다고 했다. 그러던 차에 할아버지 최구현에 대한 평생의 숙제를 풀어준 사건이 일어났다.
[우리문화신문= 이윤옥기자] 이종일(李鍾一, 1858. 11. 6~1925. 8. 31) 선생은 1858년 11월 6일 충남 태안군 원북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향리에서 한문을 수학한 선생은 15세가 되던 해인 1874년에 사서삼경을 통달하고 부모슬하를 떠나 서울로 올라와 문과에 급제하였다. 1882년 8월에는 박영효 수신사의 사절단 일원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명치유신 이후 쇄국에서 깨어나 서양문명을 받아들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일본의 개화 모습을 목격하였다. 이후 유교사상에서 벗어나 실학과 개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선생은 1896년 [독립신문]에 개화의식에 대한 논설을 기고하기도 하였다. 1896년 11월 선생은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민족의식의 진작과 민족사상 고취에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1898년 3월 동료들의 추대를 받아 개화사상의 대중기반인 대한제국민력회를 조직, 회장에 취임하였다. 1898년 선생은 중추원 의관에 피임되었으나, 당시 나라의 정세는 세계 열강들의 침략과 국내적 혼란 등으로 국운이 기울어지기 시작했을 때였다. 이를 통한이 여긴 선생은 우선 나라를 구하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하고 10개월 만에 의관직을 그만두었다. 선생은 신교육의 하나로 1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는 20세기 한국사 전공을 지망하는 건국대학교 사학과 재학생 이현우입니다. 지난 2015년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암살이 국내에서 흥행했습니다. 그 후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조명이 이뤄지는 듯했습니다만 이 분위기는 본격적인 연구와 관심으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독립운동사에서 남성만 생각하고 있고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관심은 뒷전입니다. 그럼에도 저는 독립운동의 역사 중 특히 무장투쟁 활동에서 여성들의 활동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광복군 출신 여성대원 중 한 분이신 오희옥 선생님을 직접 만나 뵘으로써 선생님과 같은 분들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올해 초 선생님의 회고록 《민들레의 비상》을 읽으면서 선생님이 젊은 시절 걸어오셨던 삶을 좀 더 잘 알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은 3ㆍ1 만세운동이 있은 뒤인 1920년 서울에서 태어나셨고 1925년 아버지인 지청천 장군을 따라 만주로 이동하여 그 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셨으며, 1930년대 일제가 만주를 침략한 뒤 떠도는 삶을 이어가야 했습니다. 1940년에 광복군이 창설되었을 때는 오광심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2017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 결과를 5일 발표하였다.1월 이소응(춘천의병장), 2월 이태준(몽골의 슈바이처), 3월 권병덕(민족대표 33인), 4월 이상정(임시의정원 의원), 5월 방정환(어린이의 벗), 6월 장덕준(최초의 순직기자), 7월 조마리아(안중근 의사 어머니), 8월 김수민(농민 의병장), 9월 고운기(한국광복군 제2지대장), 10월 채상덕(의군부 총장), 11월 이근주(순절자), 12월 김치보(러시아 지역 독립운동 지도자)독립운동가가 뽑혔다. 1992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한 김상옥 선생 선정이후 모두 314명의 독립운동가가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것이다.이달의 독립운동가는 지방자치단체, 관련기관ㆍ단체 등으로부터 추천 받은 인물을 대상으로 근현대사 전공학자 등으로 구성된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위원회에서 선정하였으며, 전문기관 등의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되었다. 2017년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소응 선생은 의암 유인석 선생과 함께 대표적인 을미의병장으로 1895년 을미사변 이후 강원도 춘천에서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사천시 사남면 우천3ㆍ1만세운동기념비건립추진단(단장 김갑성)은 9일 오전 11시 우천바리안마을 도농교류센터 앞 광장에서 유족과 시민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ㆍ1만세운동 기념비 제막식'을 가졌다. 사남면 우천마을에서는 지금으로부터 97년 전인 1919년 기미년 당시 김관일, 김주봉, 김기범, 문종석, 문명표, 김수명, 김또정일, 김몽우, 김재상, 김덕우, 김장언, 곽성삼, 곽은삼, 곽의삼, 문득용, 문석포, 문장포 이상 열일곱 분의 청년들이 우천리 텃골재에서 독립만세를 부르다가 일본 헌병에게 잡혀 옥고를 치르는 등 독립운동을 펼친 바 있다. 이러한 독립운동 사실이 구전으로만 전해져 오다가 지난 1985년 사천현 여지승람 속간을 펴낼 때 사천문화원에서 우천마을의 만세운동 사실을 발견하고 역사적 사료를 찾아 검증작업을 거쳤으며 지난해 우천마을 주민들의 뜻을 모아 기념비 설립을 결의하고 시의 지원을 받아 기념비를 세우게 된 것이다. 사업추진을 맡은 김갑성 추진단장은 "만세운동이 있은 지 97년, 관련 자료를 발견한 지 31년 만에 호국영령들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비를 건립하게 되어 마음의 짐을 덜었다."며 "그분들의 의로운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100년 편지에 대하여..... 100년 편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100년(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입니다. 내가 안중근의사에게 편지를 쓰거나 내가 김구가 되어 편지를 쓸 수 있습니다. 1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역사와 상상이 조우하고 회동하는 100년 편지는 편지이자 편지로 쓰는 칼럼입니다. 100년 편지는 2010년 4월 13일에 시작해서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독자 여러분도 100년 편지에 동참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매주 화요일 100년 편지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문의: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02-3210-0411 신의철 동지에게 신동지! 증오와 편가름, 혼란과 부조리 없는 그 곳 – 모두가 평안(平安)허고 다같이 영원히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그곳으로, 이 아귀다툼의 사바세계를 등지고 떠난 지 어언 십수 년이라는 세월이 훌쩍 흘러갔네그려! 그간, 신동지와 전후해서 이곳을 떠난 김권, 박승유, 이희화도 재회해서, 지난 어두웠던 시절 광복군으로서 중국 장시성 허커우 전(江西省 河口鎭)에서 태극기를 품에 안고 애국가를 부르며 (당시에는 영국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랭사인’ 곡으로 불러서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최수봉 [1894~1921] 선생은 1894년 경남 밀양의 빈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향리의 개량서당을 다니면서 한문과 유교적 가르침을 익히고 신지식도 섭렵하였다. 그 후 김원봉과 함께 밀양공보를 다니던 중 단군이 일본 대화족(大和族) 시조의 아우라고 주장한 일본인 교사에게 항의했다는 이유로 퇴학당하였다. 선생은 1910년 사립 동화(同和)학교에 편입하여 김대지 등 독립운동가의 가르침을 받으며 조국애와 항일의식을 키워갔다. 1912년 범어사가 운영하는 부산 명정학교와 1913년 기독교 계통의 평양 숭실학교를 다녔다. 1916년 평안도에서 광부와 우편배달부 생활을 한 후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인 봉천(오늘날 선양)과 안동(오늘날 단둥)을 왕래하며 동지를 규합하였다. 1920년 의열단이 제1차 국내 일제기관 총공격거사 계획을 세우고 폭탄을 밀반입하다 일제 경찰에 적발되어 여러 단원들이 체포되자 선생은 이종암 등과 식민통치의 폭압기구에 폭탄 투척 거사를 계획하였다. 1920년 12월 27일 월요일 아침 경찰서장이 연말연시 특별경계를 당부하는 훈시를 하던 틈을 타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다. 선생에 대한 재판은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튼튼한 어린이, 따뜻한 어린이, 똘똘한 어린이” 이는 제주 오라동(제주시 정실3길 57)에 있는 선덕어린이집의 원훈이다. 원훈 말고도 이곳에는 ‘바라는 상(교육철학)’이 반듯하게 적혀 걸려 있는데 “선덕어린이집에서 바라는 어린이상은 설립자이신 고수선 애국지사의 유지를 받들어 앞날의 우리민족의 기둥이 되도록 자라는 어린이 곧 한민족의 기본정신인 홍익인간으로 자라기를 바랍니다” 라는 글귀가 눈에 띈다. “어머니는 내 자식 남의 자식 구분 없이 사랑으로 아이들을 보살폈습니다. 저 역시 평생 아이들과 더불겠다는 생각으로 어린이집을 맡아 지금까지 이끌어 오고 있습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고 어릴 때 교육이 아주 중요하지요.” 선덕어린이집을 찾아간 기자에게 정원에서 딴 잘 익은 무화과 열매를 먹어보라고 권하며 김률근 원장(76살)은 그렇게 말했다. 김률근 원장의 어머니인 여성독립운동가 고수선(高守善, 1898-1989)애국지사는 일제강점기에 온몸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펼쳤으며 한편으로는 경성의전을 졸업하여 한국인 여의사 1호가 된 수재였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선덕어린이집을 세워 평생을 어린이 교육에 헌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