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정척(鄭陟)ㆍ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양성지(梁誠之) 등이 《동국지도(東國地圖)》를 바쳤다. 이보다 앞서 정척과 양성지 등에게 명하여 의정부(議政府)에 모여서 《동국지도(東國地圖)》를 상고하여 확정하게 하였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완성되었던 것이다.”이는 《세조실록》 31권, 세조 9년(1463년) 11월 12일 기록으로 세조 9년 오늘 동국지도가 완성되었다는 얘기입니다. 동국지도는 단종 1년(1453) 수양대군이 조선전도, 팔도도, 각 주현도(州縣圖)를 만들라는 명령을 하자 하삼도, 곧 충청ㆍ전라ㆍ경상도의 산과 강 등의 지세를 조사하였고, 1463년에 다시 각 도(道) 수령(守令)에게 그 지방의 위치, 산맥의 방향, 도로의 이수(里數), 인접된 군(郡)과의 접경(接境) 따위를 자세히 그리게 하여 만든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지도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동국지도는 '기리고거'라는 거리 측량기구를 썼고 천문 고도관측으로 한반도의 남북길이, 동서길이를 알아냈으며 삼각측량법을 썼죠. 따라서 동국지도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과학적 지도이며, 실측지도인 셈입니다. 다만 이 지도 원본은 일본 도쿄 내각문고에 있어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971년 당시 대통령 박정희는 금관이 나올 것이란 말에 신라 무덤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무덤인 98호분(황남대총)을 발굴 조사하라고 지시합니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이렇게 큰 무덤을 발굴한 경험이 없었던 고고학자들은 98호분과 약 130미터 떨어진 지점에 있는 155호분을 시험적으로 먼저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시험대상의 발굴 무덤에서 찬란한 신라금관은 물론 금제의 호화로운 허리띠와 천마도 등 무려 11,526점에 달하는 엄청난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가운데 금관은 출토된 다음날 청와대로 옮겼을 정도로 박정희 대통령이 흥분했다고 합니다. 유물이 발굴되면 보존처리를 먼저 해야 함에도 대통령이란 직책을 이용해 가져오라고 한 것이라 관심만 있지 지식은 없는 행위였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그러나 당시 발굴단을 비롯하여 학자들의 관심은 금관보다 말다래에 그려진 “천마도(天馬圖, 뒤에 국보 제207호로 지정)”에 있었습니다. 천마도는, 하늘로 화려하게 날아오르는 백마처럼 보이는 말 그림입니다. 말다래는 말의 발굽에서 튀는 흙을 막기 위해 안장 밑으로 늘어뜨리는 판이지요. 신라의 예술혼이 즈믄해(천년)의 긴 세월 동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찬 서리 / 나무 끝을 나는 까치를 위해 / 홍시 하나 남겨둘 줄 아는 / 조선의 마음이여” 김남주 시인은 <옛 마을을 지나며>라는 시에서 이즈음의 정경을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바로 추운 겨울이 다가왔다는 손짓이지요. 오늘은 24절기의 열아홉째 ‘입동(立冬)’, 무서리 내리고 마당가의 감나무 끝엔 까치밥 몇 개만 남아 호올로 외로운 때입니다. 이 날부터 '겨울(冬)에 들어선다(立)'라는 뜻에서 입동이라 부르는데 이때쯤이면 가을걷이도 끝나 바쁜 일손을 털고 한숨 돌리는 시기이며, 겨울 채비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입동 앞뒤로 가장 큰일은 역시 김장이지요. 겨울준비로 이보다 큰일은 없는데 이 때를 놓치면 김치의 상큼한 맛이 줄어듭니다. 큰집 김장은 몇 백 포기씩 담는 것이 예사여서 친척이나 이웃이 함께했습니다. 우물가나 냇가에서 부녀자들이 무, 배추 씻는 풍경이 장관을 이루기도 하였지요. 이것도 우리 겨레가 자랑하는 더불어 살기의 예일 것입니다. 김장과 함께 메주를 쑤는 것도 큰일 가운데 하나지요. 제주도에서는 입동날씨점을 보는데 입동에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해 바람이 독하다고 합니다. 또 이때 온 나라는 음력 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삼성리움미술관에는 보물 제1393호 <추성부도(秋聲賦圖)>라는 그림이 있습니다. “추성부(秋聲賦)”란 중국 송나라 때의 문인 구양수(歐陽修)가 지은 글로,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가 이를 그림으로 그린 것입니다. 그림 왼쪽에는 “추성부” 전체의 글이 김홍도의 글씨로 쓰여 있지요. 글의 끝부분에 ‘乙丑年冬至後三日 丹邱寫(을축년동지후삼일 단구사)’라 쓰여 있어 이 그림이 1805년 곧 단원이 죽기 한해 전에 그린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추성부도〉는 가을 소리를 그린 그림입니다. 그림에는 달창을 사이로 두고 밖에 서 있는 동자가 팔을 펼쳐 안에 앉아있는 남자에게 뭔가를 얘기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아마도 이 남자가 책을 읽는데 밖에서 소리가 들렸던가 봅니다. 처음에는 빗소리가 나다가 바람 소리가 들리더니, 갑자기 폭풍우가 쏟아지는 듯 하다가 쇠붙이들이 한꺼번에 울리는 소리가 나자 동자를 불러 나가보라고 했나봅니다. 돌아온 동자는 “별과 달이 밝고 하늘에는 은하수가 걸려 있어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소리들은 나무숲에서 나고 있어요.”라고 합니다. 그렇게 밖에서 들리는 소리는 그저 가을의 소리일 뿐이지요. 집 주변 나무에는 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 겨레의 전통예술 가운데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이며,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오른 판소리가 있습니다. 소리꾼이 고수 장단에 맞추어 창ㆍ아니리ㆍ발림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 음악이지요. 본래 열두 마당이었으나 지금은 <춘향가>ㆍ<심청가>ㆍ<수궁가>ㆍ<적벽가>ㆍ<흥보가> 다섯 마당만 전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판소리가 우리의 대표적 전통예술로 자리 잡은 데에는 신재효(申在孝, 1812~1884)라는 인물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신재효는 우선 판소리 열두마당 가운데 <춘향가>, <심청가>, <토별가(수궁가)>, <박타령(흥부가)>, <적벽가>, <변강쇠가> 등 모두 여섯마당의 판소리 사설을 정리하면서 자기 나름으로 개작하였습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판소리 이론을 정립하고 비평 활동도 했는데 특히 인물, 사설, 득음, 너름새를 판소리의 4대 법례로 제시하고 또 역대 명창들의 특색을 비유의 방식으로 평가했지요. 또 신재효는 집안에 ‘노래청’을 만든 다음 수많은 명창들과 교류하였고 김세종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 나이 18~19살 때 미중(美仲, 박지원) 선생이 문장이 뛰어나 명성이 자자하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백탑 북쪽에 있는 집을 찾아 갔다. 선생은 내가 왔다는 말에 옷도 채 걸치지 않고 반갑게 맞아주시며, 오랜 벗처럼 내 손을 잡으셨다. 지은 글을 모두 꺼내더니 읽어보라고 하시고, 손수 쌀을 씻어 밥을 하셨다. 흰 주발에 가득 담아 옥소반에 내오고, 술잔을 들어 나를 위해 건배하셨다.” 이렇게 약관(弱冠, 남자 나이 20살을 일컬음)도 안 된 나이의 박제가와 당시 32살 이었던 연암 박지원의 첫 만남이 이루어집니다. 연암은 어린 박제가의 학문을 높이 산 것입니다. 이렇게 스승과 제자의 연을 맺은 그들은 서로 짧은 편지를 주고받습니다. 연암은 “(앞줄임) 내 급히 절하네. 많으면 많을수록 좋소. 또 호리병까지 보내니 가득 채워 보냄이 어떠한가?”라고 박제가에게 편지를 보냅니다. 돈 좀 꿔달라는 얘기를 이렇게 빙빙 돌려서 얘기한 것입니다. 돈 꿔달라고 하면서 술병까지 보내는 장면은 참으로 기가 막힙니다. 그러자 박제가는 “열흘 장맛비에 밥 싸들고 찾아가는 벗이 되지 못해 부끄럽습니다. 200닢의 공방(孔方, 엽전)은 편지 들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41년 전(1878년) 11월 3일은 의병대장 신돌석 선생이 태어난 날이지요. 신돌석 선생은 대한제국 말기의 평민출신 항일 의병장으로, 을미사변과 을사늑약 이후 경상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준 활약을 하였습니다. 선생은 19살의 나이로 동지들을 규합하여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타고난 용기와 담력으로 일본군과 대적할 때마다 큰 전공을 세웠고, 그에 따라 영해의병진의 중군장이 되었지요. 1906년 3월 13일 선생은 다시 의병을 일으켰는데 선생의 명성을 듣고 많은 청장년들이 몰려와 의병부대의 규모는 3,000여 명으로 커졌고 사기는 충천하였습니다. 선생은 의병부대를 이끌고 먼저 영해부근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을 격파한 뒤, 그 해 4월에는 울진 장흥관에 정박 중이던 일본 배 9척을 격침시켰습니다. 이후 선생의 의병부대는 동해안 일대와 경북 내륙지방, 강원도 내륙지방 등에서 일본군수비대와 여러 차례 격전을 벌여 크게 승리하였지요. 이에 따라 일본군은 선생의 이름만 들어도 두려워 감히 접근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선생은 1907년 11월 이인영, 허위, 이강년 등 양반 유림이 중심이 되어 13도창의군을 결성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 7월 23일 문화재청은 2007년 부여 왕흥사 목탑 터에서 발견되어 공개된 이후 2012년 보물 제1767호로 지정되었던 “부여 왕흥사터 출토 사리기(舍利器)”를 발견한 지 12년 만에 국보 제327호로 승격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리기(舍利器)’란 부처의 사리를 모셔놓은 그릇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번에 국보가 된 부여 왕흥사터 출토 사리기는 바깥부터 청동제 사리합-은제 사리호-금제 사리병 3겹으로 포개진 채 발견되었는데, 가장 바깥 사리기인 청동제 사리합에는 6줄 29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글의 내용으로 577년(정유년丁酉年) 2월 15일 창왕이 죽은 아들을 위해 왕흥사를 세우고 목탑에 사리기를 넣은 것으로 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백제 사리기로 확인되었지요. 이 사리기는 표면에 새겨진 글씨로 제작연대(정유년丁酉年, 577년)를 명확히 알 수 있음은 물론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리기로서 역사성과 희소성이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아울러 예술적인 면에서도 그 모양과 제작기법의 완성도가 높아 ‘검이불루화이불치(儉異不陋華而不侈)’ 곧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36년 전인 1883년(고종 20) 오늘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 <한성순보(漢城旬報)>가 창간된 날입니다. 한성순보는 서울 저동(지금의 을지로2가)의 통리아문(統理衙門) 박문국(博文局)에서 월 3회 발행한 순보(열흘 간격으로 발행)였지요. 1882년 박영효(朴泳孝) 일행이 수신사(조선 말 고종 때 일본에 보내던 사신)의 자격으로 일본에 가 머무르면서 국민대중의 계몽을 위한 신문 발행의 필요성을 깨닫고 신문제작을 위해 기자와 인쇄공 등 몇 명의 일본인을 데리고 돌아온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종은 1883년 8월 17일 통리아문에 박문국을 설치하여 신문을 발행하도록 허락하게 됩니다. 이때 김인식(金寅植)이 신문 발행 실무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근대적인 신문기자의 전신인 주사(主事)와 사사(司事)를 임명했습니다. 이 신문은 ‘순보서(旬報序)’에서 “우리 조정에서 관청을 만들어 외국신문을 널리 번역하고 아울러 국내의 사건도 실어서 나라 안에 배포할 것”이라고 내세우고, “시세를 살펴 흐르지도 말고 빠지지도 말며 좋고 나쁜 것을 취사선택하여 도리에 맞게 구해서 바른 것(正)을 잃지 않는다면, 박문국을 개설하고 신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전체 길이 8.5m에 이르는 보물 제2029호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가 있습니다. 강산무진도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 궁중화원으로 이름을 떨친 이인문(李寅文, 1745~1821)이 그린 긴 두루마리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끝없이 이어지는 대자연의 풍광을 묘사한 산수화지요. 하지만, 산수 그대로가 아닌 웅장한 자연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세상을 묘사한 관념적인 산수를 그린 것으로, 넓은 들판에서 시작하다가 우뚝 솟아오른 절벽이 보이는 앞부분과 험준한 산세가 중첩되어 광활하게 그려진 중간부, 그리고 다시 잔잔한 들판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줍니다. 무엇보다 이 그림의 매력은 준법(皴法) 곧 동양화에서, 산악ㆍ암석 따위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쓰는 모든 기법을 쓴데 있습니다. 곧 산이나 바위를 그릴 때 도끼로 팬 나무의 표면처럼 나타내는 부벽준(斧劈皴), 쌀알 모양의 점을 여러 개 찍어서 그리는 미점준(米點皴)등 다양한 동양화의 준법이 총동원된 그림이라는 것이지요. 그렇게 변화무쌍하고 화려한 준법의 구사를 통한 산세의 묘사, 그리고 아주 작고 세밀하게 그려진 인물들의 꼼꼼한 표현이 어우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