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 목이 짧고 입이 곧은 항아리 / 4~5세기 대 한성 백제기 중앙양식을 대표하는 백제 토기
또한 이번 조사에서는 몽촌토성 북문터 안쪽에서 삼국 시대 포장도로 5기와 수혈유구(竪穴遺構, 지면에서 곧게 내려 판 굴모양의 터) 18기, 구상유구(溝狀遺構, 고랑 모양의 터) 1기가 확인됐고, 북문지 바깥에서는 삼국 시대 도로 1기, 남북국시대(통일신라시대) 도로와 함께 수레바퀴ㆍ사람ㆍ소의 발자국 흔적 등이 조밀하게 분포한 생활면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몽촌토성 북문터 안쪽에서 확인된 5기의 삼국시대 도로는 격자상으로 구획된 포장도로로 확인되었다. 특히, 북문터의 문길과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1호 도로는 백제가 최초 조성한 후 그 위에 한 차례 더 도로를 개설하여 사용했던 중층도로인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곳은 북쪽 도랑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진행하는 또 다른 도로와 도랑이 있는 것으로 보아 1개의 도로가 3개의 노면으로 이루어진 1로 3도(1路 3道)일 가능성이 크며, 백제가 사용한 하층도로와 중층도로를 고구려 역시 증개축(增改築)하여 사용하는 등 시기별로 총 세 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발굴결과 확인되었다.
1호 도로의 백제 상층도로는 북쪽으로 약 20m 정도 떨어져 있는 2호 도로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백제 상층도로에 덧붙여 축조된 고구려 이후 시기의 도로는 북문터 안쪽에서 현재의 회전교차로와 같이 말각방형(抹角方形,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북문터 안쪽에는 회전교차로와 같이 도로를 축조하여 성 안팎으로 출입을 원활히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구조와 규모의 도로는 우리나라 고대도성유적에서 최초로 확인된 유구이다. 아울러 1호 도로는 북문터 바깥으로 이어져 풍납토성(북성)으로 연결되는 주요 도로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발굴성과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14일 오후 2시에 발굴 현장에서 연다.
* 발굴 현장: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올림픽 공원 내 구 내성농장 부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