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0.3℃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5.9℃
  • 맑음제주 12.4℃
  • 맑음강화 8.6℃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7.3℃
  • 맑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4.0℃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잔치 그리고 행사

「경복궁 생과방」에서 만나는 궁중의 맛과 전통공예

전년 대비 운영 횟수와 참가 인원 늘리고, 전승취약종목 공예 작품으로 다과상 구성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4월 16일부터 6월 23일까지 2025년 상반기 「경복궁 생과방」 행사를 한다.

* 운영시간(회당 36명): (1부) 10:00, (2부) 11:40, (3부) 13:50, (4부) 15:30 / 약 70분 동안

* 기간 중 매주 화요일 미운영(경복궁 휴궁일)

 

올해는 더욱 많은 내외국인 관람객이 참가할 수 있도록 지난해 대비 운영 횟수와 참가 인원을 크게 늘렸다. 올해 행사는 지난해보다 16회 많은 모두 456회 운영되며, 인원은 2,336명 늘어난 모두 16,416명이 참가할 수 있다.

 

 

「경복궁 생과방」의 참가자 모집은 추첨제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가 응모와 예매는 티켓링크(www.ticketlink.co.kr)를 통해 할 수 있으며, 당첨 시 많게는 2매까지 살 수 있다. 응모는 한 계정(ID)당 한 번만 가능하다.

 

응모 기간은 오는 26일 낮 2시부터 4월 1일 낮 2시까지이며, 당첨자는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을 통해 4월 3일 저녁 5시에 발표된다. 당첨자는 4월 4일 낮 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원하는 날짜와 회차를 선택해 예매와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4월 9일 낮 2시부터는 만 65살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만 선착순 전화 예매(☎1588-7890)를 할 수 있다. 참가비는 1인당 1만 5천 원이다.

 

한편, ‘2025년 봄 궁중문화축전(4.26.~5.4.)’ 기간 중 4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5일 동안은 영어로 진행되는 외국인 대상 행사로 열며, 입장권은 크리에이트립(www.creatrip.com)에서 살 수 있다.

 

 

「경복궁 생과방」은 조선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생과방’에서 궁중다과와 약차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는 6종의 다과와 1종의 궁중약차로 구성된 궁중다과 묶음(세트)을 맛보며 고즈넉한 경복궁의 정취를 즐길 수 있다.

 

다과는 ‘주악세트’와 ‘곶감오림 세트’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번 상반기 행사에서는 다과 구성에 곶감오림과 오미자과편이 추가되었으며, 궁중약차로는 ‘감길다(甘吉茶)’를 새롭게 선보인다.

* 곶감오림: 말린 곶감을 꽃잎 모양으로 오려내고 잣으로 꽃술을 장식한 음식

* 오미자과편: 궁중연회상에 올렸던 다과 가운데 하나로, 궁중의 잔치를 기록한 《진찬의궤(進饌儀軌)》와 《진연의궤(進宴儀軌)》에 ‘오미자병’으로 기록되어 있음.

* 감길다(甘吉茶): 인후통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탕약으로, 《승정원일기》에 기록되어 있음.

 

 

특히, 국가유산청의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 활성화 지원사업>을 통해 제작된 전승취약종목 이수자들의 공예 작품을 활용한 다과상을 만나 볼 수 있다. 매듭장 박형민 이수자가 제작한 궁중약차 차패 매듭장식, 한산모시짜기 김선희 이수자의 찻잔받침, 두석장 박병용 이수자가 만든 다과꽂이 등으로 꾸며진 다과상을 선보여, 「경복궁 생과방」의 품격을 높이고 참가자들이 전통공예에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 활성화 지원사업>은 국가유산청이 고궁 문화행사 등에 전승취약종목 공예품을 활용하여 전승활동을 활성화하는 사업으로, 국가유산청은 무형유산 종목 중 사회적 수요가 감소하여 전승 단절의 위기에 처한 종목을 3년마다 전승취약종목으로 지정해 지원하고 있다. 현재 모두 25개 종목이 뽑혔으며, 특히, 공예 분야에서는 매듭장, 한산모시짜기 등 20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다.

 

행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을 확인하거나, 궁능 활용프로그램 전화 상담실(☎ 1522-2295)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