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중고 거래 '안전결제' 과연 안전할까?

슬기로운 컴퓨터ㆍ손말틀(휴대전화) 쓰기를 위한 귀띔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최근 중고 거래가 MZ 세대를 중심으로 합리적인 소비 방식으로 자리 잡으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모바일 앱과 온라인 중고 거래 승강장(플랫폼) 덕분에 누구나 쉽게 거래할 수 있지만, 이와 동시에 사이버범죄의 목표(타겟)이 되기도 한다. 특히 ‘안전결제’를 악용한 새로운 형태의 사기가 등장하면서 관련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과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고 거래 사기의 위험성과 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예방법을 살펴본다.

 

 

중고 거래 앱이나 누리집을 이용하다 보면 ‘해외 이민’이나 ‘연인과의 이별로 급하게 처분한다’라는 문구를 종종 마주치게 된다. ‘급처분’이라는 말은 물건 상태가 양호하면서도 값은 쌀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기에 구매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이런 표현 뒤에는 사기 행위가 숨어있을 수 있다는 점을 지나쳐서는 안 된다.

 

중고 거래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이 바로 ‘안전결제’다. 안전결제는 구매자가 물건을 받은 뒤 구매 승인을 해야 판매자에게 돈을 주는 방식으로,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사이 믿음를 보완해 주는 수단이다.

 

중고 거래 승강장인 ‘중고나라’와 ‘번개장터’는 이미 자체적인 안전결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당근마켓’도 안전결제 시스템 도입을 앞두고 있다. 많은 이용자가 이 시스템을 믿고 거래에 나서지만, 안전결제 만으로 100% 안전을 보장할 수는 없다.

 

안전결제를 이용한 사기 수법

 

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안전결제’를 악용한 신종 사기도 함께 늘고 있다. 사기범들은 소비자의 허점을 노려 정교한 수법으로 금전적 피해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사례 역시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다.

 

안전결제의 주요 사기 수법은 다음과 같다.

 

1. 가짜 안전결제 링크 제공

사기범은 유명 중고거래 승강장으로 속인 전자금융사기(피싱) 누리집을 만들어 안전결제 링크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이 링크를 눌러 카드 정보나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정보가 그대로 탈취된다.

 

2. 택배 운송장 또는 주문서 위장

‘택배 발송을 완료했다’라며 링크를 전송하고, 이를 클릭하면 가짜 결제 화면이 나타난다. 이 역시 개인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금융사기 수법이다.

 

3. 실제 승강장 로고ㆍ디자인 모방

정교한 디자인과 실제 회사 로고, 고객센터 번호까지 흉내 내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심지어 SSL 인증서를 위조하기도 한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중고거래 사기 피해액은 1,373억 원에 달하며, 신고되지 않은 피해까지 참작하면 실제 규모는 이보다 두 배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사이버범죄 신고센터는 2024년 기준, ‘안전결제’를 악용한 사기 피해 접수 건수가 2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피해자 대부분은 개인 사이 중고거래를 이용하는 20~40대였으며, 피해 금액은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많은 피해자는 중고장터에서 구매 제안을 받은 뒤 ‘안전결제를 하겠다’라는 말에 안심했지만, 실제로는 가짜 링크에 속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면 안전결제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5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승강장에서 제공하는 결제 기능만 사용

거래 누리집 밖의 링크는 절대 누르지 않아야 하며, 승강장이 제공하는 공식 결제 시스템만 사용한다.

 

2. 링크 주소 반드시 확인

링크가 ‘https’로 시작하는지, 도메인이 실제 승강장과 같은지 확인한다.

 

3. 무통장 입금 요구 시 의심

안전결제를 하겠다며 입금을 유도하거나, 운송장을 제공한 뒤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의심해야 한다.

 

4. 지나치게 급하거나 친절한 태도 경계

‘바로 거래하자’, ‘금방 배송하겠다’ 등 지나친 친절과 급박한 태도는 의심해야 한다. 정상적인 판매자는 차분하고 신중하게 대응한다.

 

5. 사기 이력 조회 앱 활용

사이버캅, 더치트 등 사기 이력 조회 앱과 사기 피해 정보 공유 누리집을 활용해 상대방의 계좌번호나 전화번호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안전결제는 거래의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사용자 스스로 방심할 때 오히려 사기의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앞뒤에는 반드시 한 번 더 확인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를 누르거나 개인정보 입력은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피해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AhnLab 콘텐츠마케팅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