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예, 사실인가 봐요. 본인이 스스럼없이 미스코리아라고 인정하던데요.” “나이는 얼마나 됐나요?” “1978년에 미스코리아였다니까 아무래도 40은 넘었을 것입니다. 직접 나이를 물어보지는 못했지요.” “K 교수님이 20대로 보았다면 너무 후한 점수를 주신 것 같네요. 어떻게 사십 넘은 여자를 20대로 봅니까?” “아니에요. 같이 있던 다른 두 교수도 동의했답니다. 얼핏 보면 20대로 보인다고. 물론 자세히 들여다보면 30대 정도로 보이지요. 그러나 여자 얼굴을 그렇게 자세히 들여다볼 수는 없잖아요.” “그래도 안 믿어지네요. 어쨌든 나중에 한 번 보고 다시 토론합시다.” 교수들은 토론을 좋아한다. 식당 여주인이 20대로 보이는지 40대로 보이는지, 그게 무슨 토론거리인가? 사십 넘은 미인을 20대로 보건 30대로 보건 무엇이 그리 중요하단 말인가? 교수들은 별것 아닌 주제를 가지고 토론만 길게 하는 이상한 존재들이다. 벚나무 그늘에서 스파게티를 먹으며 나누는 화제는 주로 원주 이야기였다. 지금은 춘천이 강원도 도청 소재지가 되었지만 원래 원주가 더 컸다고 한다. 기실 강원도라는 이름은 강릉과 원주의 앞 글자를 따랐다니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서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전까지 헌법재판소가 무엇을 하는 기관인지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더욱이 헌법재판소가 지구온난화가 일으킨 기후위기와 관련하여 2024년 8월 29일에 매우 중요한 판결을 내린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법률의 조항이 헌법을 위반하고 있는지를 헌법재판소가 판결해 달라고 소송이 제기된 법은 <탄소중립기본법>으로서 2021년 9월에 제정되었다. 이 판결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리기후협약부터 설명해야 한다. 2015년의 파리기후협약은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온실가스를 줄이자는 전 지구적 합의안으로서 195개 나라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 협약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들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또는 탄소 제로라고도 말함)을 달성해야 하며 각 나라들은 자체적으로 정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5년 주기로 제출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12월에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였다. 탄소중립기본법 제8조는 국가의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규정하는 조항인데, 제1항에서 2030년까지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그 뒤 하버드 대학 사회학과 교수인 밀그램은 6단계 분리를 실험을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렸다. 밀그램 교수는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을 연구하기 위해 1967년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연구자는 300통의 편지를 미국 중부에 있는 두 마을에 뿌리고 이 편지를 받은 사람들에게 ”보스톤에 살고 있는 주식중개인 A 씨에게 전달해 달라“라고 부탁을 했다. 편지는 자기가 아는 사람들 가운데서 보스턴의 A 씨를 가장 잘 알 것 같은 사람에게 전달하기를 반복해 최종 A 씨에게 도착하도록 했다. 단, 편지봉투에는 전달자의 이름을 적도록 해 편지가 전달된 경로를 알 수 있도록 했다. (출처: https://theharrissisters.blogspot.com/2013/08/six-degrees-of-separation.html) 이 실험을 통해 성공적으로 배달된 편지에 적힌 사람의 수를 세어보니 평균 5.5명으로 나왔다. 결국 밀그램 교수는 카린시의 소설에 나오는 내용을 입증함으로써 6단계 분리 이론이 맞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그의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이 실험 내용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고 한다. 세 사람은 ㄷ 교수의 차를 타고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미스 K는 사뿐사뿐 걸어서 계산대로 가더니 명함을 석 장을 가져와서 나누어 주었다. K 교수는 예쁜 디자인의 명함을 찬찬히 들여다보았다. 정통 이태리 음식점 파스타 밸리. 대표 K은정. 전화번호 031-xxx-xxxx. 찬찬히 명함을 들여다보던 K 교수는 갑자기 운명 같은 만남이라는 생각이 퍼뜩 스치고 지나갔다. 봄꽃은 오래 가지 못한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고, 열흘 넘게 피어 있는 꽃은 드물다. 그것은 마치 인생에서 아름다운 청년 시절이 10년 이상 지속되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청년 시절처럼 힘이 넘치고 모든 일에 자신이 있는 질풍노도의 시간은 10년을 넘지 못한다. “몸은 늙어도 마음은 청춘이다”라는 말은 과장법이요 소망일 뿐이다. 몸이 늙으면 마음도 따라서 늙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청춘 시절에 일도 열심히 하고 놀기도 열심히 놀고 후회 없이 보내야 할 것이다. 며칠이 지나자 이제 연분홍 진달래꽃은 지고, 노란 개나리 꽃잎도 져 울타리 아래에 어지러이 흩어져 있다. 새색시처럼 화사하던 목련은 커다란 꽃잎이 뚝뚝 떨어져서 목련나무 그늘에는 시들고 변색한 꽃잎이 수북하였다. 목련은 피어 있을 때는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2025년 2월 3일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에서 3개 시민 단체가 2024년 낙동강 녹조독소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발표 내용은 필자에게 충격적이었는데, 탄핵 재판에 온 국민의 관심이 쏠려 있어서 그런지 일부 언론에서만 보도해서 대부분의 국민은 내용을 모르고 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낙동강 주변 2km 이내 조사 대상자 97명 가운데 거의 절반인 46명의 콧속에서 녹조독소가 검출되었다. 낙동강 녹조에서 발현된 녹조독소가 알갱이(에어로졸)로 되어 공기 중에 날려서 낙동강 주민 콧속에서 검출되었다.”라는 것이다. 환경운동연합 강찬수 공동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녹조독소 문제는 이제 더 이상 수질 문제가 아니라 거대한 환경보건 문제가 되었다. 가습기 살균제처럼 환경보건 문제로 확대가 된 것 같다.” 많은 국민이 기억하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2006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 종합 보고서>(2022)에 따르면 가습기 살균제 사용 인구 규모는 약 627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이 가운데서 건강에 이상이 온 피해자는 약 67만 명, 사망자는 약 1만 4,000명~3만 명으로 추산되었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조금 후 주방 문이 열리더니 젊은 여자가 세 남자가 앉아 있는 식탁 쪽으로 걸어왔다. 여자로서 큰 키는 아니었고, 높은 굽의 구두를 신었다. 엉덩이가 꽉 조이는 흰바지를 말쑥하게 다려 입고, 화려한 색깔의 블라우스를 걸쳤다. 얼굴은 동글동글 귀여운 인상을 주는 그런 모습이었는데, 눈이 특히 해맑았다. 머리는 약간 짧게 생머리 비슷하게 단장을 하였다. 그녀는 상냥하게 미소 지으면서 사뿐사뿐 걸어왔다. 세 남자는 눈앞에 나타난 낙안미인의 아름다운 자태에 놀란 듯 쳐다보기만 했다. 미스 K가 먼저 “안녕하세요?”라고 은쟁반에 옥 굴러가는 맑은 목소리로 인사를 한다. 그녀는 식탁 옆에 서서 세 남자를 똑바로 바라보면서 말을 걸었다. “교수님들이세요?” “아니, 어떻게 알았어요?” “보면 알죠. 교수님은 척 보면 느낌이 와요. 그리고 저희 식당에는 S대 교수님들이 많이 오시죠.” “어디 가서 거짓말은 못 하겠네. 언제 개업하셨어요?” “한 3주일 되죠. 그동안에 한 번도 안 오셨어요?” “주인장이 미인이라는 소문을 듣고, 사실인지 확인하러 왔습니다.” 누가 이 여자를 40대라고 볼까? K 교수의 무딘 눈에는 20대 후반으로 보였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남자들끼리 하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남자는 나이가 들면서 양기가 점점 위로 올라온다고 한다. 젊어서는 몸의 중심부에 양기가 충만해 있다가 나이가 들면 입으로 올라온다고 한다. 그래서 온갖 여자 이야기를 말로는 잘해도 막상 실천하라고 하면 뒤로 뺀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더 나이가 들면 양기가 눈으로 올라와서 예쁜 여자를 눈으로만 보고 싶어 할 뿐, 막상 만나면 말도 못 붙인다고. 그러다가 더 늙으면 양기가 머리로 올라와서, 예쁜 여자를 생각으로만 좋아할 뿐이라는 것이다. K 교수도 이제는 지천명의 나이를 바라보고 있었는데, 아마도 양기가 입에서 눈으로 올라가는 단계인가 보다. 예전에는 여자 이야기라면 누구에게라도 지지 않고 집중하였는데, 이제는 말보다는 그저 눈으로만 여자 보기를 좋아하는 단계에 들어선 것 같다. 어느 날 점심식사 뒤 학과 회의가 열렸다. 학과 회의는 1주일에 한 번 수요일에 열린다. 학과 회의에서는 별로 중요한 내용은 없지만 학과 교수들이 모여서 이런저런 정보도 교환하고 교무회의의 전달사항도 듣는 회의였다. 회의가 대충 끝나고 커피 마시면서 식당 여주인 이야기가 다시 나왔는데, 다른 교수들도 비슷한 소문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이 소설은 제가 수원대를 정년 퇴임하기 직전인 2015년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5달 동안 <수원대 교수협의회 카페>에 발표했던 장편소설(모두 73회)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소설이란 작가의 경험을 재료로 하여 예쁘게 색칠하고 상상의 날개를 달아 재미있게 부풀린 이야기입니다. 시계를 27년 전으로 돌려서, 1998년에 저는 수원대 후문 근처인 화성군 봉담면 수기리 호수마을에 있는 전원주택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오래 근무한 수원대 교수님들은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해 봄에 학교에는 이상한 소문이 돌았고, 그 후 6달 동안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일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저는 그때 일어난 사건들을 수첩에 메모해 두었습니다. 지금부터 27년 전 수첩에 메모한 내용을 토대로 10년 전에 발표한 소설을 2025년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우리문화신문에 장편소설로 연재하려고 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씩 글을 올리겠습니다. 실화 같은 소설, 소설 같은 실화라는 말이 있지만 소설은 소설입니다.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은 실제 인물과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등장인물에 대해서 더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2011년 10월 30일, 4대강 사업 준공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행사가 경기도 여주시 이포보에서 열렸다. 이명박 대통령은 “안전하고 행복한 강을 국민에게 돌려 드렸다”라고 자축했다. 준공식 이후 1년도 지나지 않은 2012년 7월 낙동강과 금강에서 녹조가 관찰되었다. 특히 낙동강에서 발생한 녹조는 상류 상주보에서 하류 창원 본포교까지 전 구간에 걸쳐 녹조가 발생하여 ‘녹조라떼’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녹조는 수온이 높은 여름만 되면 해마다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다. 녹조에서 발견되는 남세균을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라고 부른다. 남세균이 분비하는 독성물질이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맹독성 물질로서 독약의 대명사인 청산가리보다 100배 이상 독성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인에게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 독소’라고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매우 안정적인 물질로서 물을 100도로 끓여도 사라지지 않고 300도 이상이 되어야 분해된다고 한다. 2021년 부경대 이승준 교수와 창원대 김태형 교수의 공동 연구에서 낙동강 녹조 발생지역의 공기에서 에어로졸(액체 상태의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태양광 발전은 환경을 보호하고 전기 요금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매우 좋은 에너지 공급 방법이다. 태양광 발전은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과 견줘 원료가 공짜고 지구온난화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서 매우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태양광 발전 보급이 유럽 여러 나라에 견줘 매우 낮은 것은 국민의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태양광 발전에서는 해로운 전자파가 나온다, 독성물질이 나온다고 하는 등 과학적으로 근거 없는 이야기들이 보수 논객이나 보수 성향 유튜브에 의하여 퍼졌기 때문이다. 2019년 12월 국립전파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정용 태양광 시설(3kW)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세기는 전자파 기준값 대비 최대 2.8%에 불과해 인체에 해롭다고 말할 수 없다. 농촌 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전자파 자기장 세기는 WHO(세계보건기구) 권고 인체 노출기준의 20% 이내로서 인체에 해롭다고 말할 수 없다. 태양광 패널의 세척제가 독성물질로서 인근 축사나 인체에 해롭다는 이야기 역시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태양광 패널 세척은 빗물로 자연 세척되거나, 지하수나 수돗물을 이용하여 씻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