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아 국민과 함께하는 특별 잔치 ‘당신의 마음을 복원해드립니다’를 10월 30일(목)부터 11월 20일(목)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진행한다. 이번 잔치는 국립중앙박물관 교육플랫폼 모두(MODU)에서 제공하는‘마음 복원소’ 콘텐츠와 용산 개관 20돌을 기려 출시된 박물관 문화상품 뮷즈의 반가사유상 작은 모형(미니어처) ‘마음 시리즈’을 연계해 국민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마음 복원소’는 박물관이 낡고 훼손된 문화유산을 복원하듯, 관람객의 마음을 치유하고 되살린다는 의미로 기획한 디지털 콘텐츠다. 2022년 국립중앙박물관과 대학생이 협업해 제작했으며, 참여자의 감정 상태를 진단해 전시 관람 코스와 소장품을 추천함으로써 관람객이 새로운 시각에서 소장품을 바라보고 마음의 여유를 되찾는 문화치유의 경험을 제공한다. 참여자는 ‘마음 복원소’에서 자신의 마음 상태를 진단받은 뒤, 결과에 따라 추천받은 관람 코스와 소장품을 확인하고 기대평을 댓글로 남기면 된다. 참여자 가운데 추첨을 통해 뽑힌 20명에게는 반가사유상 작은 모형 ‘마음 시리즈’ 가운데 1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10월 28일 용산 이전 20골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한다. 이번 보존과학센터 개관은 1976년 보존기술실로 시작된 국립중앙박물관의 보존 연구가 반세기를 맞이하는 시점에 이루어진 성과로, 그동안 우리 문화유산에 대해 축적된 인문학적 연구와 과학기술을 결합한 문화유산 보존 연구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보존과학센터는 총 연면적 9,196㎡ 규모로, 센터에는 유물 상태를 원격으로 진단하고 전문가가 실시간으로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진단실, 유물의 형태를 3차원으로 분석하는 3D 형상분석실, 재질별 맞춤형 보존처리를 수행하는 보존처리실, CT(컴퓨터 단층 촬영) 등 비파괴 조사 장비를 갖춘 비파괴 조사실, 전자현미경 등 분석 장비를 활용한 분석실, 박물관 환경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환경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존과학 인력의 전문 교육을 위한 교육실과 전문가 회의 및 세미나가 가능한 세미나실까지 포함되어 연구와 교육, 현장 지원을 아우르는 종합 보존과학 허브로 나아갈 예정이다. 개관전시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 열어 보존과학센터 개관을 기려 특별전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수려한 자연경관과 선비문화의 정취가 깃든 「안동 고산정 일원」을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한다. 「안동 고산정 일원」은 퇴계 이황과 금난수 등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교류하며 풍류와 학문을 나눈 장소로, 역사문화적 값어치가 높은 공간으로 평가된다. ‘고산정’은 퇴계 이황의 제자이자 정유재란 당시 안동 의병장으로 활약한 금난수(1530~1604년)가 조영한 정자로, 정자 건립 과정과 주변 경관을 묘사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이황을 비롯한 묵객들의 시문이 《고산제영(孤山題詠)》 등 여러 문헌에 전한다. 청량산 자락을 흐르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물길과 바위, 숲과 고산정이 어우러져 자연과 역사가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 ‘폭군의 셰프’의 촬영지로도 주목받았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오는 10월 28일부터 내년 2월 22일까지 목포해양유물전시관에서 조선통신사선의 재현과정과 21세기 한ㆍ일 바닷길 항로 재현을 집중 조명하는 「잇다, 건너다, 나아가다: 조선통신사선 항해」 특별전을 연다. * 전시기간: ‘25.10.28.(화)~’26.2.22.(일)(매주 월요일은 휴관) * 개막행사: ‘25.10.27.(월), 14:00, 국립해양유산연구소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이번 특별전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에 걸친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 정사기선(正使騎船)’ 재현의 성과를 돌아보고, 한ㆍ일 바닷길 항로 재현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 ‘1부-조선통신사 한일의 바다를 잇다’, ▲ ‘2부-사라진 배, 기록과 손길로 되살리다’, ▲ ‘3부-조선통신사선, 다시 바다를 건너다’의 모두 3부로 구성된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조선통신사 사행 기록과 회화’, ‘마도4호선’ 등의 자료를 토대로 기초설계와 모형제작(축척 1/30) 등의 과정을 거쳐, 과거 운행되었던 조선통신사선 가운데서도 정사(正使, 사신의 우두머리)가 타고 간 ‘정사기선’을 실물 크기로 재현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이해 ’조금 특별한 관람’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을 개최한다. 10월 22일(수)부터 12월 28일(일)까지 상설전시관에서 이루어지는 이 행사는 ‘20점의 유물, 20년의 기억’을 찾아가는 관람 프로그램이다. 용산 개관 이후 20년 동안 박물관의 학술 연구와 전시 기획 등 다양한 활동으로 새로운 값어치를 축적하며 관람객들과 함께 성장해 온 여러 소장품들 가운데 20점을 뽑았다(붙임 1). 상설전시관 곳곳에 전시 중인 이들을 따라가는 여정에는 지난 20여 년 동안 각 유물과 남다른 인연을 맺어 온 박물관 사람 20여 명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여정의 시작은 역사의 길이다. 이곳에는 지난 20년의 여정과 시간의 축적을 형상화한 상징 조형물이 설치되어(붙임 2) 출발을 돕는다. ‘시간의 단위가 켜켜이 쌓이며 특정 시점에서 20이라는 상징이 선명해지는’ 구조의 조형물은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한다‘라는 의미를 시각화하면서 20점의 유물과 이야기의 표제, 전시 위치, 관람 방법 등을 안내한다. 함께 제시한 정보 무늬(QR)로 모바일 누리집(nmk20.com)에 접속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신세계(대표이사 박주형)와 협력하여 11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 동안 우리나라의 명승과 전통조경 등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더욱 깊고 즐겁게 향유할 수 있는 현장 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의 전통적 공간 값어치가 담겨 있는 자연유산(명승ㆍ전통조경)을 알리기 위한 취지로, 기존의 단순한 현장 답사를 넘어 자연유산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체험하고 향유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신세계의 여행프로그램 ‘로컬이 신세계’와 연계하여 진행되며, 오는 10월 27일 사전 모집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예비 교육(오리엔테이션)한 뒤 11월 6일부터 8일까지 2박 3일 동안 운영된다. 참가자들은 전라남도 소재의 명승지 「담양 소쇄원」과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진도 운림산방」을 답사하며 다양한 볼거리와 지역의 먹거리 등을 생생하게 체험하게 된다. 특히, 「담양 소쇄원」에서는 판소리, 가야금병창, 대금산조 연주자들이 참여하는 소공연도 감상할 수 있어, 빼어난 역사ㆍ경관ㆍ학술적 값어치를 보유한 가을 명승지를 배경으로 문화ㆍ자연ㆍ무형적 요소를 풍성하게 즐길 기회가 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하루 2회(낮 11시, 낮 2시) 경복궁(서울 종로구) 흥례문 광장에서 「2025년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 행사를 연다.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은 《경국대전》 「병전」의 ‘첩종’과 《국조오례의》 「군례」의 ‘대열의(大閱儀)’ 기록을 바탕으로 임금이 직접 행차하여 호위군의 진법(陣法)과 연무(鍊武)를 사열(査閱)하는 모습을 극 형식으로 재현하는 행사이다. * 대열의: 군사들의 무예 대결 등이 이루어지는 군사 의례로, 임금이 직접 지휘함. * 진법: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군대를 배치하는 방법 * 연무: 무예 시연 * 사열: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살피는 일 ‘첩종’은 종을 연달아 치는 것으로, 조선시대 임금이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호위군을 직접 살피는 군사 의식이다. ‘첩종’이 시행되면 궁궐에 입직한 군사를 포함하여 문무백관과 오위(五衛)의 병사들까지 모두 집합하여 어전사열(御前査閱)을 받는다. 이는 군율을 다스려 국가의 근본을 유지하고, 임금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의지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맞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사흘 동안, 쪽샘유적발굴관(경북 경주시)에서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실험 설명회」를 연다. 신라 왕족인 어린 여성(공주)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쪽샘 44호분’은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말다래 등 8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이다. * 행사장소: 쪽샘유적발굴관 1층(경주시 태종로 788)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발굴조사와 학제 간 연구를 하여, 무덤 축조의 전 과정과 기술을 밝혀낸 바 있으며, 2024년부터는 10년 동안의 조사ㆍ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시 무덤을 쌓아보는 축조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세계 고고학사적으로도 유일한 실험이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축조실험은 목조구조물을 세운 뒤 무덤 주인공의 시신과 껴묻거리(부장품)을 안치한 2중의 덧널 일부를 만들고, 주변으로 돌을 쌓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무덤을 만드는 21단계 전체 공정 가운데 8단계에 해당한다. 설명회는 APEC 기간에 맞추어 사흘 동안 진행되며, 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소장 임종성)는 오는 11월 5일부터 9일까지 닷새 동안 날마다 2회(아침 10시, 낮 2시)씩 동구릉(경기 구리시)에 있는 건원릉(健元陵) 능침을 특별 개방한다. * 개방시간: (1회차) 10:00∼11:00 / (2회차) 14:00∼15:00 * 능침(陵寢): 왕릉의 주인이 묻혀 있는 곳 건원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 1335~1408년)의 능으로, 조선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봉분이 억새로 덮여 있다. 이는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하였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참가자들은 억새가 가장 아름다운 때를 맞아 특별 개방되는 건원릉 능침에서 태조 이성계에 대한 왕릉 해설사의 이야기를 들으며 깊어가는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이번 특별 개방은 무료(동구릉 입장료 및 주차요금은 별도)로 진행되며, 참가 신청은 10월 23일 아침 10시부터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 통합예약-조선왕릉)을 통해 회당 20명씩 선착순(1인당 최대 4명)으로 가능하며, 당일 현장접수(회당 10명)로도 참가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포항 신생대 두호층 고래화석」과 「포항 신생대 두호층 결핵체」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 두호층(斗湖層, Doho Formation) : 포항 분지에 분포하는 신생대 지층 * 결핵체(結核體, concretion): 퇴적물 입자 사이의 공간에 광물이 침전하여 형성된 단단하고 치밀한 덩어리. 퇴적암 또는 토양에서 주로 발견됨. 「포항 신생대 두호층 고래화석」은 신진기(신생대 제3기) 두호층에서 발견된 고래화석이다. 퇴적암 내에 개체 하나가 온전히 보존된 경우로,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사례다. 해당 고래화석은 2008년 9월 포항시 장량택지개발지구에서 발견된 뒤 발굴되어 현재 국가유산청 천연기념물센터(대전 서구) 수장고에 보관 중이다. 국내 신생대 고래화석 가운데 가장 큰 표본일 뿐 아니라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수염고래아목(Mysticetes) 고래화석으로 값어치가 크다. 「포항 신생대 두호층 결핵체」는 모두 2개의 결핵체로, 2019년 9월 포항시 우현동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견된 뒤 발굴되어 「포항 신생대 두호층 고래화석」과 같이 현재 천연기념물센터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