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0 (토)

  • 맑음동두천 24.0℃
  • 구름많음강릉 22.4℃
  • 구름조금서울 24.7℃
  • 흐림대전 24.1℃
  • 구름많음대구 23.7℃
  • 맑음울산 23.6℃
  • 구름조금광주 24.4℃
  • 구름조금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3.8℃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22.7℃
  • 구름많음보은 22.2℃
  • 구름많음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4.4℃
  • 맑음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2.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전체기사 보기


‘외국어표기법’은 발음표기 이상이어야 한다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5]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한글 외국어표기법은 단순한 발음기호가 아닌 복합적인 언어기술 일부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용 앱이 동시에 개발되어야 합니다. 한어 병음은 하나의 예를 보여 줍니다 영어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면? 영어의 ‘girl 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발음기호가 미국식으로는 [ ɡɚl], 영국식으로는 [ ɡɜːl ]로 표현됩니다. 컴퓨터의 도움으로 소리를 들어보면 둘 다 ‘거얼’로 들립니다. 여기서 생각지도 않았지만 중요한 의문이 생깁니다. 발음기호가 언어의 읽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왜 애초에 소리가 나는 대로 ‘거얼’이라 안 쓰고 [ ɡɚl]이나 [ ɡɜːl ] 등 낯선 글자를 불러드릴까요?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만이라도 처음부터 ‘거얼’로 배웠다면 이런 서양 발음기호는 건너뛰고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다른 언어를 배울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컨대 중국어를 배울 때도 한국사람이라면 당연히 한글로 발음을 적어 배워야겠지요. 여러분은 다른 나라 원어 노래 하나쯤은 아시겠지요? 그 노래 배울 때 아마 가사의 발음기호보다는 한글로 써서 배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원가수의 노래를 들어보고 발음을 좀 고쳤겠지

'외래어표기법’이 아니고 ‘외국어표기법’이다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4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전번 이야기에서 외래어표기법은 애초부터 불필요한 것이었고, 그 대신 언어별로 외국어 표기법을 만들자고 하였습니다. 지금의 외래어표기법에도 영어 표기법, 중국어 표기법 등 외국어 표기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모두가 외래어표기법 테두리 안의 것이라 별 의미가 없습니다. 먼저 외래어표기법에서 벗어나 한글로 영어 표기법을 만들고 이와는 별도로 중국어나 일본어 등 각 언어의 표기법을 따로 만들어 쓰자는 것입니다. 이들이 모두 한글로 되어 있어서 모든 언어의 표기법이 결국 거의 같아 한글은 자연히 세계 언어표기법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언어별 외국어 표기법이 필요한 까닭 우리가 어떤 언어를 배우려면 먼저 그 언어를 읽는 법부터 배웁니다. 예를 들어 영어를 읽으려면 먼저 알파벳과는 다른 ’발음기호‘를 배워서 그 발음기호를 통해 읽게 됩니다. 이 발음기호는 IPA라는 거대한 국제음성기호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한 것인데 글자 모양과 발음이 대개 로마자 알파벳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다른 점도 많아 혼란스럽습니다. 그래서 일부 사전은 아예 발음기호를 안 쓰고 다른 방법으로 발음을 설명합니다. 한글을 가진 우리는 당연히 한글발음기호를 개발하

원래 ‘외래어표기법’은 없다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3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전번 이야기에서 ‘외래어표기법’을 없애고 대신에 언어별로 외국어 표기법을 만들자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외래어라는 것은 외국에서 들어와 우리말이 된 어휘를 말합니다. 어디서 들어왔건 우리말이 된 이상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여 사전에 올려 쓰면 그만입니다. 사투리도 많이 쓰게 되면 표준어가 되어 사전에 올라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번에 ‘대박(daebak)’ 등 26개의 한국 낱말이 ‘옥스퍼드 사전’에 올랐다는 것처럼 말입니다. 결국 ‘외래어표기법’이라는 것은 애초부터 불필요한 것이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의 원조는 일본어 그런데 왜 ‘외래어표기법’이 생겼을까요? 그것은 일본의 통치를 받던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당시 일본은 우리보다 개방이 40년 정도 빨라 서양 문물이 물밀듯이 들어오던 때였지요. 서양의 지명이나 사람의 이름은 물론 일반 낱말들도 많이 들어와 이를 일본 글자로 표기해야 했습니다. 그들은 한자로 번역하여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내는 한편 그들의 고유 문자인 가나로 외국어 어휘의 발음을 따라 표기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문자로는 서양 어휘의 발

한글로 외국어 표기하는 법을 만들어야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2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세계 으뜸 글자의 부끄러운 성적 우리는 한글이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울 뿐 아니라 어떤 언어의 발음이라도 표기할 수 있는 세계 으뜸 글자라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정인지도 훈민정음으로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까지도 표기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한글은 정말 다른 문자들이 따라 올 수 없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세계 으뜸 글자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점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일본사람들과 함께 세계에서 영어를 제일 못하는 민족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이것이 한글의 표기 기능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합니다. 예를 들어 fan을 우리는 ‘팬’이라 하고 일본사람들은 ‘후앙’이라고 하니 외국인들이 알아들을 수가 없습니다. 이런 발음이 몇 개 더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나라 밖에 나가면 입을 열지 못하고 맙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나오고도 미국이나 호주처럼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 살게 될 때 말이 안 통해 노동일이나 말이 별로 필요 없는 서비스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 얼마나 억울한 일입니까? 이를 누구에게 호소해야 합니까? 개인 당사자의 복지 문제를 넘어 국

망국 조선에서 한글을 구해내다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1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더욱 절실해진 한글보급 전번 이야기에서 지석영, 헐버트, 주시경이 지하에 묻혀있던 훈민정음을 살려내기 위해 어떻게 노력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당시는 매우 혼란한 시기였습니다. 1894년 1월 동학 난이 일어나고 이를 진압할 능력이 없던 조정은 청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여 6월에는 청군이, 7월에는 일본군이 우리나라로 진군하여 결국 우리 국토를 놓고 두 나라가 전쟁을 벌였습니다. 이때 명성황후는 러시아 세력을 끌어드리려 하다가 일본 무관에 의해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동학 농민의 세력은 일본군을 당해내지 못하고 진압되었습니다. 1895년 일본이 청일전쟁에서 이겨 조선은 500년 동안 섬겨오던 청나라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일본의 한국 지배가 유력해졌습니다. 이에 고종은 1896년 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러시아 공관으로 피신하여 일본에 대항하려 하였습니다. 한마디로 나라 꼴이 말이 아니었습니다. 1898년 당시 23살이었던 한힌샘 주시경은 망국의 위험을 실감하고 서둘러 국문법을 정리하여 닥치는 대로 보급을 서둘렀던 것입니다. 한글맞춤법의 출현 1905년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까지 물리친 일본은 을사늑약을 맺어 조선의 외교권을

한글과 나라에 모든 삶을 바친 주시경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0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개화기에 들어오면서 선각자들은 구국운동으로 우리글을 살려 발전시키려 하였습니다. 유길준은 1895년 《서유견문》에서 역사상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하여 언문이 일치하는 문장을 써서 세상을 놀라게 했으며 이듬해 서재필은 처음 띄어쓰기까지 하는 순 한글로 된 <독닙신문>을 발간했습니다. 띄어쓰기는 전번 이야기의 헐버트가 자신이 저술한 《사민필지》를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는 띄어쓰기가 필요하다고 여겨 주시경과 상의해 띄어쓰기와 마침표 등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지석영, 이익로, 최남선 등 많은 선각자가 한글발전을 위해 헌신하였지만, 그 가운데 대표로 주시경 선생을 앞세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주시경은 한마디 말로 450년 동안이나 묻히다시피 하여있던 훈민정음을 다시 발굴해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새 생명을 불어넣어 준 사람입니다. 주시경은 1876년 서당 훈장의 아들로 태어나 11살에 사업가 백부의 양자로 가서 글방에 들어가 한학을 공부하였습니다. 16살 때 한문을 국문으로 해석하면서 한국어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껴 18살에 배재학당에 입학해 만국지지 특별과를 거쳐 보통과에 입학해 영어문범을 연구하게

개화기 훈민정음 역사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9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저번 이야기에서 보았듯이 훈민정음은 반포 58년 뒤 연산군 때 (1504년) 지하로 쫓겨 들어가 20 여 년을 지내고서 중종조의 어문학자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한자 학습의 보조역할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훈몽자회는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을 위해 만든 교재였는데 한자의 음과 훈을 언문으로 써 주었던 것이지요. 최세진은 언문을 모르는 사람은 배워서 쓰라고 범례를 만들어 훈민정음을 간략하게 소개했는데 여기서 기역, 니은 등 자모의 이름이 처음으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당시에는 어디에서도 훈민정음을 제대로 가르치는 곳이 없었으므로 이 범례야말로 당시는 물론 이후에도 한 동안 언문 공부의 유일한 교재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언문은 편지나 일기를 쓴다든지 혹은 언문 소설을 읽는다든지 하여 민간사회로 깊숙이 번져나갔으며 궁궐에서도 대비, 중전을 비롯한 내명부에서는 흔히 언문으로 교지를 내렸습니다. 이렇게 언문이 널리 전파됨에 따라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1592년 선조는 언문교지를 써서 길거리에 내붙였습니다. 이후에도 숙종의 계비였으며, 경종의 대비였던 인원왕후는 1726년 언문교지를 내려 영조임금을 즉위시켰고 아버지 김주신과

훈민정음 창제 그 이후의 훈민정음 역사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8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1446년 9월 10일 훈민정음을 반포하자마자 세종대왕은 이를 공식적으로 사용합니다. 10월 10일에는 신하들의 죄목을 직접 언문으로 써서 의금부와 승정원에 보냈으며 다른 궁내 공문을 언문으로 작성하여 훈민정음의 사용을 널리 알렸습니다. 같은 해 12월에는 과거시험에 언문을 포함하도록 하여 훈민정음을 모르면 출세하지 못하도록 못을 박았던 것입니다. 여기서 언문에 대해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언문은 훈민정음을 비하하여 쓰던 말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그냥 편하게 쓰던 이름이었던 것입니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세종은 첫째 아들 문종과 둘째 수양대군, 그리고 정의공주를 훈민정음 창제 과제에 깊이 참여시켜 훈민정음이 자연스럽게 후대로 넘어가도록 포석을 깔아 두었습니다. 창제 후인 1444년에는 신숙주 등에게 운회(韻會)를 언문으로 번역하게 했는데 두 왕자를 감독자로 삼았던 것입니다. 1446년에 세종비 소헌왕후가 죽자 수양에게 《석보상절》을 짓도록 하고 1449년에는 이 책을 바탕으로 손수 500여 수의 노래를 지어 《월인천강지곡》이란 책을 냈습니다. 《석보상절》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뽑아 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