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예술감독 겸 단장 김종덕)은 <거장의 숨결>을 12월 17일(수)부터 18일(목), 12월 20일(토)부터 21일(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한국무용의 기틀을 다진 거장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무대다. 그간 한국춤의 외연을 확장해 온 국립무용단은 이번 무대를 통해 창작자들이 딛고 선 뿌리이자, 한국무용의 근간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국립무용단 역대 단장을 역임한 4명의 안무가 조흥동ㆍ배정혜ㆍ김현자ㆍ국수호의 대표작을 더블빌(Double Bill) 형식으로 재구성해, 오랜 시간 축적된 춤의 깊이와 장인의 숨결이 깃든 한국무용의 정수를 선보인다. <거장의 숨결 I : 배정혜, 국수호>(12월 17~18일)에서는 한국 무용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 두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배정혜 안무 ‘Soul, 해바라기’는 현대(컨템포러리) 한국춤의 새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006년 초연 이후 2010년 독일, 2011년 네덜란드, 벨기에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한 작품이다. 2016년까지 재공연되며 관객과 평단의 끊임없는 호평을 받아 국립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이 ‘밤섬 생태문화 프로젝트’ 기획전시 ‘한강 밤섬 / 관계의 지도’를 열었다. 이번 행사의 개막식에는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을 비롯해 참여 예술가, 밤섬 부군당 보존회 주민, 지역 활동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전시는 오는 11월 25일까지 13일 동안 진행되며, 섬 폭파ㆍ실향ㆍ복원의 역사를 가진 밤섬을 예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도시와 자연의 관계를 다시 묻는 전시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에는 마포공동체라디오의 아카이빙존, 서울대 환경대학원과의 연계 전시존, 그리고 공모와 초청을 통해 11명(팀)의 예술가가 참여했다. 밤섬은 과거 ‘율주(栗洲)’라 불리며 사람이 살던 섬이었다. 그러나 1968년 여의도 개발을 위해 폭파돼 62가구 443명이 하루아침에 실향민이 됐다. 사람 출입이 사라진 뒤 생태계가 스스로 회복됐고, 2012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며 서울 도심 속 생태 보존 핵심지로 자리 잡았다. 이번 전시는 이 같은 역설적 역사, 곧 파괴된 섬이 다시 생명을 품게 된 과정을 예술가들의 작업과 기록을 통해 살펴보며, 관람객에게 ‘우리는 이 섬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은 11월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오는 29일 토요일 아침 10시부터 박물관 로비에서 역사문화 체험과 퀴즈 반치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조선 수군의 돌격선으로 임진왜란 때 해전에서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거북선’과, 앞부분에 폭발장치를 붙인 로켓 추진화살로 조선의 최첨단 과학 기술을 보여주는 무기인 ‘신기전’이 주제다. 행사 당일 박물관을 찾은 어린이, 청소년 등 관람객은 별도 예약 없이 퀴즈에 참여하여 체험 재료 1종(‘거북선’ 또는 ‘신기전’)을 받을 수 있다(200개 선착순 제공). 거북선과 신기전은 국립진주박물관 전시실과 로비에서 관람할 수 있다. 박물관은 지난 3월부터 매 홀수 달에 선사, 고조선, 삼국, 고려시대의 역사문화를 주제로 전시연계 체험 행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이번 11월 조선시대 역사문화 체험을 마지막으로 2025년 문화가 있는 날 행사가 마무리된다. 2026년 문화가 있는 날에는 더욱 흥미롭고 알찬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