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40여 년 전인 80년대로 기억된다. 《단(丹)》이라는 한 권의 책이 온 나라를 발칵 뒤집어 놓은 일이 있었다. 요즘의 한강(韓江) 증후군에는 못 미치겠지만 얼추 그에 버금갈 정도의 법석을 떨었던 것 같다. 처음에는 그저 어느 국수주의 재야사학자가 쓴 그야말로 ‘소설’ 같은 소설이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그렇게 치부하고 넘기기에는 사회적 반향이 대단히 컸다. 대중매체 가운데 가장 전파력이 크다는 텔레비전은 물론이고 라디오, 신문, 잡지 할 것 없이 온통 “단”으로 도배질이 된 것이다. 상황이 그쯤 되다 보니 필자도 가만있을 수 없어 한 권 사들었다. 도가(道家) 용어를 제목으로 한 소설 《단(丹)》은 봉우(鳳宇) 권태훈이 구술한 예언을, 시인이며 소설가인 김정빈이 첨삭 정리하여 펴낸 소설이다. 권태훈은 대종교의 총전교(總典敎)*를 두 번이나 지낸한 인물로 ‘84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때, 원불교에서 주최한 국내 종교지도자들과의 “평화선언 단합대회”에 교황과 함께 초청되기도 하였다. 소설의 주요 내용을 간추려 보면, 소련이 사분오열되고 중국도 양분되며 세계질서는 한국,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새롭게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원주역의 겨울밤은 유난히 차가웠다. 한 편에서 조개탄난로가 타고 있었지만 텅 빈 대합실을 데우기엔 턱없이 모자랐다. 몇 안 되는 승객들은 난로를 껴 안 듯 오골오골 몰려 들었다. 막차가 도착하려면 아직도 한 시간 이상 남아 있었다. 동수는 느닷없이 코끝이 찡해와 천장을 올려다보았다. 페인트가 군데군데 벗겨진 천장엔 거미줄이 잔뜩 쳐진 선풍기만 매달려 있을 뿐 고향하늘은 보이지 않았다. 너른 마당으로 나오니 황소바람이 기어코 난로에 누른 돕바* 틈을 헤집고 들어왔다. 눈에는 다른 때보다 밝게 빛나는 남쪽 하늘의 별빛이 들어왔고 귀에는 멀리서 다가오는 기차 소리가 들어왔다. (저 기차를 타면 고향으로 갈 수 있다.) 할머니 얼굴이 어른거렸다. (그냥 확 가버릴까? 아니지 내가 가버리면 몸져누운 엄마는 어쩌나. 이 막차에서도 공을 치면 열 입이 끼니를 걸러야 한다.) 구렁이 기어 오듯 천천히 플랫폼에 들어온 밤 열차는 알 까듯 승객 몇을 옆구리에서 슬어놓았다. “아저씨 주무시고 가세요. 네?” “예쁜 누나 있어요. 주무시고 가세요.” 동수는 남자 손님이 나올 때마다 쫓아가 옷소매를 붙들고 호객을 했다. 더럽다는 듯 손을 뿌리치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조용필이 새 음반을 낸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스무 번째 노래집이라 한다. 그 소식을 들으니 반갑기는 한데 고개가 갸우뚱해지며 체한 듯 무언가 마음에 걸린다. ‘정규앨범이 스무 장밖에 안 되나?’ 그가 음반 활동한 세월이 오십 년이 넘었다. 외국의 사례에 비추더라도 그 경력에 스무 장의 독집은 결코 많은 게 아니다. 더군다나 그는 경력 가운데 사십 년이 넘는 세월을 “가왕”으로 추존되어 대중가수의 상징이 되었고, 이십여 년 동안은 그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절대적 인기를 누렸기 때문이다. 판꽂이에서 그의 음반들을 꺼내 세어보았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만 해도 스무 장이 넘고, 내가 알고 있는 것까지 보태면 얼추 서른 장은 더 될 것 같은데 말이다. ‘비정규집이 그렇게 많았나?’ 기억을 더듬고 자료들을 꺼내 확인해 보니 정말 그렇다. 알게 모르게 독집이 아니면서 조용필의 이름으로 나온 게 열 장이 넘었다. 설령 독집이라 하더라도 외국곡을 개사하거나 번안한 노래를 섞어서 낸 음반은 정규독집으로 인정하지 않는 기준도 비정규 집 양산의 한 원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 기준 때문에 그의 첫 번째 노래집도 비정규 앨범 판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