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맛에 음기가 들었을까, 양기가 든 맛은?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자] 명리학이 맛을 탐구하는 이유는 맛으로 음식의 음양이나 오행을 구분하여 모자라는 기운은 더하고 남는 기운은 중화하여 병의 치료나 체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음식은 치료약보다 효과가 적지만, 보다 다루기 쉽고 부작용이 덜하다. 때로는 가성비가 높아서 특히 재활이나 회복기의 환자에게는 약보다 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미 각 인간의 오감 중에서 우리를 가장 행복하게 하는 감각은 미각(味覺: 맛에 대한 감각적 인식)이다. 미각의 첫 단계는 음식의 맛 물질이 혀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두의 맛 봉오리(미뢰) 속에 존재하는 미세포를 화학적으로 자극하는 것이다. 따라서 맛 물질은 물에 잘 녹는 성분이라야 한다. 맛 물질이 물에 녹아 전도성 이온이 되고 이것이 미세포로 유입되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한다. 이 에너지는 척수를 거쳐 뇌신경 세포에 전달되고 미각으로 인식 된다. 순수한 맛의 종류 미뢰가 느끼는 순수한 맛은 단맛(감미) 신맛(산미) 짠맛(함미) 쓴맛(고미)로 알려져 왔으나 근자에 감칠맛(umami- 일본어에서 유래)이라는 다섯 번째 맛이 추가 되었다., 음식에는 통상 이 맛들이 혼합되어 있다. 미뢰가 구분하는 맛은
- 안승열 명리학자
- 2024-06-02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