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오래된 일본 과자점 관영당본점(寬永堂本店)은 긴테츠나라역(近鐵奈良驛) 바로 앞에 있다. 이곳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에 생긴 유서 깊은 과자점이다. 전국에 여러 지점이 있는 관영당 과자점은 간판에 창업 시기를 관영(寬永)이라고 써 두었는데 관영(寬永, 칸에이)이란 일본의 연호로 1624년에서 1645년 기간을 말하며 에도시대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과자점 안을 기웃거리자 단정한 옷을 입은 종업원이 상냥한 인사를 건넨다. 보기에도 군침이 도는 노릇노릇하게 구운 도라야키(どら燒き)가 눈과 코를 자극한다. 도라야키는 밀가루, 달걀, 설탕을 넣어 반죽을 한 뒤 둥글납작하게 구워 두 쪽을 맞붙인 사이에 팥소를 넣은 일본과자를 말한다. 이 도라야키를 오사카와 나라(奈良)지방에서는 미카사(三笠)라고도 한다. 미카사란 과자 모양이 나라현의 미카사산(三笠山)과 닮은 데서 그렇게 부른다. 서양 과자점을 양과자(洋菓子)라고 한다면 일본 과자는 화과자(和菓子)이다. 그러고 보면 일본에는 관영당 같은 화과자점이 많다. 이곳에서는 카스텔라나 케이크 같은 양과자는 팔지 않고 대대로 화과자점 만의 독특한 전통 과자를 판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딸 가진 엄마들의 소원은 무엇일까? 전통사회에서는 곱게 키워 출가 시키는 것이겠지만 현대 사회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한 만큼 딸에게 거는 기대와 소원도 다를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어도 변치 않는 것은 딸아이의 건강과 올바른 성장'임은 틀림없다. 일본에서는 딸아이가 태어나면 할머니들이 건강하고 예쁘게 크라는 뜻에서 히나 인형을 선물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부터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이 풍습을 히나마츠리(ひな祭り) 라고 한다. 히나마츠리는 혹시 모를 미래에 딸에게 닥칠 나쁜 액운을 덜기 위해 시작한 인형 장식 풍습인데 이때 쓰는 인형이 히나인형(ひな人形)이다. 히나마츠리를 다른 말로 모모노셋쿠(桃の節句) 곧 복숭아꽃 잔치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복숭아꽃이 필 무렵의 행사를 뜻하는 것으로 예전에는 히나마츠리를 음력 3월 3일에 치렀다. 히나인형은 원래 3월 3일 이전에 집안에 장식해 두었다가 3월 3일을 넘기지 않고 치우는 게 보통이다. 3월 3일이 지나서 인형을 치우면 딸이 시집을 늦게 간다는 말도 있어서 그런지 인형 장식은 이 날을 넘기지 않고 상자에 잘 포장했다가 이듬해 꺼내서 장식하는 집도 꽤 있다. 그러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 사회도 나이가 들고 병이 생기면 아들딸과 함께 살기 보다는 노인요양 시설로 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물론 여기에도 돈의 힘이 작용하게 마련이라 좀 더 안락하고 쾌적한 시설로 들어가려면 든든한 노후 자금이 필요하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꽤나 값나가는 시설에 들어갔다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느냐하면 그렇지도 못하다는 게 문제다. 2월 16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도쿄 인근 가와사키시 사이와쿠(川崎市幸)에 있는 고급 유료 노인홈 S 아뮤 가와사키 사이와이쵸에서 잇단 노인 추락사를 일으킨 사람이 직원이었음이 밝혀지면서 일본 사회를 발칵 뒤집어놓고 있다. ▲ 일본의 한 요양원 직원, 입원한 노인을 추락사시키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이름하여 입소자 연속 추락 살해 사건을 일으킨 사람은 다름 아닌 이곳에 근무했던 젊은 남자 직원으로 그는 새벽 시간을 틈타 베란다에 나와 있는 노인들을 밀어서 추락사 시켰던 것이다. 범인은 태연하게 추락사한 노인을 처음 발견한양 쇼를 부렸지만 결국 철창신세를 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범인은 노인학대도 서슴지 않았는데 비상시 누르게 되어 있는 빨간 버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19년 3ㆍ1만세운동을 이야기하기 전에 우리는 반드시 2ㆍ8동경독립선언을 이야기 한다. 엊그제 설날이 바로 97년 전 동경 YMCA에서 유학생들이 나라의 독립을 찾기 위해 목숨을 걸고 적국 일본에서 만세운동을 펼친 날이지만 그만 설날에 묻혀버려 아무도 이 날을 기억하지 않아 씁쓸했다. 1919년 2월 8일 오후 2시, 조선유학생들은 유학생 학우회 총회를 한다는 명목으로 4백여 명의 학생들이 재일본도쿄조선YMCA (현재의 재일본한국YMCA) 강당에 모였다. 동경 경시청에서도 이미 눈치를 채고 오전부터 수십 명의 정사복 경찰을 파견하여 삼엄한 감시를 했다. 그런 가운데 식은 진행되어 회장인 백남규의 개회선언, 최팔용의 조선청년 독립단의 발족 동의, 백관수의 독립선언서 낭독, 김도연의 결의문 낭독에 이어 서 춘이 연설하려 하자, 일본 경찰이 무력으로 개입하여 학생 대표들을 모조리 검거하였다. 송계백 선생도 이날 함께한 유학생이었다. 선생은 평안남도 평원(平原) 사람으로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 재학 중, 2ㆍ8 독립선언에 참가한 11명 대표 가운데 한 분이다. 선생을 포함한 재일 유학생들은 자나 깨나 조국광복의 꿈을 키워 왔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학을 일본말로는 츠루(tsuru)라고 한다. 이 말은 한국말 두루미(turumi)와 유사한 말로 한국어 어원설이 있다. 한자로는 두 나라가 모두 학(鶴)을 쓰지만 고유어는 각각 츠루와 두르(두루미)로 발음한다. 두루미는 예부터 한일 두 나라 모두 길조(吉鳥)로 여겨왔는데 한국에서는 고려청자를 비롯한 병풍, 흉배, 민화, 촛대, 소반, 그릇, 연하장과 같은 일상용품에 두루미가 새겨져있으며 일본 또한 기모노를 비롯하여 오비(띠), 보자기, 예물 장식, 우표 등 자질구레한 일상용품에 이르기까지 두루미가 쓰인다. ▲ 국보 제68호 청자상감운학매병, 간송미술관 인천의 문학산, 청학, 송학, 임학, 학익처럼 두루미 학(鶴)자가 붙은 땅이름이 많이 있듯이 일본에도 두루미 학자가 들어가는 땅이름도 많고 가고시마현(鹿島)에는 철도역 이름에 츠루마루(鶴丸) 역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름에도 학(鶴)자는 많이 쓰이는데 역사인물로는 풍신수길의 장남이 츠루마츠(鶴松)라고 일본 위키는 소개하고 있다. 이름에 츠루(鶴)가 들어가기도 하지만 성씨에 츠루(鶴)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츠루마루(鶴丸)씨가 그런 경우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맹추위가 계속 될 때는 뭐니 뭐니 해도 온천만한 것이 없다. 특히 온천 천국인 일본의 겨울은 온천을 제대로 맛볼 수 있는 계절이다. 도쿄 주변의 온천으로 유명한 곳은 하코네를 꼽을 수 있지만 군마현(群馬)의 이카호온천(伊香保溫泉)은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온천지역이다. 도쿄에서 1시간여면 갈 수 있는 군마현에는 27개 시정촌(市町村)에 자그마치 455개의 온천이 있으며 숙박시설을 겸한 온천만도 105개소에 이른다. 이카호온천은 군마현의 중앙부에 솟아있는 하루나 산 북동쪽 기슭, 표고 720~820 미터의 고지대에 계단 모양으로 발달한 온천이다. 주로 황산염천, 탄산광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목욕 타올이 빨갛게 물들 정도다. ▲ 이카호온천의 명물 미즈시와우동 노천온천(로텐부로) 머리 위에서는 흰 눈이 펄펄 내리지만 온천물에 몸을 담그고 있으면 춥다는 생각은 그다지 들지 않는다. 뭐라 할까? 정신은 맑고 몸은 따뜻한 느낌이랄까? 온천을 하고 나와 군마의 명물을 먹어보는 것도 온천욕의 재미 가운데 하나다. 대부분 온천 주변은 먹거리가 풍부하지만 이카호온천 지역은 먹거리도 타 지역 못지않게 많은 편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홋카이도(北海道)라고 하면 눈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그 만큼 겨울이 아름다운 곳이 홋카이도다. 이곳은 2년 전부터 한국의 저가 항공이 취항하게 되어 항공료가 예전보다 훨씬 싸진데다가 여행사들이 계절별로 다양한 여행상품을 개발하여 요 몇 년 새로 홋카이도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특히 겨울엔 삿포로 눈축제(유키마츠리)로 일본은 물론 전 세계 사람들로 삿포로는 들썩인다. 삿포로 눈축제는 지금으로 부터 67년 전인 1950년 삿포로 중고등학생이 6개의 눈조각을 오도리공원에 만들기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때 학생들 중심으로 눈싸움, 눈조각전, 축제 등의 행사가 열렸는데 당시 5 만여 명이 찾아와서 깊은 관심을 보였고 이후 눈축제는 삿포로의 겨울 행사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눈축제의 백미는 뭐니 뭐니 해도 눈 조각상이다. 눈축제가 열리는 삿포로 중심가 오도리 공원에는 전년도 가을부터 눈 조각상을 만들기 위한 대규모 준비에 들어가는데 여기에는 육상자위대 병력도 참가하여 눈 조각상을 위한 작업시설 설치 등을 돕는다. ▲ 2016년 삿포로 눈축제 포스터 1953년에는 높이 15미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책을 사는 데는 돈을 아끼지 마라 / 하나의 주제에 대해 책 한권으로 다 알려하지 말고 반드시 비슷한 관련서를 몇 권이든 찾아 읽어라 / 책 선택에 대한 실패를 두려워 마라 / 책을 읽는 도중 메모하지 마라 / 남의 의견이나 안내 같은 것에 현혹되지 마라 / 책을 읽을 때는 끊임없이 의심하라 /자기 수준에 맞지 않는 책은 무리해서 읽지 마라 / 읽다가 중단하기로 한 책이라도 일단 마지막 쪽까지 한 장 한 장 넘겨보아라 / 속독법을 몸에 익혀라 이는 일본 지식인의 거장이라는 다치바나 다카시(立花 隆, 1940~)의 독서법 가운데 일부이다. 다치바나는 어릴 때부터 책벌레로 학교 도서관 책을 다 읽어 버린 뒤에는 시립도서관과 현립도서관에서 문학 서적 대부분을 읽었다고 한다. 대학에 입학해서는 고서점 안내지도를 들고 다니며 고서점가를 이 잡듯이 뒤져 싼 책을 사 모으며 독서를 이어 간 것으로 유명하다. ▲ 책과 자료 속에 둘러싸여 대담을 하는 다치바나, 유투부 갈무리 지금까지 80권의 책을 쓴 그는 1권의 책을 쓰는데 적어도 100권의 책을 읽고 정보를 수집해야한다고 했다. 그의 책은 《나는 이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김달수 선생(1919-1997)이라고 하면 나는 왠지 모를 그리움을 갖고 있다. 선생을 만난 것은 책을 통해서였지만 왜 진작에 살아 계실 때 찾아뵙지 못했나 하는 후회도 든다. 선생은 장장 21년 동안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며 그곳에 남아있는 조선과 관련된 유적지를 생생하게 답사 형식으로 글을 써서 일본인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선생이 발로 뛰어 현장을 확인하고 쓴 《일본 속의 조선 문화(日本の中の朝鮮文化)》라는 책은 일본어로 쓰여졌다. 이 책은 모두 12권으로 1970년에 시작되어 1991년 12권으로 마무리 되었다. 그는 12권째 머리말에서 이렇게 장기간에 걸쳐 이 책을 쓰게 되리라고는 생각 못했다고 했다. 하지만 21년 동안 일본 땅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고대 한국의 문화 유적지를 찾아다닐 수 있었던 것은 남다른 '한국 고대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본다. 김달수 선생은 일본의 황국사관에 대해 매우 우려를 했다. 그는 《일본 속의 조선 문화》를 쓰면서 숱한 독자들로부터 편지를 받았다고 했다. 오사카에 사는 한 독자는 일본의 역사는 다시 써야한다.고 했으며 선생의 일본 속의 조선 문화 유적지 글을 본 독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삼정사의 만종이라 알려진 오오츠시 삼정사(三井寺, 미이데라)에서 지난 28일 범종 청소 스스하라이(煤拂い)를 했다. 승려들은 1년간 쌓인 먼지를 정성껏 털어내고 제야의 종을 치기 위한 준비를 했다. 일본의 3대 명종의 하나인 이 범종은 높이 208센티, 직경 124센티, 무게 2.2톤으로 1602년에 주조되었으며 시가현(滋賀縣)의 지정문화재다. 승려인 니시노보우신유(西坊信祐, 37살)씨는 참배자가 내년에도 건강하게 평화로운 한 해가 되도록 기원을 담아 종을 깨끗이 청소했다.라고 말했다.며 29일 교토신문이 보도했다. 절에서 뿐만이 아니라 신사(神社)에서도 스스하라이를 실시하는데 아오모리현의 이와키야마신사 (岩木山神社)에서도 길이 4~5미터짜리 장대비로 신사 안 구석구석에 쌓인 먼지를 털어냈다는 기사가 보이는 등 전국 각 곳의 절과 신사에서 묵은 때와 먼지를 털어내는 스스하라이 의식에 관한 보도가 넘쳐난다. ▲ 사가현 삼정사(三井寺)에서 스님들이 범종의 먼지를 털어내고 있다. 일본의 풍습 가운데 스스하라이(煤拂い)라는 것이 있는데 우리말로는 청소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여기서 스스(煤)란 검댕이나 그을음을 뜻하는 것이고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