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감리교 목사이자 민족운동가인 동오 신홍식 (申洪植, 1872. 3. 1 ~ 1939. 3. 18) 선생은 한국기독교사는 물론 민족운동사에서도 눈여겨볼 만한 인물이다. 기독교인으로서 민족운동을 벌인 이들이 적지 않았으나 부흥사 출신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가 3.1운동 당시 기독교 대표 16인 중의 1인으로 선정되어 감리교를 대표하여 민족대표 33인의 명단에 서명하여 일본제국주의에 저항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신홍식 선생은 1872년 3월 1일 충청북도 청주군 문의면 문산리에서 부친 신기우(申驥雨)씨와 모친 최살랍(崔撒拉)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회고에 따르면, 양반가문에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사람들로부터 신동 또는 천재라는 칭찬을 들을 정도로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다고 한다. 13세 때 시율(詩律)을 지었으며, 16세 때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독파할 정도로 한문수학에 남다른 탁월성을 드러냈다. 그는 1887년에 부친이 별세하며 가정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이 가운데서 1891년에 결혼하여 분가한 신홍식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어머니를 모시며 25세 때까지 당시 전통적인 유교사회에서 사회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운강 할아버님! 저는 할아버님이 목숨으로 지켜낸 이 땅에서 시인으로 살고 있는 증손녀 순희 입니다. 다른 집안 같으면 증조부를 그냥 증조할아버님이라고 부르지만 가문에서는 제가 태어날 때 이미 아호 그대로 운강 할아버님이라고 불렀습니다. 어른들께 여쭤보지 않았지만 거기에는 우리 할아버님이 의병장, 그것도 전국 의병들의 수장이셨다는 가슴 벅찬 자긍심을 담았던 것입니다. ▲ 운강 이강년 의병장 어린 시절, 고향집에는 할아버님 초상이 걸려 있었습니다. 지금 운강기념관에 있는 무관대례복을 입고 형형한 눈빛으로 바라보시는, 풍채가 크고 잘 생긴 영정 그 모습 말입니다. 저는 오빠들과 함께 할아버님의 초상을 올려다보며 옷깃을 여몄습니다. 아버지께서 크지 않은 목소리로 할아버님의 생애를 말씀하셨습니다. 운강 할아버님은 스물세 살에 무과에 급제, 정3품인 선전관까지 지내시고 갑신정변 때 낙향하셨다.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두 차례 의병을 일으키셨다. 첫 번은 1896년 국가 자존과 민족자존을 지키려고 일어서셨고, 제천의 의암 유인석 의병진과 합류해 세력을 확장한 뒤 수많은 전투를 치르셨다. 그리고 만주로도 가서 투쟁하셨다. 둘쨋 번은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이승희(李承熙, 1847. 2. 19 ~ 1916. 2. 27) 선생은 1847년(헌종 13) 2월 19일(음) 경상도 성주 대포리(지금의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 1동)에서 아버지 이진상(李震相)과 어머니 흥양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5살 때부터 아버지 이진상의 가르침을 받아 이후 가학(家學)을 이어 큰 학자가 되었다. 당시 세상 사람들은 이진상과 이승희 부자의 학문적 계승 관계를 중국 송나라 때의 큰 학자인 채원정(蔡元定)과 채침(蔡沈) 부자의 관계에 견주어 서산씨부자(西山氏父子)라고 말하였다. 선생은1867년 21세 때 흥선대원군에게 성학(聖學),호적(戶籍),전제(田制),선거(選擧),제병(制兵) 등 폐정개혁을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 개항 이후 1880년대 초에 개화정책의 흐름이 확산되면서 척사파와의 갈등은 고조에 달하였다. 1880년 말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러시아를 막기 위해서는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을 해야 한다는 조선의 외교방략을 담은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일본에서 가지고 와 고종에게 바치자, 이듬해 1월 이만손(李晩孫)을 중심으로 영남유생 만여 명은 연명으로 만인소를 올리기 위해 상주의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무역회사인 이륭양행을 통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조지우리스. 쇼(george lewis shaw, 1880. 1. 25. - 1943. 11. 13., 건국훈장 독립장 1963 )는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조지 루이스. 쇼는 아일랜드계 영국인으로 중국 안동현(오늘날 단둥시)에서 무역 및 선박회사인 이륭양행(怡隆洋行)을 운영하면서 한국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그는 이륭양행 2층에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사무국을 설치토록 해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토록 하였다. 자신의 선박을 이용해 임시정부 요인들을 수송하였으며, 무기, 출판물 등을 안전하게 수송해 주었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 조달한 독립운동 자금을 자신이 발행하는 수표로 임시정부에 안전하게 송금해 주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중요 문서와 물자를 이륭양행 명의의 사서함을 통해 수령케 함으로써 안전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도왔다. 1920년 7월 일제에 의해 내란죄로 기소되어 4개월간 옥고를 치른 뒤 보석으로 석방된 뒤에도 변함없이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 조선의 독립자금을 돕던 단둥의 이륭양행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늦은 밤 평범한 대학생이 지친 어깨를 이끌고 이곳저곳 골목길을 헤매입니다. 각박해져만 가는 세상에서 마음 한켠이 무거워 진채 어떻게 이 마음을 짊어지고 미래를 설계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앞길은 막막하고 세상은 많은 것들을 원하고 가고자 하는 길은 불투명 합니다. 꿈도 없이 그저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다가 세상의 기류에 휩쓸려 남들이 갔던 길 그렇게 보이는 길만을 좇고 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문득 증조부님이 걸어가신 길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증조부님께서 어떤 분이셨을지 또 어떻게 살아왔는지 알 길이 없는 줄로 알았건만 부족한 제 능력으로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곳에 증조부님의 흔적이 남아있었습니다. 비밀결사인 대동단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을 위해 친인척, 동지들과 군자금 모집활동을 펼치시다가 옥고를 치르셨지요. 구체적인 상황은 옛 동아일보와 독립운동관련 판결문을 토대로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습니다. 그 시절 대부분의 민중들이 서슬퍼런 일제 치하에서 숨죽이면서 하루하루를 겨우겨우 연명하면서 견디어 내고 있을 시기에, 증조부님이 가신 길은 너무나도 좁고 무겁고 죽음을 각오해야만 하는 길이었습니다. 그 가운데서 독립이라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류자명 선생[1894~1985]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의열단 단원, 조선혁명자연맹 대표, 조선민족전선연맹 이사, 조선의용대 지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한, 중국관내지역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지도자 중 한 분이다. 중국대륙에서 활동한 대다수의 독립운동가들이 중국어에 능통하지 못하고, 중국인사회 속의 외국인으로 고립적인 삶을 살아갔던 데 견주어, 류자명은 중국어 회화와 문장에 능숙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친구, 동지들과 친교(親交) 차원 이상의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청싱링(程星齡), 바진(巴金) 등 거물급 인물들의 우정과 신뢰는 류자명이 중국사회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힘이 되어 주었다. 이러한 류자명 선생의 중국사회 적응력은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이다. 무정부주의사상과의 만남, 중국측 인사들과의 교류 및 그들의 활동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자신의 활동공간을 넓혀갔던 사실, 일제 패망 후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자신의 삶의 궤적을 남길 수 있었던 사실 등은, 자신의 앞길에 펼쳐지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며 이를 앞질러 나가려 하기까지 한 그의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세계관의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류자명 선생
[한국문화신문= 이윤옥 기자]손정도(孫貞道, 1882. 7. 26 ~ 1931. 2. 19) 선생은 1882년 7월 26일 평안북도 강서군(江西郡) 증산면(甑山面) 오흥리(吳興里)에서 태어났고, 아호는 해석(海石)이며, 자는 호건(浩乾)이다. 6살이 되는 1888년부터 당시의 관습대로 향리에 있는 사숙(私塾)에서 17살이 될 때까지 한학(漢學)을 수학하면서 성장했다. 1895년 13살이 되자 선생은 같은 동리 박용(朴鏞)씨의 장녀로서 2살 위인 박신일(朴信一)과 결혼하였다. 1902년(23세) 선생은 관리가 될 생각으로 평양으로 떠났는데, 가는 도중 날이 저물자 하루 저녁을 우연히 조 목사 집에서 유숙하게 되었다. 그날 밤 조 목사로부터 새로운 학문과 세상 돌아가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기독교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 손정도 선생 1907년에 숭실중학교를 졸업한 선생은 이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곧바로 숭실전문학교에 입학하여 3학년까지 다니다가 휴학하고, 평양 남산현(南山峴)교회의 부목사를 맡았다. 그러면서 이승훈이 세운 영창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이후 북만주 지역의 선교를 명 받은 선생은 먼저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완수하기 위해서 중국어를 배우고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이정(而丁) 선생께. 먼저 후학인 제가 아호(雅號)로 부름을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이정 박헌영 ▲ 이정 박헌영 제가 예산(禮山)에 올 때 떠올린 두 인물이 있습니다. 추사(秋史)와 매헌(梅軒). 한 분은 문화사적으로 또 다른 한 분은 한국독립운동사에 불멸(不滅)의 자취를 남긴 거인들이시죠. 그 땅에 선생도 계신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의외였습니다. 얼마 전, 선생이 나고 자란 신양 옛 집터와 선생이 서당을 떠나 학업에 입문했던 대흥초등학교에 다녀왔습니다. 또한 선생이 어린 시절 소를 데리고 나가 놀던 신양천의 모습도 보고 왔고요. 흉악한 괴수(魁首)가 아닌 객관적 인물로서 처음 선생을 대할 수 있게 된 것은 대학에 들어와서 입니다. 지도교수께선 자신의 어린 시절 기억 속 선생은 민족의 위대한 독립투사였다고 하시더군요. 물론 선생에 대한 평가가 그 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저와 함께 얘기를 나누던 친구에게선 이런 얘기도 나왔으니까요. 박헌영(朴憲永)의 신화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가 미제의 간첩이었다는 사실이다. 북한에서 그런 평가를 받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남쪽에서도 그런 얘기가 나온다니 참으로 기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조신성 선생은 1873년 평북 의주에서 약 60리 떨어진 비현역 근처에서 출생했다. 선생이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아버지는 집을 나간 버린 상태였으며, 어머니는 선생이 9세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다. 고아가 된 선생은 고모와 함께 살다가 16세에 결혼을 했다. 그러나 남편은 가산을 탕진한 후 아편을 먹고 자살해 버렸다. 어린 시절과 결혼생활이 모두 불우했던 선생은 이에 낙담하지 않고 새로운 인생의 길을 찾았다. 곧 기독교를 받아들이면서 근대적인 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배움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24세 되던 해 이화학당과 상동 소재 교원양성소를 졸업한 후 상동 소재 소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28세 되던 해에는 이화학당 사감으로 재직하였다. 이 때 이준과 함께 한국 최초의 조선부인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그 후 그는 도일하여 일본 간다(神田) 성경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귀국 후 부산규범여중학교, 평양진명여학교에서 교육사업을 하였다. ▲ 조신성 선생 1919년 3.1운동 이후 선생은 맹산독립단을 주도적으로 조직하여 항일무장투쟁과 군자금 모집을 위해 활동하였다. 1920년 8월 독립단 활동을 하는 도중 독립단원들
[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이위종(李瑋鍾, 1887~?) 선생은 188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全州), 부친은 이범진(範晉)이다. 이범진은 농상공부대신, 법부대신, 주미공사, 주러공사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할아버지 이경하(李景夏)는 대원군 집권 당시에 낙동염라(駱洞閻羅)라고 불릴 정도로 사람들이 두려워하던 포도대장이었다. 쇄국정책의 일환으로 대원군이 천주교도들을 탄압하자 이경하는 정부의 명을 받아 이를 집행하였다. 이위종의 부친과 조부는 국정의 요직에 있었던 인물들이었다. 이범진은 갑신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과는 성향이 달라, 매우 반일적인 인물이었다. 한 때 일본 언론에서는 이범진을 친러파라고 비방하는 기사와 함께 팔방추부(八方醜夫, 여러 모로 추한 남자)라고 조롱한 만화까지 나온 적이 있다. 일본이 볼 때 이범진은 조선 내 제1의 기피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범진은 당시 러시아 사정에 가장 정통한 인물이었다. 그는 을미사변 직후 경복궁에 감금된 처지이던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파천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요컨대 아관파천의 국내 주역이었다. ▲ 헤이그밀사로 파견된 이위종 선생 이위종은 헤이그 평화회의 특사로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