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이한꽃 기자] ▲ 1958.5.9 동아일보 초등학교에서 다음 달부터 한자교육을 강화한다고 한다. 위 기사에서 보듯이 통곡, 한국, 노천, 잔인, 실신, 총... 같은 말을 예전에는 몽땅 한자로 썼다. 도저히 한자화 할 수 없는 말들만 남기고 이런 식의 표기를 하던 신문들이 이제 겨우 한글화 한지 몇 십 년이 안 된다. 한자교육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풍부한 어휘와 낱말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라고 하지만 통곡, 한국, 노천, 잔인, 실신, 총...같은 말들을 한글로 썼다해서 이해 못할 한국인은 없다고 본다. 어린 초등학생에게 조차 한자를 익히게 하는데 쏟을 예산과 정력이 있으면 택배(타쿠하이,宅配), 추월(오이코시,追越), 물류(부츠류,物流), 달인(다츠진,達人) 같은 일본한자말을 버리고 우리 토박이말로 바꾸는 데 썼으면 한다. 한중일이 한자 문화권이라고는 하지만 이미 중국과 일본은 획수가 많고 복잡한 한자는 모두 집어던지고 나름의 약자체를 만들어 쓴지 오래다. 따라서 이웃나라와 소통을 위한 작업도 아닌 단순한 풍부한 어휘력 때문이라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며 스스로의 언어생활을 비하 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린시절 많은 시간 한자교육을 받았다. 그때
[그린경제=최미현 기자] 세종은 위대한 르네상스를 이루어냈다. 세종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는 세계에 당당한 것이다. 하지만, 정조시대 조선의 개혁과 실학을 이끈 정약용, 박제가, 박지원 등의 실학자들은 온몸으로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를 거부했다. 왜 그랬을까. 그들의 개혁 정신이 위대하기에 더욱 안타까운 이런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다보아야 하는가? 그냥 시대적 한계로 치부해야 하는가? 정조 시대의 개혁이 제대로 이어지지 못했기에 더욱 안타까운 역사이다. ▲ 조선에 위대한 르네상스를 이루어낸 세종과 그 르네상스를 온몸으로 거부햇다는 다산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은 오는 6월 28일(금) 저녁 7시 30분 세종대 겸임교수이며,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사≫ 지은이 김슬옹 교수를 초대해 왜 정약용은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를 온몸으로 거부했을까, 세종의 한글 르네상스의 실체와 실학자들의 안타까운 한계라는 주제로 6월 알음알음 강좌를 한다. 장소는 시민공간 활짝(약도 참조)이며, 수강료는 1만원이지만, 대학생은 무료이다. 강신청은 https://docs.google.com/forms/d/1mebA9sRcNCw7-obWuHt3x6vaJ1WHC68oZg3vySkLvHs
[그린경제=윤지영 기자] 갈라쇼, 레시피, 마일리지, 벤치마킹, 터프가이, 러브샷, 치어리더, 트라우마, 팔로우, 하이파이브, 핫이슈, 슬로푸드, 언론플레이 ,헐리우드액션, 웰빙, 힐링... 자고나면 쏟아져 들어오는 외래어가 눈이 휘둥그레질 지경이다. 물론 이러한 영어권 말만 들어오는 게 아니다. 땡깡, 쓰나미, 대합실, 추월, 대절버스, 달인, 택배, 물류 등 치욕의 역사를 겪었던 일제강점기 말도 꾸준히들여다 예사로쓰고 있다. ▲ 토박이말 배움터라고 쓴금곡초등학교 소식지를 보면 이 학교가 토박이말 사랑에 흠뻑 빠져있음을 느낀다. 아아, 가갸날, 참되고 어질고 아름다와요, 축일(祝日), 제일(第一), 데이, 시즌, 이 위에 가갸날이 났어요, 가갸날, 끝없이 바다에 쑥 솟아오르는 해처럼, 힘있고 빛나고 뚜렷한 가갸날 (중략) 검이여 우리는 서슴지 않고 소리쳐 가갸날을 사랑하겠습니다, 검이여 가갸날로 검의 가장 놓은 날을 삼아주세요, 온 누리의 모든 사람으로 가갸날을 노래하여 주세요, 가갸날, 오오 가갸날이여! -동아일보 (1926.12.7)- 위는 만해 한용운 시인이 쓴 가갸날이다. 그가 우리 말 속에 향기로운 목숨이 살아 움직인다는 철학으로 서슬 퍼런
[그린경제=김리박 시조시인] 마파람 마파람 어디 있고 하늬 또한 어디냐 오르고 올라서 단 물을 건네 주렴 이겨낸 북녘 겨레들 춤추는 날 언제뇨 ▲ 무대(해류)처럼 서로 흘러가면서 살면 얼마나 좋을까?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 마파람 : 남쪽 바람 * 하늬 : 서쪽 바람, 서북바람 * 단 물: 감로 두말 할 것 없지만 북녘에서 태어나고 사는 사람도 우리 한 겨레이며 한겨레다. 그러니 그들이 여러 상황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굶주리고 추위와 더위에 시달리고 있으면 따뜻한 손길을 내주고 도와주어야 한다. 그것이 한 겨레이며 한겨레이다. ** 김리박 : 대한민국 한글학회 일본 간사이지회 회장 재 일본한국문인협회 회장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선정 ‘한국어·어문 지킴이 (황금상)’ 2006년 일본 히라가타시 교육위원회 조선어강좌 특별강사 일본용곡대학(龍谷大學) 한국어강좌 강사 일본관서대학(關西大學)비교지역문화강좌 강사 누리편지 ribak@hera.eonet.ne.jp 손말틀 (일본) 090-8147-7689
[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한글은 세계 최고의 글자라 한다. 그런데 세계 최고라는 사실을 학문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대체로 국어학에 머물고 있다. 슬기정보(컴퓨터)시대 딱 알맞은 문자인데도 그 논리적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고생하고 있는 처지다. 우선 가온소리 아래아의 처지가 그렇다. 음가는 물론 그 이름조차 아리송하다. 어제(6월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아셈타워에서는 약 110개국에서 5,000여명의 국내외 이비인후과 관련 의료진과 석학들이 참석해 제20차 국제이비인후과연맹세계학술대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Otorhinolaryngological Societies, IFOS)가 열렸다. 그 자리서 발표된 한글 특히 가온소리 관련 발표는 귀가 뻔쩍 뜨일만한 내용이었다. 발표자는 진용옥 경희대 전파공학과 명예교수(전 국어정보학회장, 현 한국 미디아_컨텐츠 학술연합 공동의장)와 이비인후과 전문의 장선호 박사였는데 그 발표의 핵심은 가온소리 3성(ㅏ, ㅡ, ㆍ)으로 전세계 모든 다언어 홀소리를 표기할 수 있으며 천지인 삼성은 각각 성대. 입술. 성대 덮개와 같은 발성 기관을 상형하였다.는 내용이다. ▲ 가온
[그린경제=김리박 시조시인] 볏 모 이어서 달포이니 단 비인지 쓴 비인지 갓 심어진 올벼는 하늘을 뚫듯 서고 넌 드린 여든 여덟은 장마가 벗이라네 ▲ 장마철에도 벼는 잘 자란다. * 넌 : 공, 공로 * 여든 여덟 : 쌀 미(米) 일본 땅의 장마는 좋은 철은 아니다. 요즈음은 돈 주고도 못 보지만 어릴 때는 된장, 간장, 밥 따위에 곰팡이가 자주 돋았다. 그러나 주식으로 먹는 쌀은 장마가 들어야 잘 자라고 잘 자라면 맛 좋고 많은 쌀이 쏟아져 나온다. 그러니 장마를 싫다고 미워하는 것이 아니라 벗으로 삼고 장마 좋아하는 풍류도 맛보는 좋은 때라 하겠다. 재일본 한국문인협회 회장 김리박
[그린경제=김리박 시조시인] 어릴 제 가람 가서 버들가지 꺾어서 버들피리 불어 주면 누나는 빙긋 웃고 하늘아, 너도 좋았지 수릿달 바람이니. ▲ 버들피리 불어주면 누나는 빙긋 웃고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 가람 : 강 * 수릿달 : 단오가 있는 음력 오월 ** 김리박 : 대한민국 한글학회 일본 간사이지회 회장 재 일본한국문인협회 회장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선정 한국어어문 지킴이 (황금상) 2006년 일본 히라가타시 교육위원회 조선어강좌 특별강사 일본용곡대학(龍谷大學) 한국어강좌 강사 일본관서대학(關西大學)비교지역문화강좌 강사 누리편지 ribak@hera.eonet.ne.jp 손말틀 (일본) 090-8147-7689
[그린경제=이종구 기자]우리말은 예부터 된소리ㆍ예사소리, 긴소리ㆍ짧은소리로 발음함으로써 변별력이 생기고, 그 뜻을 달리했습니다. 예를 들면 잠짜리와 잠자리, 인쩍과 인적, 볼꺼리와 볼거리, 한:강과 한강, 사:과와 사과. 그런데 요즘 방송인들은 불뻡[불법]을 불법, 효꽈[효과]를 효과, 금늉[금융]을 그뮹, 마을싸람[마을사람]을 마을:사람, 담배까게[담배가게]를 담배:가게, 행보캄니다[행복합니다]를 행보감니다, '의사'를 '으사', 딸라[달라(dollar)]를 달라 라고 발음하고 있습니다. 그럼 왜 방송인들이 이렇게 발음하게 됐을까요? 그것은 1980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그동안 우리말글살이에서 소외돼 있던 이희승파가 제도권에 들어와서 국어순화라는 명목하에 대통령이 사용하는 말을 표준말로 삼으려고 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전두환 대통령이 본 사건은 불법이므로 엄격하게 조사해서 공권녁을 황니바고라고 했거든요. 그래서 제가 kbs 아나운서실에 전화를 걸어 왜 불법, 사건, 효과라고 발음하느냐고 하니까 소주를 쏘주 또는 쐬주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누구냐 하면 왈패들이다.라고 하더군요. 아니 그렇다면 된소리
[그린경제=김리박 문화전문기자] 뻐꾹새 어디서 들려오나 뻐꾹 소리 반갑네 온 하루 이 나무 저 나무 찾아 앉네 여름아, 바로 오너라 뻐꾹이 길잡이니 ▲ 어디서 들려오나 뻐꾹 소리 반갑네 /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 김리박 : 대한민국 한글학회 일본 간사이지회 회장 재 일본한국문인협회 회장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선정 한국어어문 지킴이 (황금상) 2006년 일본 히라가타시 교육위원회 조선어강좌 특별강사 일본용곡대학(龍谷大學) 한국어강좌 강사 일본관서대학(關西大學)비교지역문화강좌 강사 누리편지 ribak@hera.eonet.ne.jp 손말틀 (일본) 090-8147-7689
[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 2004년 10월 29일자 도깨비뉴스를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요즘 검색 사이트에서 'IT 대왕'을 쳐보면 대다수의 검색사이트에서는 결과물이 수없이 뜨고 있습니다. 언뜻 빌 게이츠 등등 IT 산업과 관련해 '벼락부자'가 된 사람들 또는 세계적인 IT기업 대표자를 지칭하는 말일 듯합니다만, 검색결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 나옵니다. 'IT 대왕'이란 세종대왕입니다 이 글은 세종대왕을 왜 'IT 대왕'이라 불러야 하는지, 한글이 얼마나 인터넷에 적합한 글인지를 설명하는 모 언론인의 글을 퍼 나르면서 한 말이다. 세종대왕이 후손들의 인터넷 사용을 염두에 두고 한글을 만든 것이야 물론 아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우리나라가 IT 강국이 될 수 있었던 데는 한글이 엄청난 이바지를 했다는 것이 고갱이이다. 실제 현대 세계는 IT가 지배를 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런 현대에 한국처럼 작은 나라 그것도 한국전쟁을 치렀으며, 가난했기만 했던 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다가가고, 삼성전자 같은 세계 최고의 IT기업이 나올 정도가 되었으니 이 어찌 대단한 일이 아니랴. 그런데 그 밑바탕을 마련해준 이가 세종임금이라는데 지금 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