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대학로 ‘이음센터 이음홀’에서는 장애해방열사 추모 연극] '란, 태수야!' 공연이 열린다. 이 공연은 모두가 행복하기 위해 열심히 산 소아마비 바이러스 감영자 정태수, 뇌성마비장애인 최옥란의 삶을 무대 위에 올린다. 공부하고 싶었고, 일하고 싶었고, 아들과 함께 살고 싶었고, 사람답게 살고 싶었던 두 분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으로 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함께 공감하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공연을 보러 온 당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 '우리의 행복한 삶'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싶다. 부대에 오르는 출연진은 김영수, 김종환, 김한솔, 박세영, 방선혜, 임일주, 조예현, 한국호며, 공연에 나오는 노래를 악로 연주하는 사람들은 김동재, 송한열, 이란이다. 제작진은 작/연출에 진준엽, 음향에 서영화, 접근성매니저에 김진희, 기획에 김현정, 조명에 한승우, 디자인에 한예인, 무대감독에 하일호, 홍보에 박성호가 함께 한다. 공연의 주최자 창작공동체 ‘무적의무지개’는 다양한 색깔이 어우러져 있는 무지개처럼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하는 무대를 꿈꾼다.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과 협업하면서 소수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한성수 조각가가 저에게 이화규 씨가 쓴 책 《걷는 이의 축복 코리아둘레길》을 보내주셨습니다. 내가 걷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한 작가님이 저자의 친필 사인까지 받아 저에게 선물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저자는 친필사인에서 “Ultreia et Suseia”라고 썼네요. “Ultreia et Suseia(울트레이아에뜨수세이야)”는 중세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순례자들이 서로에게 건네는 전통적 인사말이라고 합니다. 무슨 뜻일까요? Ultreia는 "더 멀리!" 또는 "앞으로 나아가자!"라는 뜻으로 순례의 여정을 계속하라는 격려의 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Suseia는 "더 높이!"라는 의미로, 영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더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가자는 뜻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산티아고 순례길에선 마주치는 한 사람이 “Ultreia!”라고 외치면 다른 사람이 "Et Suseia!"라고 응답하면서 서로를 격려한다고 합니다. 이 문구를 보니, 저도 예전에 히말라야 트레킹하면서 만나는 사람들끼리 서로 “나마스테”하며 인사하던 것이 생각나네요. “나마(nama)는 경의를 표한다는 뜻이고, ”테(te)"는 당신에게라는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할머니는 젊어서 백석과 이별한 이후 해마다 백석의 생일날인 7월 1일에는 세 끼를 굶고서 백석에 대한 그리움을 되새겼다고 한다. 그녀는 1997년에는 2억 원을 출연해 ‘백석문학상’을 제정하기도 하였다. 그녀가 살던 자야오당(子夜晤堂)에는 멋진 편액 한 편이 걸려 있다. “유주학선 무주학불 有酒學仙 無酒學佛 (술이 있을 때는 신선도를 따르고, 술이 없을 때는 부처를 배운다)” 그녀가 찾아갈 부처는 백석일 지도 모른다. 그녀는 노년까지 백석의 시를 조용히 읽는 것이 생의 가장 큰 기쁨이었다고 말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이루어진 남북 화해 이후 백석에 관해서 많은 것이 밝혀졌다. 그녀가 그렇게도 그리워하던 백석은 자야와 헤어져 만주로 가서 사업을 했다. 해방이 되면서 백석은 만주에서 귀국하여 고향인 평북 정주에서 살았는데, 초기에는 문학 활동을 활발히 했다고 한다. 그러나 백석은 1962년에 김일성 찬양시 '나루터'를 발표한 이후 창작활동을 중단하였다고 한다. 백석은 1996년에 죽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북 화해가 조금 일찍 시작되었더라면 두 사람은 이산가족으로서 재회할 수도 있었으련만, 너무 늦고 말았다. 안타까운 일이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 분관인 한양도성박물관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한양도성 훼철, 한양의 경계를 허물다> 기획전시를 ’26년 3월 8일(일)까지 연다고 밝혔다. 기획전시는 ‘일본에 의한 한양도성 훼철’을 주제로 한양도성 훼철의 시작, 식민통치를 위한 도시계획, 한양도성 위에 세워진 시설물, 경계가 허물어진 한양으로 구성된다. 한양도성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도읍지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곽이다. 도성에는 8개의 성문과 2개의 수문이 있었으며 전체 길이는 약 18.6km에 달하였다. 한양도성은 수도와 지방을 구분하는 물리적 경계이자 왕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물이었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제국 내정에 본격적으로 간섭하였고, 한양도성은 일본의 침탈과 근대화가 맞물리며 훼철되기 시작했다. 1907년 일본의 압력으로 설치된 성벽처리위원회는 숭례문, 흥인지문, 오간수문, 소의문 부근의 성벽 철거를 결정하였다.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이후 한양도성은 일본의 도시계획 사업과 식민통치 시설물 조성 등으로 훼손되었고, 서울의 도시공간은 식민지 정책에 맞는 형태로 바뀌었다. 1915년 돈의문은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창녕군(군수 성낙인)은 오는 9월 10일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기획공연 광대탈놀이 '딴소리 판'을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산하 예술경영지원센터) 공모사업에 뽑힌 우수작품으로, 지역민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대탈놀이 '딴소리 판'은 탈을 쓴 거지들이 재미있게 이끌어가며 익살스러운 탈놀이와 판소리가 어우러진 작품이다. 이번 극은 춘향가ㆍ심청가ㆍ수궁가 등 우리에게 친숙한 이야기를 모두 6장 구성으로 엮어낸다. 창녕군 관계자는 "국악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도 판소리와 탈놀이를 통해 친근하게 접할 기회"라며 "이번 공연이 관람하시는 모든 분에게 즐거운 힐링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창녕문화예술회관 누리집(www.cng.go.kr/art.web)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전화(055-530-1911)로 하면 된다.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뉴미디어 시대, 그 어느 때보다 ‘읽는 인간’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문해력은 더 나아졌을까? 놀랍게도 답은 ‘아니오’이다. 2023년 OECD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의 문해력은 500점 만점에 249점으로 참여국 31개국 중 22등에 그쳤다. 더 충격적인 것은 2012년보다 평균 20점 이상 떨어졌다는 사실이다. 국내외 리터러시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진 조병영 교수는 현대인들이 직면한 정보 환경을 분석하여 ‘새로운 문해력’을 통한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빠르게 접할 수 있지만, 맥락 없이 파편화되고 알고리듬에 의해 편향된 정보만 습득하고 있다는 것은 미처 깨닫지 못한다. 인간은 기계와 달리 자신의 고유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식적으로 사고하고 성찰할 수 있는 존재이다. 저자는 이 능력이 사회구성원들과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하고 공감할 수 있게 하는 진정한 문해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문해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천천히 반복해서 읽어야 한다. 무엇보다 비판적인 성찰과 몰입, 경청이 중요하다. 결국 새로운 문해력을 기른다는 것은 단순히 잘 읽고 쓰는 것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우승상금 4억 원. 해마다 열리는 세계대회 가운데 가장 많은 우승상금을 내걸고 으뜸 바둑 신선(기선·棋仙)을 가리는 '신한은행 세계 기선전'이 탄생했다. 21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그룹에서 열린 '신한은행 세계 기선전' 조인식에는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과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정태순 한국기원 부총재가 참석했다. 세 기관은 조인서를 통해 세계 속 한국바둑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바둑이 세계적 사랑을 받는 건전한 스포츠로서의 위상 강화에 함께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신한은행이 후원하고 매경미디어그룹이 주최하며 한국기원이 주관하는 '신한은행 세계 기선전'의 우승상금은 4억 원이며, 준우승상금은 1억 원이다. 오는 12월 본선 32강부터 4강까지 진행되며, 2026년 상반기 내 결승을 통해 초대 챔피언을 가린다. 본선 모든 대국은 주관방송을 맡은 바둑TV를 통해 생중계로 시청할 수 있다. 기선(棋仙)전은 '바둑 신선들의 대회'라는 뜻으로 세계 으뜸 중요대회를 향한 의미를 담았다. 특히 기선은 승부나 세속의 영예를 초월한 바둑을 두는 인물로 최고의 기사 단 한 명만 가질 수 있는 칭호다. 신한은행 세계 기선전의 출범에는 두 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在郊那似在家肥 교외에 있는 것이 어찌 집에서 살찌는 것만 하겠냐고 人笑冥鴻作計非 사람들이 기러기 세운 계획 잘못됐다 비웃지만 莫把去留論得失 가고 머무름으로 얻고 잃음을 말하지 말라 江南水闊網羅稀 강남에는 물이 넓고 그물도 드물다네 홀아비나 홀어미의 외로운 신세를 “짝 잃은 기러기 같다.”라고 하며, 짝사랑하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외기러기 짝사랑’이라는 속담도 있는데 이는 기러기는 암컷과 수컷이 의가 좋은 동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전통혼례식 때 신랑은 목기러기를 상 위에 놓고 두 번 절하는 전안지례례(奠雁之禮)를 한다. 이는 신랑이 신부를 맞아 기러기와 같이 백년해로하고 살기를 맹세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은 자신의 한시(漢詩) ‘영정안(詠庭雁)’ 곧 “뜰의 기러기를 노래함”에서 이 기러기를 색다르게 표현한다. 벼슬에서 물러나 숨어 사는 것이 더 슬기롭다는 것을 기러기에 비유하고 노래하고 있다. 백사는 말한다. 들판에 있는 것이 어찌 집에서 뒹굴뒹굴 살찌는 것만 하겠느냐고 말이다. 또 사람들이 기러기 세운 계획이 잘못됐다고 비웃지만, 나오고 물러감만을 가지고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언제부턴가 인공지능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습니다. 심지어 네이버나 다음처럼 포털사이트의 검색 기능까지 대체하고 있지요. 그런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결코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편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주어진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학습하기 때문이지요. 만약 특정 성별, 인종, 사회경제적 계층의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편향된 데이터만 존재한다면, 알고리즘은 그러한 편견을 학습하여 차별적인 결과를 내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데이터에는 사회적 불평등, 차별 등의 역사적 편견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견이 학습된 알고리즘은 현실 사회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개발자의 의도, 가치관, 그리고 무의식적인 편견이 알고리즘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에 대한 선호나 편견이 알고리즘에 스며들어 불공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지요. 인공지능은 사용자의 되먹임(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는 강화 학습을 통해 더욱 정교해집니다. 사용자의 되먹임 자체가 사회적 편견을 반영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알고리즘의 편향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는, 선인들의 말이 묵향처럼 퍼지는 날 아낙들은 눅눅한 옷을 볕에 말리고 선비는 그늘에서 책을 말리는 처서 위는 김영수 시인의 <처서> 일부분입니다. 내일은 열넷째 절기 처서(處暑)입니다. 말뜻으로 본다면 멈출 '처(處)'에 더울 '서(暑)'를 써서 '더위가 그친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리고 "처서가 지나면 모기입도 삐뚤어진다"라는 말이 있어서 이제 푸른 가을하늘이 저 멀리 다가올 듯합니다. 이 처서 때의 세시풍속 가운데 가장 큰 일은 포쇄(曝曬)라고 해서 뭔가를 바람이나 햇볕에 말리는 것입니다. 나라에서는 사고(史庫)에 포쇄별관이란 벼슬아치를 보내서 눅눅해지기 쉬운 왕조실록을 말리도록 했습니다. 또한 선비들 역시 여름철 동안 눅눅해진 책을 말리고, 부녀자들은 옷장 속의 옷과 이불을 말립니다. 책의 경우 포쇄하는 방법은 우선 거풍(擧風) 곧 바람을 쐬고 아직 남은 땡볕으로 포쇄(曝)를 하지요. 때에 따라서는 음건(陰乾) 곧 그늘에 말리기도 하는데 “건들 칠월 어정 팔월”이라는 말처럼 잠시 한가한 처서 때 농촌에서는 고추를 말리는 풍경이 수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