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로키산맥 정상 부근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자작나무는 무릎을 꿇은 상태로 엎드려 산다고 한다. 가까스로 싹이 트고부터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지악스러운 찬서리와 거친 비바람을 맞받으며 이겨내려면, 무릎 꿇고 엎드린 모습으로 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악기를 만드는 사람들은 이 자작나무를 베어내 바이올린을 제작한다. 세상의 어떤 나무보다 공명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김주영의 <아라리 난장>에서) 싹이 트고부터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찬 서리와 거친 비바람을 맞받으며 꿋꿋이 살았던 한 소년공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되는 기적이 어제 새벽에 일어났다. 나는 그날만큼은 해돋이를 보아야겠다고 며칠 전부터 마음먹고 있었다. 일기예보에 따르면 그날 서울의 해는 5시 12분에 뜬다고 했다. 자칫 놓칠세라 새벽 2시 무렵부터 침대에서 뒤척인다. 까무룩 잠이 들었다가 퍼뜩 깨어나 시간을 보는 일을 반복한다. 해가 뜨려면 아직 멀었지만 내 마음속에는 이미 황홀한 해가 솟았다 사라졌다 한다. 몰록 시상(?)이 떠오른다. 해가 뜬다. 날마다 뜨는 해가 일천 년 만에 뜬다. 새해 봄에는 야산에서 따온 찻잎으로 차를 만들어 마신다. 늦게 발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열대지방에 두 나라가 있습니다. 싱가포르와 캄보디아지요. 싱카포르는 도시국가로 밭 한뙈기 없고 인구밀집형 도시국가입니다. 잘 살기 어려운 나라였지요. 그런데 이제는 1인당 국민소득이 9만달러가 넘는 세계 5위의 부국입니다. 대신 캄보디아는 땅덩어리가 넓고 3모작이 가능하며 앙크로와트라는 매우 훌륭한 관광자원이 존재하기에 못살기가 참으로 어려운 나라입니다. 그런데 1인당 국민소득은 3천달러로 세계 최빈국에 해당합니다. 그렇게 두 나라가 극단적이 된 까닭이 무엇일까요? 그건 싱가포르에는 훌륭한 정치가가 있었고 캄보디아는 그렇지 못한 이유가 큽니다. 이광요는 싱가포르를 중계무역을 통해 세계의 정상으로 우뚝 서게 했고 캄보디아는 정치인들이 국부를 외국으로 빼돌려 자신의 주머니 채우기에 바쁩니다. 그러니 정치인을 잘 뽑는 것은 국운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먼 옛날, 중국에 요(堯) 임금이 선정을 베풀어 온 지도 어느덧 50년이 지난 어느날 남루한 옷을 입고 민정(民情)을 살펴보러 나갑니다. 그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鼓腹]' 발로 '땅을 구르며[擊壤]' 흥겹게 노래를 부르고 있었죠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소나무가 우거진 기분좋은 언덕배기, 나무들 사이로 보이는 호수, 어린 소나무와 호두나무가 무성하게 자라는 숲 속의 작은 빈터, 군데군데 녹은 얼음, 거무스레하고 물기에 젖어있는 호수. 우리가 상상하고 가보고 싶은 숲을 28살의 청년 데이비드 소로우(1817~1862)는 이렇게 묘사했다. 월든이란 호숫가에 들어가 살면서 묘사한 숲의 이야기다. 이 청년이 기록한 미국 동부 숲의 이야기는 단순한 숲 생활의 기록이 아니라 자연에 대한 경외와 감사, 찬미이며 동시에 우리가 사는 삶의 방식에 대한 통렬한 반성,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었다. 우리가 숲의 소중함을 알게 된 것, 그런 숲에 가고싶어하는 마음을 일깨워준 것이 이 책이었다. 소로우가 묘사한 숲이 우리나라에도 있을까? 기후가 다르고 지형이 다르니 같은 숲이야 있겠는가만은 어릴 때부터 크낙새가 운다는 광릉의 숲이 아마도 소로우가 묘사한 숲의 이미지로 우리 가슴에 들어와 있었을 것이다. 그러기에 많은 사람들이 광릉 숲에 가보고 싶다고 마음을 먹었을 것이지만 막상 거기가 어딘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를 몰라 못 가본 분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런데 뜻밖에 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산목련(山木蓮) 어디 갔다 이제 왔는가 묻네 (돌) 희디흰 마음 늘 그대로인데 (달) 긴긴 밤 외롭게 기다렸으니 (빛) 그리움에 지쳤나 해쓱하네 (심) ... 25.6.2.불한시사 합작시 중국 대륙에서 돌아오자마자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머나먼 라틴아메리카 남미의 다섯 개 나라를 다녀 왔다. 오랫만에 찾은 산방이 낯선 느낌이었다. 그래도 반겨주는 가족 뿐만 아니라 불한티기슭 산방의 산목련이었다. 새벽 찬공기와 물소리 속에 고개숙인 흰 꽃망울들이 기다렸다는듯 내게 말을 걸어와 묻는 것 같았다. "어디 갔다 이제 왔는가?"하고. 그 속삭임 그대로 합작시를 발구(發句)했다. 이곳 불한계곡에 친숙한 시벗들이 우리의 대화를 꿰뚫어 보듯 화답하여 한 편의 맑고 멋진 4행시가 완성되었다. 산목련(山木蓮)은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산에 피는 목련'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지방에 따라서 함박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매화처럼 꽃이 먼저 피는 목련과는 달리 잎이 먼저 우거지고 나서 하얀 꽃이 탐스럽게 핀다. 꽃받침잎은 3장의 난꽃 형태이다. 목련꽃은 3-4월 이른 봄 북해의 신을 연모해 북쪽을 향해 피지만, 산목련은 6-7월 초여름에 뿌리쪽을 향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 하늘이 많이 낮았습니다. 아침에는 구름에 해가 가려 어제보다 훨씬 시원하기도 했습니다. 아침에 뒤낮(오후)부터 비가 온다는 기별을 들었는데 낮밥(점심)을 먹기도 앞에 비가 내렸습니다. 일을 마치고 갈 때는 빗길을 뚫고 가야겠습니다. 이레끝(주말) 시골에 갈 일이 있어서 나랏길(국도)을달렸습니다. 이른 아침이라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은 길이었는데 고라니 주검을 둘이나 보고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언제 어느 수레에 치었는지 모르지만 누군가 길가에 옮겨 놓아서 다시 치이지는 않게 되어 있는 것이 나아 보이기는 했습니다. 제가 듣기로 그렇게 죽은 멧짐승들은 거두어 가서 태운다고 하더라구요. 타고난 목숨대로 다 살지 못하고 그렇게 간 것도 가슴 아픈데 말이지요. 차라리 땅보탬이라도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요즘은 사람도 땅보탬이 쉽지 않는 누리인 것이 참일이라 제 바람에 그치지 싶습니다. '땅보탬'은 '사람이 죽어서 땅에 묻힘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지만 '온갖 살이(생물)들이 죽어서 땅에 묻힘'을 가리키는 말로 쓸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죽어서 땅에 보탬이 된다고 생각하신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슬기가 엿보이는 좋은 말을 두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딱 하루를 조선시대에서 살아보면 어떨까? 시간을 되돌려 조선시대로 돌아간다면, 그리고 하루를 살 수 있다면 어떨지 궁금하다. 낯선 도시에 가서 ‘한 달 살기’가 유행인 것처럼, 원하는 시대로 가서 하루를 살아볼 수 있다면. 물론 어떤 신분으로 돌아가느냐에 따라 삶의 질은 천차만별일 것이다. 같은 조선 시대여도 임금과 신하, 상민과 노비의 하루는 완전히 달랐으니 말이다. 이 책, 《조선 사람의 하루》는 나랏일에 매진했던 임금과 비서실장 역할을 했던 도승지, 양반가 안방마님, 박 의원, 김 서방, 노비 칠복이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어떻게 하루를 살았는지 재밌게 재구성한 책이다. 그 가운데 임금의 하루는 한마디로 ‘바쁘다 바빠’였다. 조선은 임금이 제도적으로 편히 쉴 수 없는 나라였다. 임금의 하루는 한양의 종각에 있는 종을 33번 쳐서 새벽을 알리는 ‘파루’와 함께 새벽 5시쯤 시작되었다. 일어나면 간단한 죽으로 요기를 하고 웃어른께 문안 인사를 드렸다. 공식 일과는 조회와 경연으로 시작되었는데, 약식 조회인 상참은 매일 열리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조선 후기에는 잘 열리지 않았다. 정조 임금은 상참을 연 것이 10번이 채 되지 않을 정도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우리는 교사를 일상적으로 높여 부르는 말로 ‘선생(先生)’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물론 스승을 칭할 때도 사용하지요. 현대에는 의사 선생처럼 사람에 따라서 2인칭 대명사로 쓰기도 하지만 그래도 존경의 의미가 상당히 남아있습니다. 곧 순수하게 남을 가르치는 직업으로써 교사를 일컫는 단어라기보다는 전문 지식과 인생의 비법을 겸비한 존경 하고 따를 만한 사람을 일컫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문가의 상담이나 자문받을 때 상담 전문가를 선생이라고 부르니까요. 선생(先生)은 먼저 태어났다는 의미이니 본래 관직에 있는 손윗사람을 부르는 호칭이었습니다. 그것이 "가르침을 주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바뀌게 되었지요.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선생(先生)이란 표현은 학식과 덕이 높은 자에게만 붙이는 칭호였습니다. 요즘 아무나 ‘김 선생’, ‘이 선생’처럼 부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퇴계 이황은 대학자임에도 '선생'이라고 불리는 것을 꺼렸으니까요. 어떤 직업이든지 직업병이 없을까마는 교사도 직업병이 있습니다. 첫째는 심부름을 시키려는 경향이 높고 둘째는 조금 어려운 낱말을 말하면 설명하려 하고 셋째는 아무한테나 대놓고 가르치려 든다는 것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세계에서 파스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이탈리아다. 이탈리아 북부 지방에서는 페스토소스 파스타라고 바질(허브의 한 종류)을 곱게 갈아 만든 신선한 자연의 향이 깃든 파스타를 많이 먹는다. 중부 지방에서는 넓적한 모양의 파스타로 만든 라자냐가 유명하다. 라자냐 위에 치즈 가루를 뿌리기도 한다. 남부 지방에서는 삼면이 바다라서 해산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래서 해산물을 곁들인 파스타를 많이 먹는데, 대표적인 요리가 봉골레와 살딘파스타다. 파스타에 사용하는 치즈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유명한 것이 모짜렐라 치즈이다. 모짜렐라 치즈는 샐러드에 넣어서 먹기도 하지만 그냥 직접 먹기도 한다. “모짜르트 치즈라는 것도 있어요?” K 교수가 모처럼 끼어들었다. “모짜르트 치즈가 아니고, 모짜렐라 치즈랍니다.” ㅇ 교수가 교정해 주었다. “아, 그래요? 이거 참.... 음식 분야는 통 캄캄해서. 가만히 있었으면 중간은 갔을 텐데, 그만 무식이 탄로 났네요.” K 교수가 머리를 긁적이며 멋쩍게 대답했다. “그런데, 이 식당은 큰길가도 아니고 장사가 됩니까?” ㅈ 교수가 물었다. 미스 K가 대답했다. “낮에는 학생들이 많이 오지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이 맑습니다. 아침부터 햇볕도 어제보다 더 뜨겁게 느껴졌습니다. 해를 가리고 걸으시는 분을 보며 '해가림'이라는 말이 떠올랐습니다. 아시다시피 '해가림'은 말 그대로 뭔가를 보호하려고 '햇볕을 가려 줌. 또는 그런 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작물(지음몬)이 어릴 때 해가림을 해 주기도 하고 해를 싫어 하는 것은 해가림을 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도 있지요. 해가림 이야기를 하니 '비가림'이라는 말도 생각납니다. '사람, 동식물 따위를 보호하려고 비가 들지 않도록 가리거나 막음. 또는 그런 시설'을 가리키는 말이죠. 요즘은 우리 입으로 가는 열매 가운데 '비가림'을 해서 키우는 것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땅가림'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한곳에 같은 지음몬(작물)을 거듭 심지 않는 일'을 가리키는 말이지요. 한곳에 같은 것을 거듭 이어서 심는 것을 '이어짓기'라고 하는데 이어짓기를 하면 거두어 들이는 게 많이 줄기 때문에 '땅가림'을 하지요. 이렇게 묻살이(식물)도 저마다 타고 난 됨됨에 따라 가려 주어야 할 게 많습니다. 저마다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땅가림'에서 얻는 슬기를 삶에, 가르침에 써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에티오피아 랄리벨라 공항에 내렸다. 그런데 공항 주위에는 아무것도 없이 설렁하기만 하다. 사람들은 좀 더 높은 고지에 사는 모양이다. 기다리던 버스를 타고 랄리벨라로 가는 동안 주위에는 이따금 길 저 멀리에 집이 한, 두 채 보일락 말락 할 정도이다. 주위에는 라스타 산맥이 펼쳐지는데, 산 모양을 갖추어 봉우리를 내밀고 있는 산도 있지만, 위가 평평하게 이어지는 곳이 더 많다. 그렇지. 비행기 내려갈 때 저 위에는 평평한 대지가 펼쳐져 있었고, 그곳에 농토와 집들이 있었지. 좀 더 가다 보니, 길옆 가까이에 그래도 조그맣게 마을처럼 집들이 있다. 김 교수가 여기에 잠깐 섰다 가자고 한다. 그렇지. 건축학자인 김 교수로서는 에티오피아에 와서도 개량가옥만 보다가 여기서 에티오피아의 전통가옥을 보게 되니 이를 자세히 살펴보고 싶은 욕심이 있겠지. 갑자기 동양인들이 우르르 몰려오니 아이들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모여들지만, 어른들은 일단 경계의 눈으로 우리를 쳐다본다. 안내원 가넷이 촌로에게 다가가 우리의 목적을 얘기해준다. 이들의 집은 둥그런 초가집으로 되어 있는데, 잠자는 집은 남자집과 여자집이 따로 있다고 한다. 그러면 부부 생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