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마음이란 구걸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먼저 타인에게 마음을 다했을 때, 비로소 남의 마음을 물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지요. 봄에 씨앗을 뿌려야 가을에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상대에게 먼저 마음을 주어야 그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음은 물질이 아니거든요. 돈으로 살 수도 없고, 힘으로 강요할 수도 없지요. 마음은 자연스럽게 주고받는 것이지, 강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강물이 끊임없이 흐르듯, 사람도 마음을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성장합니다. 마음을 주는 것은 감정 표현을 넘어 상대를 존중하는 행위입니다. 진심으로 상대를 생각하고 배려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어야 하지요. 컵은 비어 있어야 채울 수 있습니다. 마음도 그러하지요. 상대의 마음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마음을 비우고 열어야 합니다. 현대 사회는 너무나 빠르게 변화합니다. 사람들은 각자의 삶에 바빠서 타인에게 마음을 주는 것을 어려워하지요. SNS를 통해 쉽게 연결될 수 있지만, 정작 진정한 소통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마음은 부메랑입니다. 우리가 던진 마음은 다시 우리에게 돌아옵니다. 작은 친절, 따뜻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풀돌다: 어떤 둘레를 돌던 쪽과 거스르는 쪽으로 빙빙 돌다 보기월) 꼬인 줄을 풀돌리면 풀린다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날이 오늘도 흐립니다. 어제는 덥기까지 해서 찬바람틀(에어컨)을 켜기도 했는데 오늘은 좀 낫다고 합니다. 제 가까이에 여느 사람들과는 많이 다르게 사는 아이가 있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무엇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단단히 꼬인 줄처럼 꼬여 있답니다. 꼬인 줄을 풀돌리면 풀린다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래서 풀 수만 있다면 풀어 주고 싶은데 제 마음처럼 쉽게 되지 않아 안타깝습니다. 이런 제 마음도 모르고 오늘도 아침부터 저를 어렵게 합니다. '풀돌다'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풀돌다'는 '어떤 둘레를 돌던 쪽과 거스르는 쪽으로 빙빙 돌다'는 뜻입니다. 많이 쓰시는 말로 하면 '돌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빙빙 돌다'는 뜻이지요. '풀돌다'는 말을 처음 보시는 분은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겁니다. 강강술래를 할 때나 여러 사람이 손을 잡고 도는 춤을 출 때 한 쪽으로 돌다 돌던 쪽과 거꾸로 도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렇게 도는 것을 가리킬 때 '풀돌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쓰는 '역회전'을 '풀돌기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 이베리아반도에서 대정전이 발생한 소식은 국내 언론에서도 모두 보도되었다. 보수 언론의 대표 격인 조선일보는 2025년 4월 30일 <재생에너지 탓인가... 스페인 대정전 미스터리>라는 제목 아래 아래와 같은 기사를 내보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4월 28일 두 나라 전체에 걸친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전기로 움직이는 도시 기반 시설 대부분이 멈추면서 사회 전체가 순식간에 멈췄다. 수십만 명이 전차ㆍ지하철 등에 갇혔고, 도로에선 신호등이 꺼져 큰 혼란이 벌어졌다. 비행기 이착륙에 차질이 생겼고, 휴대폰과 신용카드 결제는 먹통이 됐다. 정전은 스페인 기준 낮 12시 33분(한국 시각 오후 7시 33분)에 갑자기 발생했다. 스페인 마드리드·바르셀로나, 포르투갈의 리스본·포르투 등 대도시를 포함한 모든 지역이 피해를 입었다. 스페인과 국경을 맞댄 프랑스 남부 일부 지역도 영향을 받았다. 전력은 10여 시간이 지나서야 순차적으로 복구되기 시작했다.” 바쁜 현대인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기사를 다 읽지 않고 제목만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조선일보의 기사를 끝까지 읽어보면 대정전의 원인은 아직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 들여름달 스무하루, 5월 21일이자 '부부의 날'입니다. 어린이날도 있고 어버이날도 있는 들여름달, 5월을 흔히 '가정의 달'이라고 합니다. '가정의 달'을 '집'이라는 토박이말을 살려 '집의 달' 또는 '집달'이라고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렇게 집과 아랑곳한 기림날(기념일)이 많은 달에 두 사람이 만나 하나가 된다는 뜻을 담아 '2'와 '1'이 함께 있는 스무하루 21일을 '부부의 날'로 삼았다고 하죠. '부부'를 토박이말로는 뭐라고 하는지 아시는지요? '부부'라는 말이 널리 쓰이다보니 '부부'를 가리키는 토박이말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부부'를 토박이말로는 '가시버시'라고 하는데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보니, 이런 토박이말이 있는 줄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말집(사전)에 '부부'를 찾으면 비슷한 말로 '가시버시'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러니 '가시버시'라는 말을 알려주지 않으면 알 길이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부'도 알고 '가시버시'도 알고 있으면 때에 따라 곳에 따라 알맞게 골라 쓸 수 있어 좋을 것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가시버시'를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어둠을 불평하기보다는 차라리 한 자루의 촛불을 켜라 -펄 벅(Pearl S. Buck, 1892∼ 1973)- 지금은 자신의 조국이 사라지는 모습을 목도하고 있지만, 언젠가 민족정기가 어둠에서 깨어나면 잠은 비록 죽음의 가상(假像)이기는 하나 죽음 그 자체는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하게 될 한국인들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 《PASSING OF KOREA(대한제국멸망사)》- 포식자의 느닷없는 기습공격을 찌르레기떼가 현란하고 아름다운 군무(群舞)로 물리치는 모습은 경이롭다. 우리는 그 숨 막히는 광경을 하늘이 아닌 지상에서 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대한민국의 거리와 광장에서 펼쳐지는 빛의 무혈 혁명이다. 73살을 넘긴 나도 운동화 끈을 조여 매고 광장에 나가곤 한다. 이 순간도 포식자들은 발톱을 숨긴 채 우리를 노려보고 있다. 조류학자들은 찌르레기떼가 포식자의 공격을 받으면 절묘한 공중 곡예(aerial acrobatics)를 연출함으로써 적을 혼란에 빠뜨려 안전을 도모한다고 한다. 흉맹한 포식자가 쪼그마한 찌르레기를 표적 삼아 거듭 기습공격을 시도하지만, 그때마다 찌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여러 사람들이 말을 한다. 문화재나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이 전시회를 봐야 한다고. 그래서 마침 연휴 뒤끝, 용인에 있는 호암미술관으로 갔다. 그것도 이태원 쪽 리움미술관 앞에서 출발하는 셔틀버스를 타고 아주 편하게...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작품을 모아놓은 용인 호암미술관의 가장 큰 겸재전시회다. 겸재의 원화를 한꺼번에 가까이에서 처음 보는 기회다. 가장 유명한 인왕제색도. 이건희 회장 생전에 아끼며 호암미술관에 보존해 오던 것인데 사후에 나라에 기증되어 공개된 이후 가장 많은 관람객이 몰린, 겸재의 대표작이다. 인왕제섹도(仁王霽色圖), 인왕산의 제색을 그린 그림이란 뜻이다. 제색이란 말의 제(霽)는 비가 그친 상태를 묘사한 글자이니 인왕제색(霽色)은 비가 그친 인왕산의 산뜻한 경치를 말함이다. 비가 걷히면서 바위들이 깨끗한 자태를 드러내는 광경, 가만히 보면 그 광경이 동영상처럼 움직여 피어오르는 듯 착각에 빠진다. 가장 큰 특징은 흰색에 가까운 인왕의 봉우리와 암석들이 먹의 검은색으로 그려진 것. 아주 새롭고 신선한 기법이다(세상을 뜬 한국화가 남천 송수남이 남해 다도해의 풍광을 그리면서 봉우리들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풀각시: 막대기나 수수깡의 한쪽 끝에 풀로 색시 머리를 땋듯이 곱게 땋아서 만든 인형 보기월) 아이들과 밖에 가서 풀각시를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잔뜩 흐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질 것 같은 날씨입니다. 오래 가물었는데 비가 잦아서 푸나무는 좋겠다 싶은 생각도 듭니다. 아이들과 함께 지내다 보면 가끔 풀이름, 나무이름을 묻곤 합니다. 아는 것은 알려주지만 저도 알지 못할 때는 찾아보아야 할 때가 있지요. 풀 가운데 '각시풀'이라는 이름을 가진 풀이 있습니다. 마치 사람 머리카락처럼 수북하게 자라는 풀인데 그 풀을 가지고 머리를 땋듯이 땋을 수가 있지요. 그처럼 풀로 머리카락처럼 땋은 것을 막대기에 달아서 만든 인형을 '풀각시'라고 한답니다. 각시풀로 만든 풀각시라고 생각하시면 잘 잊히지 않으실 겁니다. 풀로 만든 인형을 '풀각시'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아이들과 밖에 가서 풀각시를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지다: 매우 많아서 넉넉하다=가득하다, 넉넉하다 보기월) 푸지게 먹고 나면 바로 몸무게가 늘곤 합니다. 이레끝(주말) 잘 쉬셨습니까? 이레끝에는 아무래도 마음을 놓고 지내게 됩니다. 잠도 좀 늦게까지 자기도 하고 맛있는 것을 찾아 가서 먹기도 하죠. 잘 차려 놓은 것들을 조금씩 먹는다고 먹어도 먹다 보면 많이 먹게 될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푸지게 먹고 나면 바로 몸무게가 늘곤 합니다. 오늘 아침에도 늘어난 몸무게를 보며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조금 모자라다 싶을 만큼만 먹어야 한다고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푸지다'는 말을 어르신들이 많이 쓰시다 보니 '사투리'로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더러 있더라구요. '매우 많아서 넉넉하다'는 뜻을 가진 토박이말이니까 자주 많이 쓰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잉카의 신전(神殿) 물샐 틈 없는 정교한 석벽들 (돌) 숨 쉴 틈 없이 갈아 붙였으리 (빛) 저 석벽이 돌자갈 될 때까지 (달) 신은 늘 말 없는 돌에 깃들리 (심) ... 25.5.6. 불한시사 합작시 중남미 인디오의 문명들로 마야와 아즈텍 그리고 잉카가 유명한데, 이번에 페루의 잉카문화 유적지를 답사하고 왔다. 잉카제국의 수도였던 쿠스코는 안데스산맥의 3,400m 고원지대에 있었다. 남미 인디오 신앙의 메카였던 쿠스코의 왕궁과 태양의 신전은 1533년의 스페인 침략으로 대부분 파괴되었다. 신전 자리에는 그 돌들로 재건축한 대형 성당이 여러 채 지어져 있었다. 옛 시가지의 정교한 건축물인 돌벽, 인도, 수로는 그대 남아 있었다. 4,500~4,800m의 산 위에 조성된 거석의 삭사이와망 성곽과 네모와 둥근(方圓) 제사공간은 물론 축제공간도 찾아볼 수 있었다. 침략자의 무자비한 파괴에도, 미라를 안치했던 자연석굴에 조성한 지하 널방(현실)을 비롯하여 봉화대, 세관, 검문소, 임금의 은신처 등 다양한 건축물이 남아 있었다. 왕궁이 있는 제1의 도시국가 쿠스코에서 제7의 도시국가 마추픽츄까지 연결되는 루트(옛 산길 110km)를 답사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472년, 888권. 《조선왕조실록》과 관련된 숫자다. ‘실록’은 말 그대로 실제 있었던 일을 사실 그대로 기록한 책이라는 뜻이다. 조선의 첫 임금인 태조가 즉위한 1392년부터 스물다섯 번째 임금인 철종이 승하한 1863년까지 472년 동안의 일이 기록된 888권의 역사책, 그것이 《조선왕조실록》이다. 조선왕조처럼 이렇게 방대한 기록을 남긴 왕조도 드물 것이다. 후대 사람들이 역사책을 거울삼아 올바른 선택을 하기를 바라는 뜻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일거수일투족이 역사에 남는 지도자가 자연스레 스스로 삼가는 태도를 보이게 하기 위함이었다. 역사학자인 강명관이 쓴 이 책, 《왕의 기록, 나라의 일기 조선왕조실록》은 실록의 이모저모를 재미있게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잘 알려진 사실과 많은 이들이 몰랐을 사실들이 적절히 섞여 있어 실록의 다양한 면을 새롭게 알아갈 수 있다. 실록을 ‘일기’라 하는 까닭은 날짜별로 사건이 일어난 순서에 따라 적혀 있기 때문이다. 첫머리에는 임금과 신하들의 인물 정보를 기록하고, 날짜 표시는 연도, 계절, 달, 날의 차례로 썼으며, 날짜가 넘어가거나 기사의 내용이 바뀌는 경우 ‘ㅇ’을 넣어 구분했다. 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