챠우쉔화(朝鮮花)는 조선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중국땅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무덤에 핀 노오란 들국화를 현지인들이 애처로워 부른이름입니다. 지난해 1권에 이어 이번에 2권을 펴냈습니다.다시 삼월하늘을 핏빛으로 물들였던 만주벌의 챠우쉔화,사할린의 챠우쉔화,후쿠오카 치쿠호 탄광의 챠우쉔화, 아우내장터의 챠우쉔화를 이 계절에 생각하는 것도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삼일절을 앞두고 이윤옥사룀 =============================================================== 여성독립운동가가 없었다면 광복도 없었다 [서평] 이윤옥 시인의 ≪서간도에 들꽃 피다≫2권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김영조 “권총으로 삶을 마감한 아들 주검을 확인하는 어미의 가슴 속에 구멍 하나 뻥 뚫렸다 휑하니 불어오던 그 겨울의 모진 바람 한 자락 뚫린 가슴을 휘젓는다” 위는 최근 펴낸 이윤옥 민족시인의 “시로 읽는 여성독립운동가 20인 시집” ≪서간도에 들꽃 피다≫ 2권(도서출판 얼레빗)에 나오는 “종로경찰서에 폭탄 던진 김상옥 어머니 ‘김점순’” 시 일부다. 아들의 주검 앞에서는 살아있는 어미도 이미 주검이다. 앞서 간
슬슬 한국은 각 급 학교의 졸업철이다. 졸업식장에 울려 퍼지는 애국가 제창은 학창시절의 마지막 추억이 될지 몰라서인지 식장의 애국가 제창은 여느 때보다 우렁차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의 졸업식장 풍경이다. 이웃나라 일본은 졸업식장에서 기미가요(국가,國歌)를 부르느니 못 부르느니 문제로 졸업과 입학 때만 되면 시끄럽다. 더불어 히노마루(국기, 國旗)에 대해서도 경례를 못하겠다고 버티는 교사와 학생들이 속출하고 있다. 대관절 무슨 곡절인가! 2008년 오사카 시립중학교 졸업식장에서 일어난 국기, 국가 제창 거부 사건은 세상의 이목을 끌었다. 당시 졸업생 160명 중 159명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거부했으니 교장 선생의 붉으락푸르락하던 모습은 애써 떠올리지 않아도 상상이 갈 것이다. 이날 졸업식 후에 교장이 가만히 있었을 리가 없다. 당장 3학년 담임 5명과 부담임 3명이 시교육위원회에 ‘문제교사’로 고발되었다. 오사카 시립중학교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집단 ‘국기(國旗)·국가(國歌) 거부’ 사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데 특히 1999년 (평성 11년)
일본에 신사나 절 입구에 가면 커다란 선간판에 액운이 든 날을 표시해 놓은 “액막이 안내판”이 빠짐없이 놓여 있다. 일본말로는 “야쿠도시, 厄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일본 위키피디어에서는 “일본에서는 액재(厄災)가 자주 드는 나이가 있다. 이 풍습은 이미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92)부터 유래한다.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사람들은 예부터 뿌리 깊게 믿고 있다.”고 풀이하고 있다. 액이 든 나이는 지방이나 절, 신사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아래 사진(교토 청수사 안의 지주신사)에 보면 남성은 24살을 앞뒤로 1년을 주의해야 하고 여성은 18살을 전후해서 큰 고비를 넘겨야 한다. 또 남성은 41살과 60살을 인생의 큰 고비로 보고 있으며 여성은 32살과 36살을 주의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하여 미신이라든가 하는 말도 있지만 일본의과대학의 병리학자인 가네코(金子仁)씨는 ≪액년의 과학(厄年の科學)≫에서 19살과 25살은 청춘기에 해당하고 또 33살과 42살은 청춘기를 지나 중고년기의 과도기인지라 인생의 굽잇길에서 남성은 사회적으로 책임이 무거워지는 때로 정신적, 육체적인 피로가 많고 여성은 자녀양육 시기로 매우 분주하고 힘든 시기
한중일이라는 말로 우리는 동양 3국을 곧잘 말한다. 생김새도 닮은데다가 생활습관이나 먹거리 따위가 서양과는 사뭇 달라 이들 국가와는 가까운 형제의 느낌마저 들 때가 있다. 그런데 설날이나 한가위 따위의 명절 때만 되면 일본은 동양에서 벗 어나 “서양사람”이 되어버린 느낌이다. 명절을 한국이나 중국같이 음력으로 쇠지 않기 때문이다. 음력 설은 한국, 중국은 물론이고 화교권 나라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등 대다수 나라가 음력설을 쇠는데 견주어 일본은 양력설을 따르고 있어 지난 양력 1월 1일이 설날이었다. 양력설은 그렇다 치더라도 보름달이 탐스러운 한가위를 양력 8월 15일로 쇠고 있어 우리네 정서와는 사뭇 다른 명절 분위기다. 오카다(岡田義朗)씨의 ≪달력으로 보는 일본인의 지혜≫ 에 보면 일본이 음력을 버리고 양력을 쓰기 시작한 것은 1872년(명치 5년) 12월 10일부터라고 한다. 양력 실시일이 1월 1일이 아니고 12월 10일인 것은 음력으로 이해에 윤달이 끼어 있어 공무원 월급을 13개월치를 줘야 해서 부득불 12월 10일부터 양력으로 확 바꾸었다고 하니 명치정부의 기민성이 놀랍기만 하다. 명치유신(1868)은 부국강병을 내세워 일본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봄에는 벚꽃, 가을에는 단풍으로 유명한 교토 서부 아라시야마 들머리(입구)에 있는 도월교(渡月橋, 도게츠다리)를 찾은 것은 그제 점심 무렵이었다.(2012년 1월 16일) 3박 4일 답사 여정의 마지막 코스인 도월교 부근 주차장에는 전국에서 몰려든 관광버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관광철도 아닌 1월에 이 정도면 벚꽃이나 단풍철에는 몰려드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인가 짐작이 갈 만하다. 도월교가 놓인 가츠라강 하류는 강이라기보다는 큰 냇물 같은 느낌의 아담한 크기였는데 상류 쪽은 물을 가둔 보(洑)가 있어 제법 강 분위기가 느껴졌다. 다리 길이 250m인 도월교는 건너편 표고(標高) 375m의 아라시야마(嵐山)의 단풍과 벚꽃이 아름다워 예부터 시인 묵객과 귀족들이 넘나들던 다리다. 특히 다리이름은 가메야마왕(龜山天皇)이 이곳에 놀러 와서 물에 비친 달빛이 고와 도월교라고 붙였다고 하는데 그간 전란과 홍수 등으로 불타거나 유실되기도 하여 그때마다 새로 놓았다. 현재 다리는 1934년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다지고 나무로 난간을 만든 것으로 아라시야마의 정취와 조화를 맞추어 전체적으로 나무다리의 느낌이 들도록 설계되어있다. <교토
“성인의 날인 지난 9일 신성인(新成人)을 맞이하는 축하 행사가 현내 각지에서 열렸다. 현내(縣內)의 신성인 수는 85,991명이었다. 전년보다 692명이 많았다. ”도쿄와 맞닿아 있는 가나가와현(神奈川縣) 신문 기사이다. 가나가와현은 요코하마가 속해 있는 현으로 인구 9백만의 대도시이다. 스무 살을 먹는 젊은이들의 잔치인 성인의 날은 1999년까지 1월 15일이던 것이 2000년부터는 1월 둘째 주 월요일로 옮겨 지방마다 성인식을 한다. 요코하마는 대형 식장이 차고 넘쳐 오전과 오후로 나눠 성인식을 치렀으며 식장으로 향하는 지하철 역 구내에는 한꺼번에 사람들이 몰려나가다가 일어날지 모르는 사고를 막으려고 임시 통로를 만들 정도로 성인식에 참여하는 젊은이들이 폭발적이다. 여성들은 “하레기(晴れ着)”라고 해서 전통 기모노를 입고 털이 복슬복슬한 흰 숄을 목에 두르고 남성들은 대개 신사복 차림이지만 더러 “하카마(袴, 전통 옷)” 차림도 눈에 띈다. 특히 여성들은 이날 행사를 위해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단장을 해야 하므로 시간과 돈이 어지간히 든다. 하지만, 일생 단 한 번인 스무 살 의식을 위해서라면 그깟 돈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화려한 전통 의상을 입고
엊그제 세미나가 있어 가니 초청강사 한 분이 파워포인트 자료로 특강을 하더군요. 맨 처음 비친 장면은 ‘과잉연결시대’의 화면이었습니다. 빨간 선이 얼키설키 둥근 원으로 그려져 있는 속에 인간이 갇혀 있더군요. 인터넷과 통신기기의 발달로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던 ‘연결’이 인간 사이에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지요. 손말틀(휴대전화)은커녕 한 마을에 전화 한 대로 연결되던 시절이 불과 삼십여 년 전인 것을 기억하는 세대로서 감회가 새롭습니다. 그때 우리 동네에 전화기가 있던 집은 이장집뿐이었습니다. 지금처럼 버튼식이 아니라 손가락을 전화기 다이얼에 넣고 오른쪽으로 끝까지 돌리면 나사 풀리듯 디리릭 소리를 내며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고 그러면 다시 구멍에 손을 넣고 돌리는…. 박물관에나 가서 볼 수 있는 전화기를 쓸 때만 해도 과잉연결시대'라는 말을 상상도 못하던 시대였지요. 지난 성탄절 때도 그렇고 이번 새해 인사 역시 문자 메시지가 폭주까지는 아니지만 꽤 많이 들어왔는데 주로 보험회사와 슈퍼마켓, 서점, 심지어는 어디서 알았는지 아파트 분양회사까지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것들은 기분이 썩 좋은 것도 아니라서 문자를 열어본 기분이 떨떠름합니
한때는 이중과세라 하여 양력설만을 세기도 하고 일부에서는 양력설과 음력설을 따로 세기도 하는 등 혼용되어 오다가 요즈음에는 달력에도 ‘설날’이라고만 표시되어 있어 조상 대대로 지내오던 우리 설이 정착되어 가는 느낌이다. 그렇다면, 이웃나라 일본의 설은 언제일까? 일본은 명치유신 때부터 음력을 버리고 양력으로만 모든 세시풍속을 지켜오고 있다. 따라서 설날도 양력설을 센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가정에서 차례를 지내지 않는 고로 한국 같은 명절분위기는 없다. 하지만, 일본 나름의 정초 행사가 있는데 다름 아닌 신사참배이다. 일본인들의 신사참배는 정초에만 하는 것은 아니다. 시도 때도 없이 우리네 어머니들이 가고 싶은 날 절에 가듯이 들르는 곳이 신사(神社)지만 특히 정초에 찾아가는 신사 참배를 가르켜 특별히 하츠모우데(初詣)라고 한다. 하츠(初)란 처음을 나타내는 말이고 모우데(詣)는 참배를 뜻하므로 하츠모우데는 정초 첫 신사참배를 말하는 것이다. 이맘때쯤 일본의 인터넷에서는 전국의 유명한 하츠모우데 신사(또는 절)를 소개하느라 서로 경쟁이 붙는다. 대부분 전국 지도를
연말연시에 볼 수 있는 일본의 장식문화 12월도 슬슬 중반이 넘어 월말로 접어드는 이때쯤 일본에서는 신년맞이 각종 집안 장식품들을 준비하느라 부산하다. 장식품이라고는 했지만 크리스마스 장식품 같은 것은 아니고 달리 말하면 부적에 가까운 것이라고 하는 게 이해가 빠를 것 같다. 한국에서는 요즈음 ‘부적’이라고 하면 악귀를 쫓으려고 몸에 지니거나 집안에 붙여두는 것쯤으로 알지만 일본의 신년 맞이용 장식품들은 거의 악귀를 쫓거나 신령을 맞이하고 복을 빌기 위한 매개체로 쓰이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 대표적인 것이 “카도마츠(門松)”이다. 카도마츠란 ‘문송(門松)’이라는 한자에서 보듯이 대문 앞에 세워두는 소나무 가지를 말한다. 예전에는 나뭇가지 끝(木の梢, 고즈에)에 신(神)이 머무른다고 믿었기에, 문 앞에 소나무가지를 세워두는 것은 바로 신을 맞이한다는 뜻이 있다. 일본사람들은 정초 집 앞에 소나무가지를 세워두는 일을 아주 소중히 여겼는데 정초에 신을 맞이하지 않으면 그 한해는 불행해진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신을 맞이하는 매개체로 쓰이는 것은 소나무 가지 말고도 사카키나 동백 같은 상록수가 쓰이지만 지금은 거의 소나무만 쓴다. 헤이안시대(794-1
일본 시가현 호남시 불교미술 서울 나들이 비파호를 끼고 있는 시가현은 일본의 국보와 중요문화재를 많이 간직한 도시들 가운데 4번째로 꼽히는 곳이다. 이곳의 보물들이 “일본 불교미술 비파호 주변의 불교신앙”이란 주제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릴 예정(12월 20일~)이다. 시가현에 있는 절과 신사에서 소유하고 있는 국보 4건과 중요문화재 31건 등 모두 94점을 선보인다. 이러한 기사가 실린 2011년 11월 22일 자 교토신문을 오려 보내온 분은 시가현 상락사의 다케우치 씨이다. 붉은 단풍이 상락사를 물들이던 지난 11월 21일 나는 백제계 양변 스님의 발원으로 지어진 상락사를 찾았는데 상락사 들머리에 있는 삼성신사에 대한 궁금증이 일어 절 안내소에 있는 다케우치 씨에게 질문을 한 적이 있는데 당시에 다케우치 씨는 “좀 더 알아보고 한국으로 자료를 보내겠다.”라는 약속을 했다. 그로부터 3주쯤 지난 엊그제 명동 로얄호텔에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재일교포 오영환씨였다. 시가현에서 다케우치 씨와 친하게 지내는 분이라며 서울 나들이 길에 다케우치 씨의 삼성신사(三聖神社)에 대한 자료를 손수 가지고 왔다면서 전해준 누런 봉투 속에는 다케우치 씨가 직접 붓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