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
일제가 김옥균에게 훈장과 작위를 주려했다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전번에 소개한 일본인 스나가(須永)는 김옥균의 진정한 친구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옥균은 절해 고도 오가사와라 섬에서 인편으로 스나가에게 붓글씨를 보내면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곁들였다. 「小笠原島夏日、為試病腕、寄贈知我者」(오가사와라 섬에서 여름날, 병든 팔을 시험해보기 위해 ‘나를 아는 이’에게 보낸다.) 김옥균은 스나가를 ‘나를 아는 이’이라는 뜻의 ‘知我者’(아지자)라 불렀다. 이 말은 원래 중국의 고전 《시경(詩経)》에 나오는 것인데 시경에는 이 단어에 이어서 「謂我心憂」(위아심우: 내 마음을 걱정하다)가 나온다. 스나가의 일기에는 오가사와라 고도에서 보낸 김옥균의 고통이 담겨 있다. 김옥균을 방문하고 돌아온 유혁로가 전해준 김옥균의 실황이다. “위장병과 류마티즘은 아직 낫지 않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배앓이까지 앓고 있답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개미와 독충, 뱀의 습격을 받습니다. 극히 쇠약하여 안색이 초쵀하고 몸은 말랐습니다… ” 스나가는 1888년 10월 13일 치 일기에 츠지 카쿠자부로(辻覚三郎)의 사망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그가 누구길래? 바로 김옥균이 혁명에 실패한 뒤 제물포에서 일본배 치토세 마루호(千歳丸)를 탔을 때 그를 구해 준 선장이다. 그 위기의 시간에 조선 관리와 주한 일본 공사가 김옥균의 하선을 명했다. 그 때 “이 배는 나의 관할이오, 김옥균을 내줄 수 없소”라며 김옥균을 보호해 주었던 선장이 바로 그 사람이다. 김옥균의 생명의 은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스나가는 그 사실을 일기에 적어 놓은 것이다. 김옥균이 갑신정변에 실패한 뒤 일본 망명시 선상에서 일본 선원에게 써준 붓글씨 . ‘雲山浩渺(운산호묘: 구름 낀 산들이 넓고 아득하다)’ (출처: 경향신문 2012년 4월 5일자)이 글씨를 스다씨의 증손녀가 오래 오래 보관해 오다가 2012년 한국에 무료 기증하였다. 128년만의 귀향인 셈이다. 일제 강점기 때 이런 일이 있었다. 김옥균이 일본과의 관계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하여 훈장과 작위를 수여하자는 움직임이 일본인들 사이에 일어났다. 일제 요인들이 주동하여 제국의회에 이 건이 상정되었다. 그 때 스나가가 통렬히 비판한다. 취지는 이런 것이다. 조선은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다. 이는 김옥균에게 비통한 일일 것이다. 조선의 처지에선 일본이 적국일진대 김옥균이 적국이 주는 훈장과 작위를 달가와 하겠는가? 김옥균에게 훈장과 작위를 주겠다니 그를 능멸하는 일이 아니고 무엇인가? 두 번 죽이는 일이 아니고 무엇인가? 어찌 차마 그럴 수 있는가?
-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겹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떤 날의 하늘은 하나의 파란 그림종이 같지만, 또 어떤 날의 하늘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겹의 결을 가진 깊고 그윽한 그림 같습니다.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 ‘겹구름’은 바로 이처럼 하늘에 깊이를 더하는 구름을 부르는 이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겹구름’을 ‘비슷한 모양의 것이 여러 개 겹쳐 있는 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마치 물결이 겹치고 겹친 듯한 무늬를 이루거나, 솜을 얇게 펴 켜켜이 쌓아 올린 듯한 구름을 떠올리면 됩니다. 하나의 덩어리가 아닌, 여러 낱의 구름이 포개지고 겹쳐져 만들어내는 바람빛(풍경)이 바로 ‘겹구름’인 셈입니다. 이처럼 깊은 느낌을 주는 말이니, 가락글 지은이(시인)들의 눈에도 그 모습이 담기지 않을 수 없었겠지요. 유안진 님의 가락글(시) 「춘천호반」에는 해 질 녘의 바람빛을 그리며 ‘겹구름’이 나옵니다. 겹구름 산 너머로 해는 기울고 / 산 그림자 드리운 호심은 고요한데 또한 오현종 님의 가락글 「아버지의 강」에서는 여러 겹으로 낀 구름이 걷히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겹구름 다 걷히고 저녁별 뜰 때까지 / 아버지는 술잔을 놓지 않았다 두 가락글 모두 ‘겹구름’이라는 말을 통해 하늘의 깊이와 때새의 흐름을 더 애틋하게 느끼게 해줍니다. 우리 나날살이에서도 ‘겹구름’이 만드는 멋진 모습을 마주할 때가 많습니다. 해 질 녘 서쪽 하늘이 붉은 겹구름으로 물들어 큰 구경거리였다. 하늘에 비늘 같은 겹구름이 가득한 걸 보니, 곧 날이 흐려지려나 보다. 비행기 창밖으로 보니, 발아래로 끝없는 겹구름이 파도처럼 펼쳐져 있었다. 그런데 ‘겹구름’을 알고 나면, 우리는 더 많은 말을 덤으로 얻게 됩니다. 바로 ‘겹-’이라는 앞가지가 가진 쓰임새 덕분입니다. ‘겹-’은 ‘포개진’ 또는 ‘두 벌의’라는 뜻을 더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겹옷(두 겹으로 된 옷)’, ‘겹바지(솜을 두거나 안감을 댄 바지)’ 같은 말을 씁니다. 이 짜임새를 알고 나면, 처음 보는 ‘겹안개(여러 겹으로 낀 안개)’나 ‘겹꽃(꽃잎이 여러 겹인 꽃)’ 같은 말의 뜻도 금방 어림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겹무지개’나 ‘겹마음’처럼 새로운 말을 짓는 재미도 누릴 수 있지요. 오늘 하늘의 겹구름을 보거든, 그 아름다움과 함께 ‘겹-’이라는 말의 재미난 쓰임새를 둘레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면 어떨까요? 말을 아는 기쁨과 나누는 즐거움이 우리 삶을 더욱 넉넉하게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