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벌써 청춘이데이’ 2025 문화가 있는 날 <실버마이크> 경상권 공연이 4월 문화가 있는 날과 주간에 맞추어 경상권 곳곳에서 공연이 펼쳐진다. 4월 문화가 있는 날 주간에 펼쳐지는 공연일정으로는 4월 30일 수요일 19시 부산 유라시아 플랫폼 공연을 시작으로 5월 3일 토요일 경주 첨성대 광장 15시, 창원 용지문화공원 19시에, 5월 4일 일요일 15시 대구 동성로 28아트스퀘어 공연으로 4월 문화가 있는 날 실버마이크 공연이 마무리된다. 실버마이크 경상권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지역문화진흥원 주관하며 ㈜예술마을민아트홀에서 운영하는 사업으로 문화 기본법 제12조 2항에 근거하여 국민의 문화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업이다. 특히 올해 공연은 대구MBC가 협력으로 참여하여 다채로운 영상과 방송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갈 예정이다. 실버마이크 사업은 실버예술가들의 세대 간 공감·소통이 있는 거리공연으로 국민 문화향유기회 확대에 있다. 이에 실버예술가들은 사업에 참여함으로 공연 기회 및 홍보 지원을 통해 문화 생산 주체로서 신(新) 노년세대의 문화향유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실버마이크 경상권 사업은 ‘벌써 청춘이데이’를 주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불기 2569(2025)년 부처님오신날을 기려 (사)한국불교사진협회 제30회 정기 회원전과 제19회 청소년불교사진공모전이 4월 23일부터 4월 29일까지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열렸다. 해마다 부처님오신날을 중심으로 열리는 회원사진전은 올해는 주제를 <미소>로 정했는데 전국의 회원들은 부처님, 보살님, 아라한들은 물론 스님들의 미소를 찾아 72점의 작품을 만들었다. 우리는 ’미소‘하면 ’염화시중의 미소‘ 곧 석가모니 부처님이 인도의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던 때, 부처님의 말없는 가르침에 깨달음을 얻은 가섭존자와의 관계에서 유래한 이 말을 떠올린다.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동물 가운데서 오직 사람의 얼굴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표정을 ’미소‘라고 하는데, (사)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들은 어쩐 모습으로 작품화했을까? 어제 4월 23일 낮 3시 제30회 정기 회원전이 열리고 있는 ’한국미술관‘에서는 개막식을 했다. 개막식에서 (사)한국불교사진협회 최금란 이사장은 “한국불교사진협회 앞으로의 30년을 내다보는 이정표를 쳇지피티에게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나온 답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진계의 발전방향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하고,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 《삼봉선생집 권7》, 《동국이상국전집 권18~22, 31~41》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하였다.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괘불도는 절에서 야외 의식을 거행할 때 내거는 대형 불화로, 압도적 규모와 다양한 도상은 세계 어느 나라의 불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문화유산이다.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던 괘불도는 처음에는 본존이 결가부좌하고 있는 좌상 형식으로 그려지다가 점차 입상 형식으로 바뀌면서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졌다. 괘불도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으며, 현재 「칠장사 오불회 괘불」 등 7점의 국보와, 「죽림사 세존 괘불」 등 55점의 보물을 포함해 현재 전국적으로 약 120여 건이 전하고 있다. * 결가부좌: 불교에서 양발을 각각 반대편 넓적다리 위에 얹어 놓고 앉는 자세 이번의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국보로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으로, ▲ 화기(畵記) 등의 기록에 제작자, 화제(畵題) 등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남도 영암군에 있는 「영암 시종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5세기 중후 무렵에 6세기 초 조성된 「영암 시종 고분군」은 영산강 본류와 삼포강, 남측의 지류를 모두 조망할 수 있는 영암 시종면에 있으며,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암 시종면 일대는 지리적으로 서해와 내륙의 길목에 해당하는 요충지에 있어 서해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는 해양 교통로의 거점이자 내륙으로 확산시키는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이러한 지정학적 이점 덕분에 마한 소국의 하나였던 이 지역 토착세력이 독창적인 문화를 창출하고 백제 중앙 세력과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영산강 유역 마한의 특징과 함께 백제, 가야, 중국 등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은 복합적인 특징을 갖게 된 배경이 되었다. 영암군에 있는 모두 49곳의 고대 고분 가운데 시종면에만 28곳이 집중하여 분포해 있는데, 그 가운데 일부인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은 영산강 유역 마한 전통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고분의 축조기술 등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소장 조규형)는 왕비의 침전(寢殿)인 교태전이 일제강점기에 철거된 이후 1995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된 지 올해로 30돌을 맞아 오는 5월 8일부터 6월 27일까지 내부를 특별 개방한다. * 행사기간 : 5.8.(목)~6.27.(금) 기간 내 매주 수, 목, 금요일 개방(총 22일, 1일 10회차 운영) (1회차) 10:00~10:20, (2회차) 10:30~10:50, (3회차) 11:00~11:20, (4회차) 12:30~12:50, (5회차) 13:00~13:20, (6회차) 13:30~13:50, (7회차) 14:00~14:20, (8회차) 14:30~14:50, (9회차) 15:00~15:20, (10회차) 15:30~15:50 * 회차별 20분, 자유 관람 이번 특별 개방에서는 왕비의 생활상을 재현한 전시와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는 교태전의 부속 전각 ‘건순각’에서 부벽화를 주제로 한 실감영상을 만날 수 있다. 교태전에서는 대청, 온돌방, 회랑을 왕비의 시선을 따라 관람하게 된다. 대청에서는 지난해 제작ㆍ공개된 2점의 부벽화 모사도인 화조도(암수가 한 쌍을 이루는 앵무새의 다정한 모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외규장각 의궤 가운데 유일본 의궤의 국역사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지난해 국역을 끝낸 《별삼방의궤(別三房儀軌)》를 공식 누리집에서 공개한다. 2011년 외규장각 의궤가 돌아온 뒤 관련 조사 연구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그 성과를 모든 국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하고 있다. 《별삼방의궤》는 새롭게 즉위한 임금이 행차할 때 쓸 가마와 깃발 등 물품[의장(儀仗)]의 제작을 담당했던 ‘별삼방(別三房)’이란 임시 조직의 업무 내용을 담고 있는 의궤다. 돌아가신 선왕(先王)의 3년상을 마무리하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국왕의 의장을 새롭게 마련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별삼방이라는 조직은 조선시대 현종(顯宗)ㆍ숙종(肅宗)ㆍ경종(景宗)ㆍ영조(英祖) 4대에만 존재했다. 외규장각 의궤에는 이 4대에 걸친 별삼방의궤 4책이 포함되어 있다. 이 4책은 모두 유일본으로 사료적 값어치가 높아 첫 국역 대상으로 골랐다. 이번 외규장각 의궤 국역본의 공개로 의궤의 내용을 일반인도 쉽게 읽어볼 수 있게 되었다. 어려운 한문으로만 되어 있어 접근이 쉽지 않았던 외규장각 의궤 누리집(www.museum.go.kr/uigwe)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춘천시립국악단(예술감독 이유라)은 오는 5월 8일(목) 저녁 7시 30분,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제7회 정기공연 ‘아부지’를 연다. 이번 무대는 ‘국악으로 전하는 부모님에 대한 감사와 사랑’이라는 주제 아래, 풍성한 레퍼토리와 세대를 아우르는 무대로 어버이날 저녁을 채울 예정이다. 최윤필 연출, 예술감독 이유라와 춘천시립국악단 단원들이 무대의 중심을 잡는다. 또한, MBN ‘보이스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난감하네’로 큰 사랑을 받은 소리꾼 ‘조엘라’, 깊은 내공의 판소리를 선보일 박양순, 국악가수 김시원, 타악그룹 ‘타고’, 국악밴드 ‘우주’, 월드비전강원어린이합창단까지 다채로운 출연진이 총출동한다. 1부 <은혜의 노래>에서는 ‘회심곡’, ‘어머님 은혜’, ‘부모은중경’ 등 감사와 사랑의 메시지를 담은 무대가 이어지고, 2부 <감사의 노래>에서는 ‘매화타령’, ‘태평가’, ‘강원도 장타령’ 등을 포함한 민요 한마당으로 흥을 북돋운다. 이어지는 3부 <행복의 노래>에는 조엘라의 ‘난감하네’, ‘아버지’, 김시원의 ‘홍시’, ‘막걸리 한 잔’, 박양순의 판소리 ‘심청가 中 추월만정’ 등 국악과 대중음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2025년 어린이날을 맞아 가족 단위 관람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어린이축제」를 5월 5일(월) 아침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박물관 일원에서 연다. 공연 프로그램은 낮 3시 ‘거품쇼’를 시작으로 어린이축제×광복80돌 맞이 ‘전북소리숲오케스트라’의 특별 공연이 4시 30분부터 펼쳐진다. 오케스트라는 <태극기 휘날리며>, <라이언 킹>, <아름다운 나라>, <고향의 봄> 등 어린이에게 친숙한 곡을 포함해 모두 8곡을 연주하며 「어린이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성하게 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와 가족이 박물관을 더욱 친근하게 느끼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체험프로그램은 ▲어린이박물관 관람(참방참방 휙휙), ▲얼굴그림(페이스페인팅), ▲캐리커처, ▲풍선아트, ▲솜사탕 만들기, ▲박물관 정원 속 그리기 마당, ▲보물찾기 등으로,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 바깥 뜨락에서 운영된다. 이 밖에도 박물관 정원에서는 어릿광대와 인사를 나누면 사탕을 받을 수 있으며, 특별기획 캐릭터 사진 마당 ‘휘리릭’이 상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올해로 개관 80주년을 맞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관장 김희섭)은 지난해 기증받은 고문헌 중 14인의 대표자료를 모아 고문헌 기증전 ’家寶(가보), 모두의 품으로‘를 개최한다. 4월 21일(월)부터 2026년 3월 31일(화)까지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5층 고문헌실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에는 각 가문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고서, 고문서, 근대문헌, 책판(冊板) 등 35점의 자료가 소개된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2021년에 1,775책을 기증한 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홍윤표 교수의 ’우산문고‘와 2024년에 1,902책을 기증한 단국대학교 한무희 명예교수의 ’석인문고‘도 포함되었다. 개인 기증자료 가운데 조선 후기 문신이자 서예가인 조윤형(曺允亨, 1725~1799)의 글씨로 추정되는 초서(草書) 6점이 주목된다. 이 작품은 원래 6폭 병풍으로 제작되었으나, 후에 병풍에서 떼어낸 글씨를 별도로 보관해 온 것이다. 여기에는 당대(唐代)의 유명 시인 왕유(王維, 699~759)의 연작시 『망천집(輞川集)』의 중 「칠원(漆園: 옻나무밭)」을 비롯해 맹호연(孟浩然), 전기(錢起), 원결(元結), 황보증(皇甫曾) 등의 5언 절구(
[우리문화신문=글 이윤옥, 사진 김영조 기자] 그제(20일) 저녁 4시부터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까페 싸목싸목 다목적홀에서는 아주 특별한 강연이 있었다. 연사는 김봉준 작가로 ‘민주화운동과 나의 민중미술-창작을 징검다리로 50년을 건너다-’라는 주제의 강연이었다. 저녁 4시 강연에 맞춰 서울에서 KTX를 타고 광주송정리역에서 내려 택시를 타고 ‘까페 싸목싸목다목적홀’을 가달라고 하니 택시 운전사가 고개를 갸웃거리면서 주소를 알려달란다. 신참 기사였나보다. 그 유명한 까페 싸목싸목 다목적홀을 모르다니 말이다. 이에 앞서 2주 전쯤 광주에서 시민사회운동을 열심히 하는 (사)한국사회조사연구소장인 김순흥 교수로부터 김봉준 작가의 강연 홍보물을 카톡으로 받았다. 덧붙이는 말에 “우리나라 민중미술 특히 걸개그림과 판화의 선구자이신 김봉준 선생이 직접 자신이 문예운동 50년을 정리하는 시간입니다.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릴 수 있으니 미리미리 사전 예약을 하셔야합니다.” 라는 말을 듣고 일찌감치 사전 예약과 동시에 KTX를 예매했다. 강연 시간은 오후 4시부터 2시간이 잡혀있어 귀경 열차는 넉넉하게 8시 50분 차를 예매하고 강연장을 찾았다. 강연은 4시에 시작되었고 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