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송종익(宋鍾翊, 1887. 2. 27~1956. 1. 7)선생은 1887년 2월 27일 경북 대구에서 부친 송인구의 맏아들로 출생하였다. 1905년 일본에 유학하였다가 큰 뜻을 펴고자 1906년 4월에 미국으로 건너가 소학교를 졸업하였으며 당시 한인들의 항일민족 운동단체인 공립협회에 가입하였다. 1908년 3월에 일제 통감부의 외교고문인 스티븐스(stevens, d. w.)가 샌프란시스코의 각 신문에 일제의 한국의 보호국화를 왜곡 선전하자 전명운, 장인환 의사가 스티븐스를 처단한 사건이 있었다. 이때 선생은 이들 두 의사의 법정 투쟁에 대비하여 조직된 재판후원회의 재무로 선임되어 활약하였다. 송종익 선생 한편 1912년 도산 안창호 선생이 미국의 리버사이드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와서 맨 먼저 선생에게 흥사단 약법의 초안을 보이고 상의했다. 이때부터 선생은 흥사단의 첫 동지가 되어 일생을 단(團) 운동에 바치게 된다. 흥사단 미주본부를 이끌다 흥사단은 1913년 창단 이후 1920년까지 8년 간 창단위원회에서 운영하였고 1921년부터 이사부와 의사부, 심사부의 3부역원제가 실시되었다. 선생은 1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2016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뽑힌한시대[1889~1981]선생은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1903년 부모를 따라 미국 하와이로 건너갔다. 부친의 강렬한 민족의식을 물려받아 3대가 독립운동의 길을 걸은 독립운동 가족이다. 선생은 1913년 샌프란시스코로 옮겨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멘티카에서 사탕무 농장을 경영하였다. 1916년 선생은 멘티카에서 부친을 도와 대한인국민회 멘티카지방회를 설립하면서 처음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3.1운동 소식이 미주 한인사회에 전해져 대한인국민회 주관으로 독립의연금 모금활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때 한시대 선생 가족 구성원 모두가 적극 동참하였다. 선생은 구미위원부를 지원하기 위해 독립공채를 구입하고 외교비 지원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1924년 경 다뉴바 한인국어학교의 교장이 되어 한인 2세의 민족교육에도 앞장섰다. 이후 딜레노로 옮겨 부친의 국어학교인 태극학교 설립 운영을 돕고 있던 중 1930년 딜레노지방회를 설립하고 회장에 취임하였다. 1936년 선생은 재미한인사회의 발전을 위해 실행위원이 되어 대한인국민회를 재건하고 부흥시키는데 앞장섰으며, 193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와 맞서 언어독립투쟁을 전개한 이극로 선생의 부인되시는 김공순 여사님께 편지를 드리게 되어 기쁩니다. 이극로 선생을 연구하면서, 김공순 여사님에 대해서도 글로 쓰고 싶었습니다. 이제야 여사님에 대해 쓰게 되었습니다. 이극로(18931978) 선생은 독일 베를린대학에서 학업을 마치고, 1929년 1월에 귀국하여 우리 말글을 지키는 독립운동을 펼쳤습니다. 1929년 10월 우리말사전을 편찬하고자 조선어사전편찬회를 조직하였고, 위원장에 뽑혔습니다. 그해 12월 24일에 김공순(1907?) 여사님과 결혼하였구요. 그의 나이 37세가 되는 해였습니다. 여사님의 나이는 23살이었지요. 김공순 여사님은 안중근에게 권총을 넘겨준 김창걸의 막내딸이었는데 김창걸은 이 일로 일제 경찰에 잡혀 희생되었습니다. 김공순 여사님은 평남 강서 진남포에서 출생했고, 평양여고와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일제시기 보통학교에서 교원으로 근무하였지요. 이극로 선생은 다른 회원과 달리 언어독립운동인 한글운동만을 전담하고자 직업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나라가 독립하기 전에는 돈을 벌지 않겠다는 결심을 하고서 한글운동을 추진하였던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송병조 선생(1877.12.23 ~ 1942.2.25)은 평북 용천(龍川) 출신으로 1914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기독교 목사가 되었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시위를 주동하였으며, 동년 10월 2일에는 평양에서 전국 각도 대표 24명이 모여 대한국민총회(大韓國民總會)를 조직하게 되자 향촌회, 부군회(府郡會), 도(道)대회, 국민총회 등의 대표들이 박인관(朴寅寬)을 회장으로 추대하고 그는 양석진(梁錫鎭)채필근(蔡弼根)김태희(金泰熙) 등과 함께 평의원(評議員)에 선출되어 독립운동을 추진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였다. 송병조 선생 그러나 일경의 위협과 감시가 점차 가중되자 그는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의 재무부 참사(參事)가 되었다. 1921년에는 한중 양국민의 친선과 대일항쟁을 도모할 목적으로 중한호조사(中韓互助社)를 설립하여 유종주(兪宗周)윤기섭(尹琦燮)김홍서(金弘 )여운형(呂運亨)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기독교 목사 손정도(孫貞道)이원익(李元益)김병조(金秉祚)김인전(金仁全) 등을 중심으로 대한야소교진정회(大韓耶蘇敎陳情會)를 조직하여 국내외 각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조희제 (1873-1939) 선생은 조선의 국운이 쇠퇴하던 시기 의병활동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전북 임실에서 태어나 항일의식이 투철한 집안에서 자랐다. 일제에 맞서 목숨을 끊은 송병선과 항일투쟁에 나섰던 기우만 의병장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선생은 수십 년에 걸쳐 각지를 돌아다니며 독립투사들의 항일사적과 애국지사들의 행적 등 항일투쟁 기록을 모았다. 또한, 법정에서 애국지사들의 재판 과정을 방청하며 기록하기도 하였다. 명성을 떨치고 그 행적이 역사에 잘 기록된 인사보다는 초야에 묻힌 애국지사들의 충절을 기록했다. 선생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책의 표지에 덕촌수록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질은 책상 위에 두고, 1질은 궤짝에 넣어 마루 밑 땅에 묻었다. 덕촌수록(悳村隨錄) 염재(念齋) 조희제(趙熙濟) 선생이 1895년 을미사변 이후부터 1918년까지 의병장, 애국지사들의 절의실적(節義實蹟)을 모아 전기체로 서술한 6권 2책이다. 염재는 염재야록(念齋野錄) 원고를 완성하고 일제 경찰의 관심을 피하기 위하여 책의 표지에는 덕촌수록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덕촌은 염재가 살던 덕치(德峙)를 가리킨다. ▲ 염재 조희제 선생 그러나 염재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김 영 란(金 永 蘭, 1894~1922. 7. 12) 선생은1894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新倉面) 신창리(新倉里)에서 4대독자로 출생하였고, 여기에서 성장하였다. 1919년 11월 선생은 이곳에서 잡화상을 경영하고 있었으나 기독교 감리교 신자로 순천군의 만세시위에 참가하면서 독립운동에 투신할 결의를 다지게 되었다.순천군과 성천군은 평남은 물론 전국에서도 3.1운동 기간 중에 독립만세 시위운동이 치열하게 전개되어 희생자가 많았던 곳으로 유명하였다. 성천군에서는 1919년 3월 4일 군내에서 최초로 만세 시위운동이 발발하여 7일까지 이어지면서 치열하게 전개되었다.또 순천군에서는 3월 2일 은산면(殷山面)에서 천도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1천여 명의 군중들을 이끌고 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여 3.1운동의 불꽃을 지폈다. ▲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재판 모습 이어 3월 4일 자산면(慈山面)에서도 천도교인들이 중심되어 만세 시위운동을 벌였고, 3월 5일 신창면에서는 장날을 기하여 기독교인들의 선도로 3천여 명의 장꾼들이 봉기하여 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3월 6일 읍내에서 천도교인들과 기독교인들이 합세하여 2천여 명의 군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국가기록원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독립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3.1운동 관련 독립선언서류 48점을 국가지정기록물로 새로이 지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기록물들은 1919년 3.1운동 때 만들거나 우리 민족의 독립을 대․내외에 선포한 독립선언서들로, 동경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서 를 비롯하여 3월 1일 서울에서 발표된 보성사판과 신문관판의 독립선언서, 통영하동과 같은 지방에서 간행된 선언서와 격문, 하와이와 만주 길림 등 국외에서 간행된 독립선언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2.8 독립선언서 는 1919년 2월 8일 일본 동경에 있던 조선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주장한 선언서로 3.1운동 발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기록물로 평가받고 있다. ▲ 2.8독립선언서, 1919년, 조선청년독립단, 34.0 24.5, ▲ 3.1독립선언서(보성사판), 1919년, 최남선, 44.9 20.1 3.1독립선언서 (보성사판)는 최남선이 기초하고 천도교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조판 인쇄하여 보성사판이라 명명하며, 민족대표의 독립선언에 따라 각지에서 당당하게 평화적으로 독립의사를 표명할 것을 촉구하여 항일 독립운동이 일어
[신한국문화편지=이윤옥 기자] 저는 할아버지와 조은애 할머니의 아들 김진동의 차녀 수옥입니다. 할아버지가 나라의 자주독립과 남북통일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시다 납북되어 세상을 떠나신지 어언 65년이 지났습니다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실 때 저는 겨우 만 일곱살이었습니다 이제 저는 아들, 딸을 둔 어머니입니다 나라를 잃었을 때는 독립을 위해, 일제의 패망 뒤에는 통일을 위해 온몸을 바치신 할아버지가 세상에서 점점 잊혀 가는 것을 매우 안타까이 여기신 고 송남헌 비서실장님이 고 김재철 선생님을 비롯한 여러분들과 함께 1989년에 우사 김규식 연구회를 창립하셨습니다. 우사 김규식 연구회는 할아버지의 생애와 사상과 업적을 세상에 널리 알리고자 지금까지 모두 9권의 책을 펴냈습니다. 저는 김재경 회장, 서중석 교수, 심지연 교수, 김준상 총무, 손장선 서기등과 함께 이 연구회에서 부회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할아버지는 신한청년당의 대표로 1919년 1월에 개회된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러 출발하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나라 안에서 궐기를 촉구하여 3.1 혁명의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강화회의에 가서는 일제의 만행을 폭로하고 대한독립청원서를 제출하는 등, 또 1922년에는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나는 경술국치에 불평과 불만을 품고 의열단에 가입한 후 조국을 위하여 생명을 바쳤소. 나는 우리 민족에게 각성을 주기 위하여 오늘날까지 살았으므로 사형도 좋소이다. ―선생의 법정 최후 진술 중에서(1923. 8) ― 남정각 (1897~1967) 선생은 1897년 12월 22일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출생하였다. 선생의 호는 오산(午山)이고, 이명(異名)으로는 남영득(南永得), 남영득(南寧得) 등이 있다. 선생은 1913년 16세까지 향리에서 한학을 수학하였고, 이후 상경하여 조선기독교청년회 부설 학관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익히며 민족의식을 배양하여 갔다. 그러던 중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선생은 수원(水原)에서 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하였고, 이어 독립신문을 등사하여 용인, 수원, 안성(安城) 등지에 배포하여 자주 독립사상을 전파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지역에서의 격렬한 만세 시위운동을 촉발하였는데 일조하기도 하였다. 전국적이며 거족적인 3.1운동에도 선생이 그렇게 바라던 조국 광복은 성취되지 못하였다. 이에 선생은 1919년 8월 중국으로 망명하여 신학문을 수학하면서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모색하여 갔다. 선생은 중국 장춘(長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정태진(丁泰鎭, 1903. 7. 25~1952. 11. 2) 선생은 1903년 경기도 파주군 금촌읍 금릉리에서 부친 정규원과 모친 박씨 사이의 3형제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선생의 호는 석인(石人),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개신교 집안에서 출생하여 일찍이 개화하였던 선생은 1917년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여기에서 4년의 수업과정을 마치고 1921년 3월 졸업한 선생은 그 해 4월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이 시절 선생은 6살 위의 동기 동창생인 정인승을 만나 우리말에 대한 사랑을 공감대로 하여 서로 깊은 우정을 맺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후 선생과 정인승은 조선어학회에서 우리말 사전 편찬 업무도 같이하고, 또 조선어학회 사건 때에는 옥중에서 고통도 같이 나누며 동고동락하게 된다. ▲ 정태진 선생 아울러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 선생은 국학자이며 실천적 민족주의자인 정인보 선생의 영향을 받아 민족주의자로서 거듭나게 되었다. 상해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종사하다가 귀국한 후, 1922년 봄부터 연희전문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 정인보 선생은 우리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얼을 강조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