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잠을 잘 자는 분들에게는 잠을 잘 자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사족으로 보이지만, 불면을 앓고 있는 분들에겐 절박한 현실이다. 잠이란 것이 불면을 경험하기 전에는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특별한 노력이 불필요한 것이기에 어느 시점에 잠을 못 잘 때 당황하며 어찌할 바를 모르고 수면제에 의존하거나 다양한 구전에 의존하게 된다. 우리가 먹는 음식도 수면을 도와주는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진정제며 한방으로 말하면 하게(下氣) 시켜주는 것들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먹거리는 긴장을 풀어주고 심신을 즐겁고 여유롭게 만들어 주어 수면을 도와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양방 관점으로는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면서 몸이 이완되고 인체의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도와준다고 할 수 있다. 곧 음식의 기본적인 성향이 자연스레 몸과 마음의 이완을 유도하면서 수면의 세계로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 수면에 도움이 되는 음식의 성격 따라서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잘 먹다 보니 잘 자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불면증의 경우에는 그저 보통의 잘 먹는 것으로는 수면에 도움이 안 되고 특별히 잘 먹어야 수면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첫 번째 이야기에서 한글은 직접 소리를 적는 글이고 알파벳은 단어를 만들어야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지하철로 비유하자면 한 번 갈아타야 목적지에 갈 수 있다는 얘기이지요. 그리고 한자는 갈아타는 문제는 없지만, 정거장까지 가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이라 하겠습니다. 물론 한자도 발음이 있어 소리를 표현하지만, 글자 자체가 뜻을 갖는다는 것이 다른 글자들과 다릅니다. 그래서 한자는 뜻글이라 하고 한글이나 알파벳은 소리글이라 분류합니다. 한글을 소리글이라 하여 알파벳과 한 부류로 보는 것은 한글을 제대로 몰라서 하는 소리입니다. 유명한 언어학자 영국 써섹스 대학의 쌤슨교수는 한글을 제대로 배웠나 봅니다. 그는 한글을 ‘자질문자(featural character)’라고 하여 따로 분류하였습니다. 1944년생이니 최근에 일어난 일이지요. 그러나 이 주장은 이미 널리 받아들여져 이제 모르면 무식하다는 소리를 들을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아직 남아있습니다. ‘자질(資質)’이라는 말도 그렇고 ‘featural’ 이라는 말도 그렇고 언뜻 와 닿지 않는 어휘입니다. 명사형인 feature는 사전에서 특징이나 특성이라고
[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어 어 어 어저저저! 큰어미 쭉 뻗는다 작은어미 발길질에 오매 큰어미 장승 넘어지듯 넘어가네. 벌벌 떨던 다리 멈추고 큰 한 숨, 이내 잠잠, 전주띠기 와이라노? 내 말 들리모 눈을 뜨소. 찬물 한 바가지 가져와라. 이기 뭣소! 살인 났다 살인 났어! 아이 죽고 큰어미 죽고 동네 사람들아 큰일 났다. 사람이 죽었다아아. 마당쇠야 마당쇠야 마님 돌아가셨다. 우짤고 우째야 될꼬 이 일을 다 우짤 것고 < 해설 > 가슴 아픈 사설시조다. 이런 글 쓰고 싶은 이가 누구 있을까만, 고성오광대 놀이에선 중요한 장면이다. 갈등의 최고조에 이르고 보니 광대놀이패나 구경꾼이나 모두 고통스럽다. 어쩔까. 어쩔거나. 작은 어미 아들 비명횡사하니 작은 어미 넋이 나간다. 세상 모든 것이 다 나를 돌아서고, 지푸라기 하나 잡을 게 없다. 모르것다. 네 이 큰 어미년. 아이 죽고 내가 살면 무엇하나. 눈 뒤집혀 보이는 게 없다. 내 아들 죽인 큰 어미년 내 손에 죽어봐라. 머리끄댕이 잡을 끌어 땅바닥에 내팽개치니 마른 장작 쓰러지듯 힘없이 꼬꾸라지고 만다. 파르르 다리가 떨더니 그만 조용하다. 조금 전 아이 죽은 마당이 더욱 썰렁해지며 살인 난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인간의 몸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당연한 말로 몸 자체가 외부의 음식으로 만들어졌기에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러한 음식의 영향이 수면에 영향을 끼치는 것에 한정시켜 본다면 육체를 편하게 하는 식습관과 불편하게 하는 식습관이 있고 정신적으로 수면을 방해하고 각성하게 하는 것과 수면을 도와주고 이완시켜주며 조용하고 졸리게 만드는 것이 있다. 그동안 수면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에 대하여 말을 하였으나 오늘을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좀 더 파악하고 수면을 방해하는 식생활 요소를 알아보고 제거하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1. 수면을 방해하는 식습관 ① 리듬을 잃어버린 식습관과 야식 수면이란 인체의 생명활동에서 가장 큰 리듬이다. 곧 활동하고 휴식하고 소모하고 회복하는 하루를 기준으로 한 가장 명확한 리듬이다. 이러한 리듬을 확대해보면 세포의 생성과 소멸에 관여하기도 하는데, 3일, 1주, 3주, 3개월의 리듬이 있다. 축소하면 호흡(呼吸)이 하나의 리듬이며 우리 생활에서 먹고 배출하는 것도 생명활동을 지탱하는 가장 근원적인 리듬이다. 이러한 리듬이 일정한 주기와 일정한 진폭을 가질 때 건강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앞으로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이어싣기(연재)하려 하는 신부용입니다. 왜 한글이야기를 하면서 공학박사를 내세우냐고 하실 것 같아 미리 말씀드립니다. 저는 토목공학과를 나와 캐나다에 가서 교통공학을 전공하여 학위를 받았습니다. 80년 말에 KIST에 유치과학자로 귀국하여 교통연구원을 만들고 원장을 지냈습니다. 당연히 한글이나 언어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은 일이 없습니다. 아는 것이 있다면 중고등학교 국어교실에서 배운 것, 그리고 궁금한 점을 인터넷 검색이나 공개 세미나에 가서 얻은 것입니다. 이러한 지식은 상식 수준을 넘지 못하겠지만 제 한글이야기는 강단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분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게 될 것입니다. 지식을 전달하려 하기보다는 의문점을 제시하고 토론을 유도하여 함께 해답에 도달하도록 해 볼 것입니다. 물론 정확한 해답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겠지만 그 과정에서 얻는 소득도 중요하리라 기대합니다. (글쓴이 말) 첫 번째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듯이 과연 한글이 세계 으뜸 문자인지입니다. 누구든 한글을 조금이라도 알고 나서 다른
[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자식이 원수든가 시앗싸움 시작이다 놓기는 네가 놓아도 자식은 내 자식이니 못 준다, 못 주고말고. 독하다 큰어미년 피도 안 마른 아이 놓고 첫젖도 물리기 전에 가문 걱정, 제삿밥 묵을 걱정. 에라이, 쎄가 만발이 빠질 년아. 놓아라, 못 놓는다. 실갱이 실갱이 끝에 아차, 와르르! 간밤 꿈이 선몽이건만 호사다마란 말이 방정인가. 아뿔사 추락이라네 싸늘히 식어 버렸네 아가야 눈을 떠라 숨이 멎고 피가 멎었네 네 이년, 찢어 죽일 년, 독새 겉이 지독한 년, 내 자식 죽인 년이 지명에 죽을 것 같으냐? 깝데기 뱃겨 똥자루 삼아도 시원치 않고, 모가지 베어다 똥장군 마개로 써도 시원치 않다. 갈가리 찢어서 오장육부는 해동청 보라매 먹이로 주고, 사지는 발라서 승냥이 주고, 뼈다구는 빻아서 통시에 뿌려도 시원찮다. 이 큰어미년아. 죽어라 뒤져삐리라 내 발길에 황천 가거라 < 해설 > 드디어 시앗싸움 시작된다. 작은어미는 제 배 아파 낳은 자식이고, 큰어미는 가문 대 이을 자식이다. 양보할 그 무엇도 없으니 죽느냐 사느냐 싸울 수밖에 없다. 첫젖도 물리기 전에 가문 큰어미는 가문 걱정, 제삿밥 묵을 걱정하고, 작은어미는 “쎄가
김점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세종시대의 인물을 살피고 있는데 세종을 도와 세종르네상스를 만든 인물은 많겠지만 지금까지 다루어 온 사람 이외 몇몇 인물들을 요약해 정리해 보자. 많은 경우 그 사람의 공덕은 졸기(卒記)에 잘 나타나 있다. 물론 당대의 평가라 숨은 공적과 평가는 시대가 달라지면 달라지는 경우도 생기게 될 수 있다. 김점(金漸, 공민왕 18년 1369~ 세조 3년 1457) 조선 세종 때의 중신(重臣)으로 태종의 후궁 숙공궁주 김씨의 아버지다. 아버지는 공민왕 때의 문신 김린(金潾)이다. 김점은 이성계가 고려 구벌 인재를 가려 뽑을 때 장군으로 천거되어 중용된 뒤 4대에 걸쳐 관로(官路)에 진출했다. 태종 말년 명나라에 성절사(청나라의 황제ㆍ황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로 북경에 다녀왔다. 그는 명나라가 남경(南京)에서 북경으로 수도를 옮긴 뒤에 중국으로 건너간 조선 첫 사신이다. 귀국 뒤 주로 명나라 사신을 모시는 외교 관련 업무를 자주 맡아 처리했다. 그는 좌참찬(左參贊)으로 있으면서 세종에게 모든 정사를 친히 처리할 것을 조언하기도 하였으나 허조(許調)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세종 즉위 초에 호조판서, 형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우리나라 말에 “적당히”란 단어가 있다. 인생사에 두루 활용되는 말인데 이 단어가 수면에서도 적용된다. 수면장애 대부분은 잠을 못 이루고, 잠을 자다 깨고, 잠자는 동안 회복이 안 되는 등의 부족에 의한 현상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수면이 너무 과잉되는 것도 삶의 질을 급격하게 떨어뜨리며 하나의 질병이라 할 수 있다. 곧 너무 많이 자거나 수면의 욕구가 과잉되어도 불면증 이상으로 몸과 마음이 힘들게 되므로 적당한 것이 바람직 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지나치게 잠을 자거나 졸린 상태가 되면 정신의 활동성이 떨어지면서 육체적 운동성도 같이 후퇴하여 불면증 이상으로 삶이 피폐해진다. 특히 수면 모습의 하나가 의식의 다운이기에 수면과잉이나 기면증과 같은 질환은 삶을 위험하게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과면증’이란 수면과잉이나 수면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낮에 과도하게 졸음이 오는 것이 주 증상이다. 졸음의 강도는 사람이나 컨디션에 따라 다르다. 가볍게는 짧은 졸음이 식사 뒤, 작업 중, 텔레비전 시청 중 등 긴장이 풀어질 때 일어나기 쉽다. 중증 과면증은 매일 때와 장소를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쏟아지는 잠이다. 대부분의 과면증은 잠이 한
[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고추요! 생남(生男)이요! 어디 한번 얼러 보자 이마도 날 닮았고 코 큰 것도 날 닮았네 강풍에 날리어 왔나 땅에서 솟아났나 앞 못 보는 황봉사야 조심하고 조심하소 앞에는 고랑이고 뒤에는 돌부리 길한 뒤 호사다마라 명심하고 명심하소 나도 한번 얼러 보자 다칠라 조심하소 금자동아 옥자동아 금을 준들 너를 살까, 옥을 준들 너를 살까, 어허 둥둥 내 아들이야, 씨알도 굵고 고추도 크다. 우리 가문 대를 이어 산소도 돌보고 제사도 지내고 어허 둥둥 내 아들이야, 강풍 타고 내려왔나 하늬바람*에 날려왔나 간밤에 거꾸러진 용이 현몽이다 현몽이야 이 보시오 큰어미요 내 핏줄 이리 주오 내 배 아파 낳았는데 어찌 이리 매정하요 대 이을 생각 나중하고 내 아들 이리 주오 < 해설 > 그래, 원하던 대로 고추요, 아들이다, 경사로다 생남이로다. 영감은 아이 안아 들고 요모조모 이목구비 살펴본다. 커어! 영락없는 내 아들이로고. 공짜 좋아하는 이마도 훤하고, 여색 밝히는 코도 큰 것이 내 아들이 분명하구나. 큰어미도 아이 안고, 이 좋은 날, 단디 해라. 좋은 날 뒤에 호사다마라고 잘못하면 낭패당하니 진짜로 단디해라. 어제 꾼 꿈엔 용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인간이 잠을 자는 행위는 움직임에서 정지로 바뀌면서 인체에 다양한 변동을 초래한다. 가장 큰 변동은 의식이 다운되면서 인지를 못 하는 것이지만 이 밖에도 다양한 생리적 변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일련의 변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인체의 조직과 기관에서 서로 협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도가 심한 경우 잠이 들지 못고 다양한 불편함이 드러난다. 그 가운데 기운의 흐름이 막히면서 나타나는 하지 순환 장애 질환이 있는데 소아에서는 성장통, 성인에서는 하지불안 장애군이라고 한다. 1.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이란 하지불안증후군은 주로 잠들기 전에 다리에 불편한 감각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 다리를 움직이게 되면서 수면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만 21~69살의 성인남녀 5천 명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 5.4%가 이 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로 낮보다 밤에 잘 발생하고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심해지고 움직이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양방의 관점에서 보면 명확하게 드러난 원인은 없으며 뇌의 도파민 시스템의 불균형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일찍 발병한 하지불안 증후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