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한의학적 관점으로 보면 장부마다 건강에 대한 접근이 달라진다. 간은 청간(淸肝)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우리 몸의 장부조직에서 청(淸)을 사용하는 조직은 뇌(腦)에서 이루어지는 청뇌(淸腦)와 간에서 이루어지는 청간(淸肝)이 대표적이다.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는 한의학의 건강법은 보약(補藥)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간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으로 보약을 떠올릴 수 있겠지만 간의 건강은 간을 맑게 하는 ‘청간(淸肝)’이 방법이다. 간이 건강을 잃어버렸을 때 가장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지방간(脂肪肝), 간경화(肝硬化)라는 것을 떠올리면, 간을 맑게 하는 방법이 지방간을 예방하고 간경화를 방비하는 가장 쉬운 길임을 알 수 있다. 곧 앞서 언급한 간이라는 공장과 창고가 본래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공장의 기계에 때가 끼지 말아야 하며 창고가 본래의 면적을 유지해야 한다. 1. 간으로 유입될 때 부담을 줄여야 우리가 먹은 모든 음식물은 소화 흡수되어 간으로 유입된다. 간은 유입된 영양물질을 내 몸의 구성성분으로 만들기 위하여 마저 소화하고 해독한 뒤에 내 몸에 맞는 구조로 변환시키는데 이를 동화(同化)작용이라 한다. 이렇듯 유입된 음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그 카페는 평범한 술집이었다. 물수건이 나오고, 맥주가 나오고, 안주가 나오고, 웨이터 총각이 아가씨를 둘 데리고 들어오고. 이 자리를 빌려 토로하건대, 나는 술 따르는 아가씨들에게 불만이 많다. 조선시대에 기생은 나름대로 뚜렷한 직업의식을 가졌으며 엄격한 교육 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떳떳한 직업인이었다. 기생은 대개 천민 출신이었는데, 정2품 이상의 관리에게 사랑을 받으면 신분이 상승하기도 했다. 기생의 딸은 자동적으로 기생이 되는 식으로 세습되었는데, 유명한 황진이는 그 어머니가 기생이었기 때문에 기생이 되고 만 것이다. 특히 관기(官妓)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기생으로서 말하자면 공무원 신분이었는데, 관기가 되기는 매우 어려웠다. 3년마다 전국의 관기 가운데에서 150명을 뽑아 시(詩), 화(畵),가(歌), 무(舞), 악(樂)의 다섯 가지 기예를 매우 엄격하게 교육시켰다. ‘기생은 재생(才生)’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들의 온갖 재주는 오늘날의 전통예술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일제강점기 때는 기생들이 국채보상운동에까지 대거 참여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 기생들이 꼭 갖추어야 할 마지막 덕목은 지조였다. 이 덕
[우리문화신문=일취스님(철학박사)] 초봄부터 산과 들에는 갖가지 꽃들이 피고 진다. 시기에 따라 전국 곳곳에서는 꽃 잔치가 요란하다. 도심 길가에도 어느 한 곳 빈 데 없이 깔끔하게 다듬어진 꽃길이 행인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다. 꽃과 사람! 꽃과 사람의 관계는 깊은 것임을 말해주는 것일까? 꽃이 사람을 위해 있는 것인지, 사람이 꽃을 위해 존재하는 것인지? 물음에 답을 내리기가 묘연(杳然)할 지경이다. 하지만, 분명 사람이 꽃이 좋아 꽃을 탐하는 마음은 숨길 수 없는 일이다. 그렇게 본다면 꽃의 처지에서는 꽃이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사실 꽃이 아름답게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환심을 사고, 사랑을 얻기 위해서 아름답게 핀다고 보기보다는, 꽃들은 그들만의 꿈을 가지고 독특한 세계를 꾸미며 생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인간의 생각과 관계없이 그들만의 자유로운 세계에서 어느 곳 가리지 않고 다채로운 형상과 향기 그리고 아름다움을 뽐내며, 자연과 순응하며, 생명의 생존법칙에 따라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사람이 보고 안 보고 상관없이 ‘아름답다’, ‘추하다’라는 분별과 차별에도 휘말리지 않고 그 어느 곳에서나 다소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지금까지 현행 외래어표기법은 영어와 중국어 등의 중요한 발음을 변별력 있게 표기하지 못해 외래어표기법을 없애고 언어별로 새로운 ‘외국어표기법’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각각 10개의 한글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훈민정음의 원리에 따라 합자하여 외국어의 어떤 발음이라도 변별력 있게 표기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글쓴이는 이 20개의 자모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체제의 한글을 ‘한글20’이라 부릅니다. ‘한글20’은 무엇인가? 이 세상의 모든 수(數)는 0부터 9까지의 10글자로 표현합니다. 이들은 훈민정음의 합자와 마찬가지로 낱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만들어 냅니다. 예를 들어 9를 합자하여 99를 만들면 왼쪽 9는 10이 9개라는 뜻이고 오른쪽 9는 1이 9개라는 뜻입니다. 999의 왼쪽 9는 100이 9개임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한 자리씩 올라감에 따라 단위가 10배씩 올라가는 것을 10진법이라 하지요. 10진법은 글자가 10개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10이라는 숫자는 이렇게 대단합니다. 지난 10번째 한글이야기에서 주시경 선생은 한글의 기본자음이 10개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현행 한글자음 14자 가운데서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현대에 들어서 간의 생리 기능이 대중적으로 알려지면서 간의 건강에 대한 중요성은 모두가 익히 알고 있다. 간은 크게 해독(解毒), 대사(代謝), 저장(貯藏)의 3대 기능이 있다. 성인들의 음주를 해독해주고, 여러 식품첨가물과 악성을 해독하는 등 해독에 대한 능력은 대부분 잘 알고 있다. 한약을 복용할 때도 간의 부담을 항상 신경 쓰며 조심스레 접근하는 경향도 있다. 또한 간의 물질대사도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 되며 건강과 활력의 지표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아울러 간은 에너지 대사의 중심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창고 역할을 하며 이러한 창고의 가용능력이 힘을 상징한다. 이와 같은 간의 기능과 역할은 생명활동을 위한 다양하고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이를 한마디로 ‘인체의 생산 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의 기능이 떨어지고 각종 간질환이 발생하면 신체의 여러 가지 기능도 저하되고 생명활동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이상증세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다행이면서도 위험한 것은, 간질환은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거의 증상이 없는 것이다. 이것은 간의 각종 간 손상에 대비하여 충분한 예비기능을 비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세종을 도와 세종르네상스를 만든 인물들을 살피고 있다. 졸기를 토대로 유효통과 이계전을 살펴보자. 유효통(兪孝通, 태어난 때와 죽은 때 모름) 세종 9년(1427)에 문과중시에 급제하여 대사성을 거쳐 집현전 직제학이 되었는데, 문장에 능한 학자이고 의학에 정통한 의학자이다. 집현전 부제학, 병조 참의(參議), 중추원 부사 등을 지냈다. 세종 13년 전의감정(典醫監正) 노중례(盧重禮) 등과 같이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과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펴냈다. 문장에도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몇몇 작품이 남아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태종 8년(1408) :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되었다. 세종 즉위년(1418): 병조 좌랑(佐郞)이 되었고, 그 뒤에 집현전 수찬(修撰)과 집현전 응교(應敎), 예문관(藝文館) 직제학, 집현전 부제학, 공조 참의(參議), 강원도관찰사, 병조 참의, 중추원 동지사, 중추원 부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세종 9년(1427): 문과중시(重試) 을과에 급제하여 대사성을 거쳐 집현전 직제학이 되었는데, 문장에 능하고 의학에 정통하였다. 세종 13년 : 전의감정(典醫監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앞에서 한글로 외국어 표기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또 당연하다 했습니다. 이번에는 어떻게 만드는지 얘기하려 합니다. 딱딱한 얘기는 피하고 상식적인 선에서 풀어 봅니다. 영어 표기법 먼저 영어 표기법을 생각해 봅니다. 우리는 고등학생 때 팝송을 좋아하고 따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도 겨우 영어를 읽을 수 있는 정도였기에 외국 발음을 우선 한글로 표기하여 팝송을 불렀을 것입니다. 그리고 잘 안 되는 발음은 원어민의 노래를 들어가며 특별히 익혔을 것입니다. 영어 표기법도 이렇게 만들면 됩니다. 곧 일단 무난한 발음은 한글로 적고 안 되는 것은 특별한 방법을 쓰자는 것이지요. 영어 발음은 거의 다 한글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예외는 누구나 잘 알듯이 frv입니다. 이것을 ㅍㄹㅂ으로 표기하자는 외래어 표기법은 영어를 좀 아는 사람에게는 곰 같은 소리로 들립니다. 외국어 발음 표기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원칙은 ‘원음에 가깝되 비슷한 다른 발음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라는 것이지요. f와 p, l과 r, b와 v를 꼭 구별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려면 표기법부터 구별이 되어야 합니다. 아래는 글쓴이의 제안입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한의학 용어가 수 천 년을 이어오다 보니 어느덧 일상으로 쓰이는 것이 많다. 그 가운데 비장에 대한 것도 가장 흔한 일상어가 되어 있다. 우리가 흔히 소화기능이 약할 때 “비위(脾胃)가 약하다”라고 하고, 주변 요구에 순응하면서 호응할 때 “비위(脾胃)를 맞춘다”라고 말하는데 이때의 비(脾)가 비장(脾臟, 지라)이다. 한의학에서도 비장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말 그대로 ‘비장이 비장’이라는 주장과, ‘아니다 예전에는 해부학의 발달이 미흡해서 췌장(이자)을 비장이라고 말했던 것’이라는 주장이 혼재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비위가 약하다고 할 때의 비장은, 우리말의 지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방에서 ‘스프린(spleen)’을 말하는 장부다. 양방에서 말하는 비장은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으로서, 온몸 림프기관 중량의 약 25%를 차지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면역의 중추이면서 면역의 사령관이라 말할 수 있다. 지라는 우리 몸을 침범하는 세균이나 외부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을 포함하는 여러 혈액 세포들과 면역글로불린이 결합된 세포들을 제거한다. 또한 적혈구와 림프구를 만들고 저장했다가 필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우리 일행은 이제 4명이 되었다. 우리는 정 교수의 모교이자 광주의 명문고이며 광주 학생 운동의 본거지인 광주일고를 잠깐 구경했다. 광주 학생 운동 기념탑이 한쪽에 있었다. 광주일고는 원래 변두리에 있었는데, 이제는 시내의 중심이 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근처의 한식집에서 저녁식사를 하였다. 호남 지방을 여행해 본 사람은 잘 알 것이다. 한정식을 주문하면 정갈하고 맛있는 반찬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따라 나온다는 사실을. 왜 이렇게 반찬이 많이 나오는가를 연구한 사람의 글을 읽어본 적이 있다. 이 지방에는 첫째, 손님을 환대하는 전통이 강하였고, 둘째, 은연중에 음식 팔아 돈을 버는 것을 악덕으로 여기는 상도덕이 자리 잡고 있었고, 셋째 물림상 습속이 발달하여 어른이 먹고 나면 사내 식구가 그 밥상을 물려 먹고, 다시 아녀자에게, 다시 종에게 상을 물려 먹다 보니 반찬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아름다운 풍습이 쓰레기 종량제 이후 비판을 받아 요식업자들은 음식 쓰레기를 줄이자는 차원에서 반찬 줄이기 운동을 벌였단다. 그래서 나온 안이 24가지 반찬은 너무 많으니 18가지로 줄이자는 운동이라고 하니 그저 기가 막
[우리문화신문=신부용 전 KAIST 교수] 한글 외국어표기법은 단순한 발음기호가 아닌 복합적인 언어기술 일부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용 앱이 동시에 개발되어야 합니다. 한어 병음은 하나의 예를 보여 줍니다 영어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면? 영어의 ‘girl 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발음기호가 미국식으로는 [ ɡɚl], 영국식으로는 [ ɡɜːl ]로 표현됩니다. 컴퓨터의 도움으로 소리를 들어보면 둘 다 ‘거얼’로 들립니다. 여기서 생각지도 않았지만 중요한 의문이 생깁니다. 발음기호가 언어의 읽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왜 애초에 소리가 나는 대로 ‘거얼’이라 안 쓰고 [ ɡɚl]이나 [ ɡɜːl ] 등 낯선 글자를 불러드릴까요?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만이라도 처음부터 ‘거얼’로 배웠다면 이런 서양 발음기호는 건너뛰고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다른 언어를 배울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컨대 중국어를 배울 때도 한국사람이라면 당연히 한글로 발음을 적어 배워야겠지요. 여러분은 다른 나라 원어 노래 하나쯤은 아시겠지요? 그 노래 배울 때 아마 가사의 발음기호보다는 한글로 써서 배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원가수의 노래를 들어보고 발음을 좀 고쳤겠지